• 제목/요약/키워드: Harbor Tranquility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5초

서귀포항 방파제 건설에 따른 항내 정온도 검토 (Tranquility Analysis of Seokwipo Harbor after Breakwater Construction)

  • 홍길표;이성대;정원무;이신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3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59-62
    • /
    • 1993
  • 우리나라 제1종항 중 최남단에 위치하는 서귀포항은 인근 중문 단지의 개발 및 그 위치의 특성상 관광 개발 계획과 제주 남부 지역의 중심지로서 균형적인 발전과 연안 수송 수단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항만 확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고자 최근 서귀포항 외항 방파제의 실시 설계가 완료되었으며 이와 병행하여 안벽 축조 등의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항내오염 개선을 위한 친환경 외곽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vironment-friendly outer wall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port pollution)

  • 김강민;강석형;유하상;김상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165-170
    • /
    • 2003
  • 파랑에너지를 차단하고 항내 정온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외곽시설인 방파제는 불투과성이기 때문에 항만을 폐쇄성으로 만들 수 있으며, 외간의 해수교환은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항만개발의 최근 추세는 항내의 수질 보호와 친수성이 강조되어, 기존의 불투과성 방파제의 일부에 투과성으로 설계한 제체투과성 해수교환방파제를 설치하여 외해의 에너지가 항내로 전달되어 항내 오염물질의 희석률 증대와 함께 외해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오염이 심화된 항만에서 항내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육상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이나, 폐쇄성이 큰 항만의 경우, 외해와의 해수순환을 강화시켜야만 한다. 즉, 기존의 항만에서의 항내 수질개선을 위해서 외곽시설의 일부에 해수소통구를 두는 방법이 가장 최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내 오염이 심각한 항만을 대상으로 하여, 해수소통구를 통한 해수순환 양상을 검토하고 수반되는 해수교환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수유동 및 오염확산 수치모델을 구축하고 대안에 따른 항내의 해수순환 및 해수교환을 평가하였다.

  • PDF

항내 준설에 의한 항만 공진의 저감 (Reducing Harbor Resonance by Dredging of Harbor Basin)

  • 정원무;박우선;서경덕;이광수;김지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2-138
    • /
    • 2001
  • 얕은 수심 위를 전파하는 파가 갑자기 훨씬 깊은 수심을 만나면 더 이상 전파하지 못하고 반사된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항만에 적용하여 항내 수심을 항회에 비하여 매우 깊게 만들면 항내로 침입하는 파를 수심이 급변하는 지점에서 반사시킴으로써 항만 정온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완경사방정식 및 확장형 완경사방정식을 사용한 모형들을 입구에 급격한 수심 경사가 있는 직사각형 항만에서의 장주기 부진동에 적용한 결과 두 모형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수치모형을 항내 전체를 준설한 현실감 있는 모형 항만에 적용한 결과 기존 수심의 2배로 준설한 경우에는 저감 효과가 크지 않았으나 3배로 준설한 경우 선체운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기 1∼5분의 장주기파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내 수역의 일부만 준설하는 경우에도 준설된 지역에서 전체 준설의 경우와 비슷한 정도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이 방법이 항내 장주기파 저감 대책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계류선박의 동요에 기초한 항만가동률 산정 (Estimation of Harbor Operating Ratio Based on Moored Ship Motion)

  • 곽문수;정재완;안성필;편종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B호
    • /
    • pp.651-660
    • /
    • 2006
  • 외해에 접해 있는 항만은 항내정온도가 항만설계기준에 만족 되도록 설계되었을 지라도 계류선박의 동요 때문에 하역에 지장을 초래하고 가동률이 저하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항만설계기준이 항내 파고만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계류선박의 동요를 고려한 새로운 가동률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박동요해석모형을 이용하여 항내에 계류된 선박의 동요량을 산정하고 하역허용동요량과의 관계로부터 하역허용파고를 산정한 후 항만의 가동률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새로운 가동률 평가 방법을 현지 항만인 온산항에 적용하고 현행 평가 방법과 비교하여 두 방법의 차이를 제시하였다. 새로운 방법에 의한 항만가동률은 ENE와 NE방향에서 현행 항만설계기준에 의한 가동률 결과 보다 1~11% 정도 낮아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외해에 접해 있는 항만은 설계 단계에서 파고 기준에 의한 항만가동률 평가뿐만 아니라 계류선박의 동요를 고려한 가동률 평가를 병행하여 평면배치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부분 반사 반무한 방파제 또는 방파제 개구부에 사각으로 입사하는 파의 산란 (Scattering of Obliquely Incident Waves by a Semi-infinite Breakwater or a Breakwater Gap of Partial Reflection)

  • 김한나;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34-34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부분 반사 반무한 방파제 또는 방파제 개구부에 사각으로 입사하는 파의 산란에 대한해석 해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해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완전 반사의 경우에 대하여, McIver 및 Bowen andMcIver가 1999년과 2002년에 각각 반무한 방파제와 방파제 개구부에 대하여 유도한 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유도된 해석 해를 이용하여 방파제의 반사계수와 파의 입사각이 항 입구에서의 정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파제의 반사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파가 사각으로 입사함에 따라, 반사파의 영향으로 항 입구의정온도가 악화된다.

