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 and Nakdong river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2초

하천 사행의 계량형태학적 특성 (Morphometrical characteristics of River Meandering)

  • 이재우;이원환
    • 물과 미래
    • /
    • 제14권1호
    • /
    • pp.39-49
    • /
    • 1981
  • 하천 재해 방지 및 하천 유지의 관점에서 반드시 구명되어야 하는 하천 사행에 관한 연구는 자연 현상에 대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금세기초부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발생 원인은 정설이 확립되지 않은 가운데 복합적인 여러 요인에 의하여 사행은 생성, 발달되며, mechanism의 고찰과 함께 계량형태학적 분석으로 사행 특성이 일부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로연장 30km 이상의 67개 대상하천에서 사행특성인자인 사행파장(M$$)과 사행대(M$$) 등의 관계를 구명하여 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하천의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직선 거리에 대한 유로 연장의 비인 유로형상계수(L$$)를 처음으로 제안했으며, 유로 연장에 대한 만곡부연장의 비인 Tortuosity(t)와 더불어, 유로연장, 사행경사, Horton의 유역형상계수 등과 상관분석 및 복합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L$$와 T가 하천사행의 한 척도가 됨을 밝혔다. 사행 유로부와 직유로부에서 유속과 수면경사, 하상굴곡도(degre of sinuosity)를 비교 검토한 결과, 사행 유로부가 직유로부보다 하상의 안정성이 높음을 알았다. 하천 수계별 사행파장과 사행대의 상관식은 각기 선형관계와 역함수관계로 대별되었으며, 남한강 수계의 경우에는 선형관계, 낙동강, 금강 수계의 경우에는 역함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 PDF

Active Exchange of Water and Nutrients between Seawater and Shallow Pore Water in Intertidal Sandflats

  • Hwang, Dong-Woon;Kim, Gue-Buem;Yang, Han-Soeb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3권4호
    • /
    • pp.223-232
    • /
    • 2008
  • In order to determin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nutrient profiles in the shallow pore water columns (upper 30 cm depth) of intertidal sandflats, we measured the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pore water and seawater at various coastal environments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the intertidal zone,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pore water showed marked vertical changes with depth, owing to the active exchange between the pore water and overlying seawater, while they are temporally more stable and vertically constant in the sublittoral zone. In some cases, the advective flow of fresh groundwater caused strong vertical gradients of salinity and nutrients in the upper 10 cm depth of surface sediments, indicating the active mixing of the fresher groundwater with overlying seawater. Such upper pore water column profiles clearly signified the temporal fluctuation of lower-salinity and higher-Si seawater intrusion into pore water in an intertidal sandflat near the mouth of an estuary. We also observed a semimonthly fluctuation of pore water nutrients due to spring-neap tide associated recirculation of seawater through the upper sediments. Our study shows that the exchange of water and nutrients between shallow pore water and overlying seawater is most active in the upper 20 cm layer of intertidal sandflats, due to physical forces such as tides, wave set-up, and density-thermal gradient.

낙동강(洛東江) 주요(主要) 환경(環境) 구성분중(構成分中)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잔류분(農藥殘留分)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in Major Enviromental Components of Nakdong River)

  • 박창규;한대성;허장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6-44
    • /
    • 1984
  • 낙동강(洛東江) 류역중(流域中) 8개(個) 지점(地點)에서 1982년(年) 8월(月)부터 1983년(年) 6월(月)까지 2개월(個月) 간격으로 채취(菜取)한 수질(水質) 48점(點), 저이토(底泥土) 48점(點) 및 붕어 29점(點)에 대하여 유기린계(有機燐系) 기류농약(幾留農藥)을 FPD부착(附着) GLC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질(水質), 저이토(底泥土) 석시(析時) 원소황(元素黃)의 간사(干沙)은 copper powder 또는 raney nickel로 제거(除去)하였다. 2) 낙동강(洛東江) 환경시료(環境試料)중 수질(水質)과 붕어에서 유기린계(有機燐系) 잔유농약(殘留農藥)이 검출(檢出)되었으나 저니토(底泥土)에서는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3) 농약(農藥) 성수기(盛需期)인 8월(月)에 채취(採取)한 수질(水質)과 붕어시료(試料)에서는 IBP, diazinon, phenthoate, parathion, malathion 및 fenitrothion 등(等) 6종(種)의 유기린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이 검출(檢出)되었다. 4) 수질(水質) 및 붕어중(中) 유기린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잔유량(殘留量)은 계절적(季節的) 변이(變異)가 인정되었으며, 수질(水質) 및 붕어중(中) diazinon과 IBP의 천유량(淺留量)이 가장 많았고, phenthoate, parathion, malathion 및 fenitrothion은 검출빈도(檢出頻度) 및 잔유수준(殘留水準)이 낮았다.

