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ptic Experienc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초

진동촉각 햅틱 마우스 기반 버블포핑 증강현실 시스템 (Bubble Popping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a Vibro-Tactile Haptic Mouse)

  • 정다운;이우근;장성은;김만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15-72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응용으로 진동촉각 햅틱 마우스를 이용하여 버블 포핑을 구현하는 버블포핑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가상 그래픽 버블이 3차원 공간에서 랜덤하게 떠다닌다. 사용자의 진동촉각마우스가 버블과 접촉하면 버블이 터지는 포핑이 발생한다. 또한 포핑 효과와 더불어, 마우스가 진동을 함으로써 마우스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보다 실감나는 버블포핑을 전달한다. 제안 시스템은 진동촉각마우스, 비디오 입력용 웹캠, 마커 패턴 영상, 그래픽 구 버블 객체, 그래픽 마우스 등으로 구성된다. 버블과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마우스 진동과 버블 포핑의 두가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버블포핑 이벤트로 페이드 아웃 및 발산 이드 아웃 기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시각 및 촉각 버블 포핑은 단일 효과보다 실감있는 증강현실을 전달한다.

촉지적 공간을 통한 시간성에 관한 연구(2) - 건축가 조성룡의 선유도공원과 꿈마루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mporality through Haptic Space(2) - Focused on Joh Sung-yong's Seonyudo Park and Kkummaru -)

  • 박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96-10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onyudo Park and Kkummaru in terms of haptic space. This is also an attempt to explore temporality of appearing in architectural spaces with reference to cinematic expression in which time is visible and perceptible. The film of Chris Marker's La Jet$\acute{e}$e depicts temporal relationship by indeterminate continuum, reading the space on the disjunctive relationships of visual and auditory, and aberrance of time and space. Based on the three categories that is derived from those discussions, this study analyzes the experience of non-chronological time induced by architectural devices: the bifurcation of indeterminate circulation, the readability of space on the disjunction of visual and auditory, and the border-dismantling. Therefore, this study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contemporary discourse on time and events as transformation and becoming, and it means to escape from the deterministic thinking to emphasize invariability and space rather than variation and time.

마왕퇴(馬王堆) 발굴(發掘) 경맥서(經脈書) 비음경(臂陰經) 연구(硏究) : 경맥(經脈)의 직접(直接) 지각(知覺) (Hand-Yin Meridians of Unearthed Mawangdui Medical Texts Were Described by the Haptic Exploration)

  • 송석모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7-9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some early Chinese meridians were described by haptic exploration of the arterial pulse. The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relevant passages of the Mawangdui medical texts, the oldest meridian monographs, are translated based on perceptual anatomy. Second, the pulse is haptically searched for in the palm, lower arm, upper arm, armpit, and torso of the human body. Finally, their locations are compared with the transl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ulse locations detected on the body were mostly consistent with the routes of the meridians described in the texts. So meridians were haptically detectable pulse routes. What is known today as the flow direction of hand-yin meridians is actually the direction of searching the pulse. Our result runs counter to Huang Longxiang's claim that the route of the meridians are virtual routes set by speculation. Our findings also dispute Vivien Shaw's claim that the meridians of Mawangdui medical texts were discovered by anatomical dissection. They also refute the claim that meridians were discovered by the extrasensory perception of the inner sight (內觀) and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meridian sensitive person. The hand-yin meridians of Mawangdui medical texts are well described so that anyone can find them by touching them with their fingers.

청각장애인을 위한 햅틱 기반 음악 실감 기술 동향 (Haptic-based Music Experience Technology Trends for the Hearing Impaired)

  • 송영미;신승용;정치윤;김무섭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9권1호
    • /
    • pp.74-82
    • /
    • 2024
  • Music is a mean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expression. In addition, it allows to interact with others and communicate with the world. Music may be considered as inaccessible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who are sometimes discriminated from the music community. We explore trends in various technologies and research that enable everyone to access and enjoy music through experiences that leverage new and innovative technological approaches and bridge the gap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hearing impairment. Various aspects of haptic systems are being studied, but most of them are performance-oriented and focus only on technical functions. As research matures, more detailed and new studies that converge with various senses are being attempted. These studies will likely evolve into influential research areas that can positively affect the lives of people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inclusion by providing detailed functions and stimuli to specific users, including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

