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san-Koje Ba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한산${\cdot}$거제만의 환경특성이 양식 굴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Fatnes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Hansan-Koje Bay)

  • 최우정;전영열;박정흠;박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94-803
    • /
    • 1997
  • 한산${\cdot}$거제만의 수질 COD는 평균 $1.35mg/\ell$로 해역 II등급 기준 이하의 양호한 상태였으나 통영시와 인접한 화도와 만의 내측 일원해역은 $2.0mg/\ell$를 초과하는 월이많았다. 인산 인은 평균 $0.30\;{\mu}g-at/\ell$, 용존무기질소는 $4.68\;{\mu}g-at/\ell$로 전반적으로 영양염 수준이 낮은 상태였으며 죽림포 해역은 그 정도가 심하였다. 클로로필-a 농도와 식물플랑크톤 개체수의 평균값은 각각 $2.05mg/m^3$ 및 188개체/$m\ell$로 화도와 거제천 주변해역에서 높았고, 빈영양상태를 보였던 죽림포 해역에서는 낮은 값이었다. 부유생물은 Chaetoceros가 우점종이었고 굴 비만도는 평균 $18.1\%$로 남해안의 다른 양식어장에 비해 굴 비만이 저조하였다. 남해안의 주요 굴 양식어장인 한산${\cdot}$거제만, 자란만 및 진주만에 대해 장기간 조사된 어장환경 특성은 한산${\cdot}$거제만의 경우 최저 수온이 $5.4^{\circ}C$로 다른 어장에 비해 높았고, 염분의 변화폭은 $30.95\~34.77\%_{\circ}$로 진주만의 $22.30\~34.77\%_{\circ}$에 비해 안정적이었으며, 부유물질의 농도도 평균 $4.7mg/\ell$로 비교해역 중 가장 낮았다. 부영양도는 평균 0.54로 자란만의 1.53, 진주만의 3.08에 비해 월등히 낮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한산${\cdot}$거제만 양식굴의 비만저조는 어장 이용률이 $23\%$를 초과하는 집약적 양식과 같은 환경 외적인 측면도 있겠으나, 환경 특성상 빈영양상태가 지속됨으로 해서 식물플랑크톤과 같은 먹이생물의 발생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으며, 특히 굴의 비만에 중요한 시기라 생각되는 수온 하강기에 굴 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죽림포 일원해역에 빈영양상태가 지속되고 먹이발생이 부진하여 이러한 현상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1998년 하계 여자만의 저질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Yoja Bay in the Summer of 1998)

  • 허회권;김도현;안승환;박경원
    • 환경생물
    • /
    • 제18권2호
    • /
    • pp.227-235
    • /
    • 2000
  • As a part of basic investigation to Fishery Purge Project for the Special Administrative in Chollanamdo Province, the sedimentar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Yoja Bay at 15 stations were studie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July, 1998, through studies of Loss On Ignition (LOI) by depth, Total Sulfide (T-5), Chemical Oxygen Demand (COD) concentrations and Grain-size distribution. The LOI value was found to be 6.20-12.20% (mean of 8.89%), with the neighboring Sunhakri and Haksanri areas showing slightly higher values. These values were similar to the LOI values observed in the Hansan-Koje Bay and Jinju Bay area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S and COD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be, respectively, 0.060-0.104 mg/gㆍd (mean of 0.052 mg/gㆍd) and 5.53-29.71 mg/gㆍd(mean of 13.24 mg/gㆍd), not exceeding eutrophication limits. T-S concentration was especially high at stations close to the central areas of the bay and inland areas, which caused by organic matter input from the nearby agricultural areas. COD concentration was very high at stations nearby the bay entrance and Doonbyungdo, but the mean value was lower than that of Hansan-Koje Bay. This leads us to believe that the level of pollution in Yoja Bay is not significant. The prevailing sediment composition was mud, consisting of 61.38% silt and 34.87% clay. [Sediments in Yoja Bay, Loss On Ignition, Total Sulfide, Chemical Oxygen Demand, Grain-Size Distribution].

  • PDF

굴 양식장 수역의 기초생산 연구 (Primary Production in the Osyter Farming Bay)

  • 이병돈;강형구;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9-51
    • /
    • 1991
  • 굴 양식장 수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기초생산력을 파악하기 위해 한산-거제만과 가막 양만을 대상으로 1년간 $^{14}C$ 법으로써 조사하였다. 한산-거제만의 경우, 일간기초생산력은 평균 $0.52gC/m^2/day(0.22{\~}1.02gC/m^2/day)$로 여름에 비교적 높고 겨울에 낮았다. 연간기초생산력은 $189gC/m^2/yr$로 추정되었다. 엽록소 a양은 평균 $1.70mg/m^3$로서 비교적 여름에 높았다. 가막양만의 경우, 일간기초생산력은 평균 $0.91gC/m^2/day\;(0.11{\~}3.61gC/m^2/day)$로 여름에 최고치 그리고 가을에 최저치를 보였다. 연간기초생산력은 $334gC/m^2/yr$로 추정되었다. 엽록소 a 양은 평균 $2.34mg/m^3$로서 여름에 최고치를 보였으며, 겨울에도 비 교적 높았다. 두 굴 양식장의 수면적을 고려하면,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생산되는 탄소량은 한산-거제만이 9,450ton이고 가막양만이 37,000ton이었다. 본 조사수역의 기초생산력은 봄의 생산력 증가와 함께 여름에 높은 생산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