  • PDF

수문학적 가뭄 특성 분석을 위한 독립성 검정 기반의 적정 임계수준 결정 (Determining proper threshold levels for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based on independent tests)

  • 김태웅;박지연;신지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3호
    • /
    • pp.193-200
    • /
    • 2020
  • 수문학적 가뭄은 하천, 저수지, 지하수 등과 같은 가용 수자원의 부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가뭄에 대한 체감이 기상학적 가뭄에 비하여 크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홍수기에 집중되는 강우 특성으로, 비홍수기에는 댐과 저수지의 저류량에 크게 의존하여 수자원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수문학적 가뭄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수문학적 가뭄은 정상보다 낮은 유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대부분 수문학적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주로 임계수준방법(threshold level method)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임계수준방법은 작은 미소가뭄으로 인한 독립성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는 12개 지점의 유량자료를 활용하여 독립성 검정을 실시한 후, 우리나라의 수문학적 가뭄 특성 분석을 위한 적정 임계수준을 제시하였다. 일별 유황곡선을 작성하고 50 ~ 99 백분위수를 적용하여 가뭄사상을 추출하였다. 적정 임계수준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독립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포아송 분포의 독립성 검정결과, 여주시 지점과 평택시 지점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점들은 87~99 백분위수 구간이 적정한 것을 나타났으며, 일반 파레토 분포의 독립성 검정결과, 80~90 백분위수 사이가 가장 적절하였으며, 평균 초과도표에서는 80 ~90 백분위수 구간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각 권역별로 적정 임계수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권역에 해당하는 지역들의 공통범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강권역에서는 70~76 백분위수, 낙동강권역은 87~91 백분위수, 금강권역에서는 86~98 백분위수, 영산 및 섬진강권역에서 85~87 백분위수 구간이 적정한 임계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Description of 17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freshwater showing antibiotic resistance in Korea

  • Baek, Kiwoon;Kim, Eui-Jin;Han, Ji-Hye;Choi, Ahyoung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289-298
    • /
    • 2020
  • As part of the research program "2018 Rapid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microorganisms using MALDI-TOF/MS library" fresh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branch of the Nakdong River. Almost 300 antibiotic-resistant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freshwater samples and subsequently identified by 16S rRNA gene sequencing. Seventeen strains among the isolates shared high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99.0%) with known species that were not previously recorded in Korea, and each of the isolates also formed a robust phylogenetic clade with the closest species. These species were phylogenetically diverse, belonging to four phyla, seven classes, 10 orders, and 13 genera. At the genus and class level, th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belonged to Rhodovarius, Xanthobacter, and Shinella of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Ottowia, Simplicispira, and Zoogloea of Betaproteobacteria; Pseudomonas, Acinetobacter, and Shewanella of Gammaproteobacteria; Arcobacter of Epsilonproteobacteria; Sphingobacterium of Sphingobacteriia; Trichococcus of Bacilli; and Leucobacter of Actinobacteria. Th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were further characterized by examining their gram-staining, colony and cell morphology, biochemical properties, and phylogenetic position.

부산광역시 낙동강 생태공원의 귀화식물상과 특성 - 을숙도생태공원, 맥도생태공원, 삼락생태공원을 중심으로 -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Nakdong River Ecological Park in Busan Metropolitan City - Focused on Eulsukdo, Maekdo and Samnak ecological parks -)

  • 곽수빈;정재현;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9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to establish management solutions and to improve biodiversity by calculating similarity index, urbanization index (UI), and disturbed index (DI)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and invasive alien plants in Eulsukdo, Maekdo and Samnak ecological parks in Busan, South Korea.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identified in these parks were 76 taxa; 20 families, 53 genera, and 76 species. As a result of the similarity index analysis, the most similarity level (83.0%) was obtained at Eulsukdo and Maekdo parks. The numbers of invasive plants identified in the two parks were 11 taxa; Rumex acetosella L.,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mbrosia trifida L., Hypochaeris radicata L., Lactuca serriola L., Solidago altissima L.,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Paspalum distichum L., and Humulus scandens (Lour.) Merr. Overall, UI and DI were 28.6% and 66.7%,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ecosystem disruption was serious.

