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icapped pers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154초

시각 장애우를 위한 Wearable Computing System (Wearable Computing System for the bland persons)

  • 김형호;최선희;조태종;김순주;장재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61-263
    • /
    • 2006
  • Nowadays, technologies such as RFID, sensor network makes our life comfortable more and m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arable computing system for blind and deaf person who can be easily out of sight from our technology. We are making a wearable computing system that is consisted of embedded board to processing data, ultrasonic sensors to get distance data and motors that make vibration as a signal to see the screen for a deaf person. This system offers environmental informations by text and voice. For example, distance data from a obstacle to a person are calculated by data compounding module using sensed ultrasonic reflection time. This data is converted to text or voice by main processing module, and are serviced to a handicapped person. Furthermore we will extend this system using a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text to voice convertor module to help communication among the blind and deaf persons.

  • PDF

화상인식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보조장치 (Ambulatory Aid Devic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Person Using Image Recognition)

  • 박상준;신동원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68-572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the device of recognizing image of the studded paving blocks,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by vibration to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Usually the blind uses the walking stick to recognize the studded paving block. This research uses a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image processing approach for recognizing the paving blocks. We classify the studded paving blocks into 5 classes, that is, vertical line block, right-declined line block, left-declined line block, dotted block and flat block. The 8 images for each of 5 classes are captured for each block by 112*120 pixels, then the eigenvectors are obtained in magnitude order of eigenvectors b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principal components for images can be calculated using projection of transformation matrix composed of eigenvectors. The classification has been executed using Euclidean's distance, so the block having minimum distance with a image is chosen as matched one.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blind by electric vibration signals with different magnitudes and frequencies.

손가락 Pointing에 의한 물체의 3차원 위치정보 인식 및 인식된 물체 추적 로봇 시스템 (3D Object Location Identification Using Finger Pointing and a Robot System for Tracking an Identified Object)

  • 곽동기;황순철;옥서원;임정세;김동환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03-709
    • /
    • 2015
  • In this work, a robot aimed at grapping and delivering an object by using a simple finger-pointing command from a hand- or arm-handicapped person is introduced. In this robot system, a Leap Motion sensor is utilized to obtain the finger-motion data of the user. In addition, a Kinect sensor is also used to measure the 3D (Three Dimensional)-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sired object. Once the object is pointed at through the finger pointing of the handicapped user, the exact 3D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determined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and a coordinate transformation between the Leap Motion and Kinect sensors.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obtained is transmitted to the robot controller, and that the robot eventually grabs the target and delivers it to the handicapped person successfully.

장애인전용주차구역제도의 이용행위 분석 (An Analysis on the Users' behavior of the Parking Area for the handicapped)

  • 양숙미;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55-63
    • /
    • 2011
  • 본 연구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이용 중 위반행위에 초점을 두고 위반행위 실태를 분석하여 운영상의 문제점을 점검하여 적법한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16개 시도의 관공서, 상업시설, 공동주택, 의료시설, 문화 및 체육시설, 고속도로 휴게소 등 총 50개소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행위자를 대상으로 현장 방문 면접조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위반행위는 장애인 주차가능표지 미 부착 행위와 보행 장애인 미 동반 위반행위로 나타났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제도의 적법한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대한 인식과 홍보를 확대해야 하고, 주차단속에 초래되는 비용 인력 민원 등의 관리운영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위반 행위 개선을 위해 위반행위 발생 후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법률 개정안을 마련해야 한다.

노약자용 휠체어 리프트 유압시스템 설계 (Design of Hydraulic Power Lifter for the Elder and the Handicapped)

  • 이수철;임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8-73
    • /
    • 2002
  • 본 연구는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인 휠체어 장애인의 접근을 돕는 휠체어리프트 개발을 위하여 안전을 고려한 유압시스템과 제어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설계기술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현대는 고령화시대에 진입하면서 노약자와 장애인의 이동권과 접근권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동휠체어장애인과 보호자를 버스에 탑승 할 수 있는 접근성을 향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리프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정성과 편리성을 중심으로 리프트를 선계 제작하고자 한다. 이 선계기술은 노약자 및 장애인의 이동권과 접근권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휠체어리프트의 대량생산체제를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됨으로써 제품의 안전도와 정밀도 품질보증 확보에 큰 기여를 하게 된다.

  • PDF

장애인을 위한 LCD 터치스크린 방식의 키보드 설계 및 구현방안 (Design and Implementation Scheme of Keyboard based on LCD Touch Screen for Handicapped person)

  • 김남희;이종찬;김영철;고등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7-430
    • /
    • 2006
  • 정보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은 인터넷을 비롯한 많은 IT 기술이 주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리나 이러한 IT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은 정보기술을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중의 하나가 키보드의 사용이다. 물리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이 기존의 키보드를 이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장애를 가진 장애인이 편리하게 정보기술의 혜택을 누리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단계인 키보드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기 위한 키보드 설계 및 구현방안을 제안한다.