픽처레스크 정원에 나타난 촉지적 지각 - 18세기 영국 픽처레스크 정원을 중심으로 - (Haptic Perception presented in Picturesque Gardens - With a Focus on Picturesque Garden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

  • 김진섭;김진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7-51
    • /
    • 2016
  • 시각중심주의에 편향된 근대의 광학적 메커니즘은 시각의 다채로운 기능을 간과하고 추상적이며, 이성적인 눈으로 사물을 판단하고 공간을 조직함으로써 눈이 사물을 더듬는 기능에 대해서는 간과하였다. 최근에는 시각의 이분법적 지각체계를 넘어서 복합지각에 의해 다른 감각과의 소통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유도하고 있다. 촉지적 지각은 시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체로 하여금 신체를 동반한 체험을 유도하며, 물성이 가지고 있는 특질과 인간의 다양한 감각적 자극을 꾀하는 역동적인 시각이다. 본 논문은 주체의 능동적 체험을 유도하는 촉지적 지각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촉지적 지각의 주요한 특징을 도출하고 촉지적 지각의 특징이 픽처레스크 정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촉지적 지각의 주요한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철학과 미학사에서 아돌프 힐데브란트의 시각론이 알로이스 리글과 빌헬름 보링거, 발터 벤야민, 모르스 메를로 퐁티, 질 들뢰즈에 의해 각각 어떻게 발전, 확장, 재해석되는지를 탐구한다. 이로서 촉지적 지각과 시각적 지각 방식의 주요차이점을 분석하고 촉지적 지각이 가지는 특성을 도출한다. 이후, 촉지적 지각의 특성이 픽처레스크 정원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고찰하기 위해 고전적 정원을 시각적 지각으로 픽처레스크 정원을 촉지적 지각으로 각각 설정하여 분석하고 앞서 도출된 촉지적 지각의 특성을 픽처레스크 정원에 투영하여 고찰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픽처레스크 정원에 나타난 촉지적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각적 지각과 대별되는 촉지적 지각의 주요차이점은 경계의 모호함과 애매함, 동적시점의 생성, 불확정적 동선에 의한 운동성 유발, 지각 불가능성에 의한 낯설음과 숭고미로 요약할 수 있다. 픽처레스크 정원에서 경계의 모호함과 애매함은 평면의 불규칙함과 비대칭 요소, 단일시점의 거부로 나타나며, 동적시점의 생성은 서사적 구조의 도입과 회화의 장면구성기법을 재현하면서 기존 정원에 없는 전경, 중경, 원경 요소를 만들면서 공간을 중첩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불확정적 동선에 의한 운동성 유발은 분기하는 동선에 의해 형성되며, 지각 불가능성에 의한 낯설음과 숭고미는 정원에서 다양한 요소의 활용과 '거칠음'과 '불규칙함', '폐허'의 도입으로 나타난다.

VR 야구 게임의 현실감 강화 방법 연구 (A Study on Reality Enhancement Method of VR Baseball Game)

  • 유왕윤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3-32
    • /
    • 2019
  • VR 콘텐츠의 대중화가 더딘 것은 시각적인 새로운 경험 즉, '흥미' 이상의 '효용'을 만들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가상현실 콘텐츠의 효용은 기능적 현실감에서 출발하며 그것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사실적인 인터랙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플레이, 캐릭터 인공지능, 햅틱 구현의 3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획에서부터 콘텐츠 제작, 플레이 테스트, 기술 검증까지 야구를 소재로 한 VR 콘텐츠 제작의 전 단계를 수행하였다. 최종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 및 평가 기관의 테스트를 통하여 사실적인 시각 효과와 플레이 연출, 진동에 의한 타격감까지 콘텐츠의 현실감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Virtual reality training simulator for tooth preparation techniques