부산 신항만에서 수로 및 박지 준설에 따른 항만정온도의 변화 분석 (Analysis of Harbor Responses due to the Dredging Work at Waterway and Mooring Basin in Busan New Port)

  • 이중우;이학승;이훈;양상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7-104
    • /
    • 2006
  • 최근 부산 신항만의 1단계 개발이 북 컨테이너 터미널쪽으로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12,000TEU 대형 컨테이너선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접근 수로 및 박지의 수심을 기존 15m 에서 18m로 준설작업을 통해 증심시킴과 아울러, 신항만의 웅동만 내 일부 수역을 매립하는 것으로 항만배후지 부분의 매립계획에 대한 수정이 논의되고 있다. 더구나 2003년 태풍 매미의 내습 이후 이곳 해역에서 항만구조물 설계의 기준이 되는 입사 파랑의 변화로 인해 각 부두에서의 극한파랑조건 및 항만 내 정온도에도 다소의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각 부두에서의 정온도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화에 대한 수치모델을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한 후 현장 계측 자료와 함께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유동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항만의 반응이 증가되는 편이나 우려할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태풍내습 시 대비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Impact Analysis on the Coastal Erosion and Accretion due to Relocation of the Breakwaters

  • Lee, Seung-Chul;Lee, Joong-Woo;Kim, Kang-Min;Kim, Ki-Dam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5-313
    • /
    • 2008
  • Recently it was known that the problems of nearshore processes and damage of berth and counter facilities frequently had appeared at the small fishery port, such as Daebang near Samcheonpo city, Korea. Here we t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rearrangement of counter facilities and berth layout adopted for tranquility of its inner harbor. Because this harbor is being connected to Daebang channel, the rearrangement of the structures might affect to the current speed and direction and wave height, so do to the sea bottom undulation. Therefore, we made model test for the several layouts of the berth and breakwater in this area. Numerical model result shows that the bottom was eroded by 1m by tidal currents and the speed of flow did not shrink, even after the construction work was completed. The direction of the sand movement was downdrift. Although the model study gave reasonable description of beach processes and approach channel sedimentation mechanism, it is necessary to compare with the field history, including the records of waves, tides and bottom materials, etc. for better prediction.

항내수질 개선을 위한 친환경 외곽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ly Friend Counter Facilities for Improvement of Harbor Water Quality)

  • 김강민;강석형;유하상;김상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3-238
    • /
    • 2003
  • 파랑에너지를 차단하고 항내 정온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외곽시설인 방파제는 불투과성이기 때문에 항만을 폐쇄성으로 만들 수 있으며, 항내ㆍ외간의 해수교환은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항만개발의 최근 추세는 항내의 수질 보호와 친수성이 강조되어, 기존의 불투과성 방파제의 일부에 투과성으로 설계한 제체투과성 해수교환방파제를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외해의 에너지가 항내로 전달되어 항내 오염물질의 희석률 증대와 함께 외해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오염이 심화된 항만(남해 동부해안에 위치한 삼천포 구항)에서 항내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육상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이나, 폐쇄성이 큰 항만의 경우, 외해와의 해수순환을 강화시켜야만 한다. 즉, 기존의 항만에서의 항내 수질개선을 위해서 외곽시설의 일부에 해수소통구를 두는 방법이 가장 최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내 오염이 심각한 항만을 대상으로 하여, 해수소통구를 통한 해수순환 양상을 수치계산을 통해 검토하고 수반되는 해수교환율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 차분법으로 수치모델을 구성하였으며, 해수소통구 도입에 따른 항내의 해수순환 및 해수교환율을 평가하였다.

3차원 수치파동수조에서 무반사 조파시스템을 이용한 항주파의 전파재현 (On Propagation of Ship Induced Waves in 3-D Numerical Wave Basin with Non-Reflected Wave Generation System)

  • 이우동;허동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3-28
    • /
    • 2011
  • In this paper, a new generation method for ship induced waves is proposed using the fully non-linear 3-D numerical model with non-reflected wave generation system (LES-WASS-3D). A ship induced wave generated by the newly proposed method is examined in comparison with that obtained by an empirical formula. It is then shown that there is a good agreement in free surface the elevation between them.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a ship induced wave in a 3-D numerical wave field can be simulated well using LES-WASS-3D.

항만건설에 따른 인근어항 정온도 개선방안 (Tranquility Reformation of Nearby Fishing Port due to Construction of a New Harbor)

  • 서규학;하태민;조용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10-1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항만시설물을 계획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인근 소규모 어항의 안정성에 대하여 일예를 들어 검토하였다. 제주해군기지 건설로 인해 인근어항(강정항)의 기축조분 84m를 제외한 잔량분 126m에 대한 평면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수치모형실험(SWAN)을 통해 강정항의 현 상태 및 기지건설 후의 항내파고 분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남방파제 잔량분이 미 시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항내정온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대안을 연구한 결과 제주해군기지 서방파제 시점부에 파제제 50.0m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인근어항(강정항)의 항내정온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