  • PDF

노약자용 휠체어 리프트 유압시스템 설계 (Design of Hydraulic Power Lifter for the Elder and the Handicapped)

  • 이수철;임구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
    • /
    • 2002
  • 본 연구는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인 휠체어 장애인의 접근을 돕는 휠체어리프트 개발을 위하여 안전을 고려한 유압시스템과 제어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설계기술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현대는 고령화시대에 진입하면서 노약자와 장애인의 이동권과 접근권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동휠체어장애인과 보호자를 버스에 탑승할수 있는 접근성을 향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리프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정성과 편리성을 중심으로 리프트를 설계 제작하고자 한다. 이 설계기술은 노약자 및 장애인의 이동권과 접근권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휠체어리프트의 대량생산체제를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됨으로써 동 제품의 안전도와 정밀도 품질보증 확보에 큰 기여를 하게된다.

  • PDF

일부 복지관 장애인치과 내원 환자들의 서비스 만족도 및 진료 후 변화 인식도 연구 (A study on quality of handicapped inpatients' service satisfaction at special dental clinic and their transformed perceptions toward to the dental treatment services)

  • 박순주;최성우;박선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001-1014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discovering the basic references to find the ways to vitalize handicapped dental clinics. Methods : The study was analyzed by the satisfactions of those patients who took the advantages of using the dental care at B-welfare center and also their transformed perceptions after the services are influenced. The analysis was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00 items and survey data. Results : 1. The satisfaction of the dental service for the disabled was respectively high which was the average of 4.49. 2. Their satisfactions of receiving kindness services by volunteers and employees were the highest in the entire research of successful handicapped dental services and it was 4.78 overall. 3. The satisfaction of using handicapped dental clinic has the higher range of female users than male's. In the mean time treatment details of the dental care and the satisfaction towards to the volunteers and faculty at the center show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gap. 4. The oral care service after experiencing the dental clinic for handicapped relived their discomforts of using the regular dental clinic which shows their highest satisfaction as it is the point of 4.75. 5. the change perception after dental treatment for handicapped has the higher range of females than men's and solving the problems of mouth reference and discomfort of using regular clinics show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gap. 6. In the change perception after having dental treatment for handicapped the thought of the possibility of periodical dental care shows the highest perception when the number of visiting is usually shorter and it show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ose inpatients who use free dental care services that belong to dental clinics for handicapped in a part of Seoul welfare centers human services were 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ue to their advantages of taking services from volunteers and staff members. On the other hand to enhance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and environment which showed the weakest factors each inpatient should be specifically specialized for their needs and also further study on plans which enhance their perceptions toward to a better quality of oral-related life is required after using dental treatment service.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등의 편의 증진시설 실태조사 리스트 개발연구 -공공건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ing the List of Actual Condition Research to Improve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ged men,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 - a focus on public building -)

  • 유석종;양우창;유상완;온순기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77-88
    • /
    • 2004
  • 장애인 편의시설에 관한 본격적인 관심은 1988년 서울 장애인올림픽대회를 계기로 장애인의 물리적 환경개선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장애인복지법이 전면 개정되어 편의시설 설치조항이 구체화된 1990년도 초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서구의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의 확산과 함께 장애인 편의시설의 설치방향에 대한 새로운 개념정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즉, 장애인을 독립적인 주제로 다루는 물리적 환경은 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보다는 오히려 비장애인으로부터 격리시키게 되고 그들의 차별감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장애인 편의시설은 장애인전용 보다는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접근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원칙에서 출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제정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1998)'은 이러한 움직임을 반영하기 위하여, 적용 대상을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으로 확대하였고 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이 이용하는 시설과 설비를 안전하고 편리하며 동등하게 이용하도록 하여 이들의 사회참여를 증진시켜야 함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또한, 장애인들이 다양한 유형의 차별에 대해 직접 상담을 의뢰, 당사자들의 권리의식이 높아지는 등 당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편의시설의 설치수가 급속히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편의시설이 양적 및 질적으로 기본적 수준을 갖추고 있지 못해,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의 생활반경을 축소시키며 그들의 사회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공공건물을 볼 때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에 활동에 시설적 부적절함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건물 이용 시 발생되는 시설적 부적절함을 조사할 수 있는 실태조사리스트를 개발하여 시설 특성에 대한 개선요구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공공건물 편의시설 관리기준 방향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디지털 보청기의 자동 보정 파라미터 추출 (Auto fitting Parameter Extraction for Digital Hearing Aids)

  • 석수영;정호열;정현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5호
    • /
    • pp.495-50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난청환자의 청각손실로부터 디지털 보청기의 보정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자동보정시스템을 구현한다. 디지털 보청기의 보정 파라미터는 난청환자의 청각 특성 오디오그램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보정 파라미터는 실제 GM3036 디지털 보청기를 이용하여 보정 시스템으로 구현되었으며, 각 파라미터는 이론적인 2cc 출력에 근접하도록 테이블화 하였다. 제안한 자동 보정 시스템을 적용하여 검사기로부터 출력을 검증하였고, 50명에게 사용하게 한후 만족돌르 조사한 결과 자동 보정 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