  • Jung, HeeSuk;Kim, HyoJoon;Moon, SeongYong
    • 구강생물연구
    • /
    • 제42권4호
    • /
    • pp.235-240
    • /
    • 2018
  • Standard oral and maxillofacial three-dimensional model was developed with patients' medical data while virtual reality (VR) simulator was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head mount display (HMD) and Haptic devi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clinical use of a VR training simulator in tooth preparation practice. Eighty-nine dental students were trained how to operate the simulator. The participants were then given sufficient time on the simulator to practice dental preparation. The students experience and opinion was then taken in through filling of questionnaires. On average content received 1.8 points, anatomy had 2.5 points, 2.6 points for the applicability, and 2.0 for the usability. As for the detailed items scores, queries about the possible development of the simulator and the interest of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simulator were the highest at 3.1 and 3.0 points, respectively. Question about the benefit of the HMD and the haptic device during the practice had 1.5 and 1.6 points, respectively. The average total score was 2.2 points. VR tooth preparation simulator in the field of clinical dental education has powerful potential in regard to realistic models, environments, vision, posture, and economical efficiency.

Effects of auditory feedback and task difficulty on the cognitive load and virtual presence in a virtual reality dental simulation

  • Kim, Byunggee;Yang, Eunbyul;Choi, Namki;Kim, Seonmi;Ryu, Jeeheon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11호
    • /
    • pp.670-682
    • /
    • 2020
  • This research examined the difference in cognitive load and the virtual presence depending on auditory feedback and task difficulty in haptic-based dental simulation. In the field of dental education, practice-centered training using handpiece has been crucial because a practitioner's psychomotor experi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astery of treatment skills. For the novice, it is necessary to reduce errors in dental treatment to enhancing skill acquisition in the haptic practice. In the training process, the force-feedback is crucial to elaborate subtle movement to guide what to do and how it should be hard or soft. However, It is not easy to add force-feedback to generate kinetic experience training. As an alternative method, we examined that auditory feedback can help learners' skill train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presence/absence of auditory feedback at the different levels of task difficulty impacts learners' psychological demand and virtual presence in the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this study, 29 dental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dental simulation.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two conditions that are with and without auditory feedback. Additionally, two consecutive tooth preparation tasks with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were used in the simulation. The auditory feedback condition gives alarms to a learner when he treats a non-targeted tooth with a virtual handpiece. The user's cognitive load and virtual presence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uditory feedback.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in effect was found in cognitive load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in the virtual presence. We discussed the effective design methods for the virtual reality-based dental simulation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 PDF

노인을 위한 효과적인 시각 정보 디자인: 노인과 손목에 착용하는 보행 보조 장치의 상호 교류에 대한 연구 (Effective Design of Visual Information for the Elderly: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Wrist Band Type Walking Aid Device and the Elderly)

  • 김아람;김혜미;정광민;김진우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11-22
    • /
    • 2017
  • 본 연구는 길 찾는 능력과 거리를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많은 주의력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을 위해 간헐적인 주의 집중만으로 보행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손목에 착용하는 보행 보조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촉각 기술을 활용한 보행 보조 기술에서 시각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촉각 정보에 병행하는 시각 정보인 화면 UI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술 수요자인 65세 이상 노인 30명에게 스마트워치를 착용시키고 Wizard of Oz로 네 가지 화면 UI로 길을 찾아가도록 지시한 후 각 화면 UI에 대한 평가 및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호도 순위, 경로를 이탈한 사람의 수, 경로 이탈 횟수에 대해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사용 경험에 근거해 새로운 이해를 얻고자 질적 연구 방법론인 grounded theory로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순적인 요구사항을 가진 노인의 손목시계형 보행 보조 장치 개발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센스메신져 : 움직임 패턴 기반 햅틱 재생 장치 (SenseMessenger : The Haptic Sense Generator based on Motion Recording)

  • 임수현;조현상;장선연;한민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954-960
    • /
    • 2009
  • SenseMessenger(이하 센스메신져)는 3축 가속센서를 이용해 모션을 저장하는 컵과 2개의 모터 조합으로 만들어진 햅틱 재생 장치를 통해 저장된 모션 패턴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컵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인터렉션 기법을 제안하기 위한 도구이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디지털 데이터 형식으로 패턴화하여 편심을 이용한 재생 장치를 통해 재생하였을 때, 입력(모션)과 출력(햅틱 자극) 간의 감성적인 상관관계를 입증하고, 이를 이용한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