정수처리 응집효율 개선을 위한 Al(III)염과 Fe(III)염 응집제의 비교 (Comparison of Al(III) and Fe(III) Coagulants for Improving Coagulation Effectiveness in Water Treatment)

  • 한승우;강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25-331
    • /
    • 2015
  • 낙동강 하류부의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Al(III)염과 Fe(III)염계 응집제를 이용한 응집제의 특성 실험 결과, alum과 $FeCl_3$의 경우는 모노머성 화학종이 각각 98%와 93.3%로 응집제내에 함유된 주된 가수분해종은 모노머성 화학종임을 알 수 있었다. 염기를 첨가하여 제조한 염기 첨가비 r=1.2인 PACl의 경우 폴리머성 Al(III)종은 31.2%이었으며, r=2.2인 PACl의 경우 함유된 폴리머성 Al(III)종은 85.0%로 r 값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폴리머성 Al(III)종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제별 응집실험 결과, 원수의 탁도가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응집제별 탁도 및 유기물 제거정도는 $FeCl_3$ > PACl (r=2.2) > PACl(r=1.2) > alum의 순으로 나타났다. Al(III)계 응집제 보다 $FeCl_3$의 경우 응집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l(III)계 응집제의 경우 염기도가 높은 응집제의 경우 polymeric Al(III)종을 많이 함유함에 따라 응집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염기도가 높은 응집제일수록 응집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적용된 응집 pH 범위(pH 4.0~9.5)에서 모든 응집제의 최적 응집 pH는 약 7.0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염기도 PACl (r=2.2)과 $FeCl_3$의 경우 pH 7.0 이상에서도 높은 탁도 응집효율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pH가 높은 상수원수의 경우 탁도 제거에서는 고염기도 PACl이나 $FeCl_3$ 응집제가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원수 수질특성과 응집제 염기도에 따른 응집 pH 및 주입량의 영향 (The Effects of pH and Dosages According to Qualities of Raw Waters and Basicity of Coagulants)

  • 박노백;이범;전동걸;이영주;전항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81-593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w water pH and basicity of coagulants on turbidity removal with several raw waters having different level of turbidity, alkalinity and pH. Raw waters were sampled from M, S and B water treatment plants(WTP) located at Miryang, Nakdong, Han river, respectively. Six coagulants which have different levels of basicity and aluminum contents were used for this evaluation. High basicity of the coagulant helped to properly control coagulation processes for treating turbid and low alkali raw water. It was difficult for operators to determine optimum coagulant dose for high basicity coagulants, since residual turbidity tended to decrease continuously as coagulant dose increased. Turbidity removal efficiencies with high basicity coagulants(E and F) were higher than the other coagulants at ambient pH for the M WTP. Turbidity removal efficiencies, however, at adjusted pH 7.0 showed similar among six coagulants. Residual turbidity kept low at excess dosages with high basicity coagulants. Optimum coagulant dosages at adjusted pH 7.0 showed higher than those at ambient pH in M WTP. On the contrary in B WTP, optimum coagulant dosage at ambient pH were higher than that at adjusted pH 7.0.

한반도 담수어류의 분포와 다양성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Freshwater Fishes in Korean Peninsula)

  • 윤주덕;김정희;박상현;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51권1호
    • /
    • pp.71-85
    • /
    • 2018
  • 최근 생물 다양성이 생태계의 기능과 서비스 측면에서 강조되면서 생물 분류군별 다양성 및 분포 파악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국내 담수어류의 분포 및 다양성에 관한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서서 본격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전국적인 분포 및 다양성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반도 남한지역 전 수계를 대상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하는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의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에 서식하는 담수어류의 분포 및 다양성을 파악하고, 더불어 국내 담수어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전국 953개 지점에 대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2014년 결과 활용) 결과 총 28과 130종의 담수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지점에서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상대풍부도, 28.2%)와 참갈겨니(Zacco koreanus, 19.3%)였으며, 20종의 멸종위기종, 51종의 고유종, 4종의 외래종이 출현하였다. 대권역별 비교 시 한강 대권역에서 가장 많은 96종이 확인되어 다양성이 높았으며, 영산/섬진강 대권역에서 가장 적은 72종이 확인되어 다양성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수계별 평균 고유화 빈도는 32.7%였고 이는 과거 결과와 비교하여 증가한 수치였다. 외래종인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떡붕어 (Carassius cuvieri)는 동해안 수계를 제외한 전역에 확산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는 3지점에서만 출현하여 현재까지 국내 수계에 적응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28종의 이입종이 확인되었고 이들의 대부분은 낙동강 및 영동지역 수계로의 이입이었다. 이 중 끄리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강준치 (Erythroculter erythropterus)는 낙동강 중 하류에서 우점적으로 출현할 만큼 확산이 이루어졌으며, 이들은 외래종 못지 않은 포식압으로 이입된 수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4대강 공사로 인해 공사 전/중/후의 어류군집이 달라진 것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물리적인 서식 환경의 변화로 인해 고유종의 감소와 정수성 어종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인간의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간접영향으로 나타나는 지구온난화는 장기적으로 국내 수계에 현재까지 적응하지 못한 외래종들의 정착을 가능하게 하면서 담수어류 다양성 및 분포 변화를 가속화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내 상황에 맞는 실질적이면서 효과적인 담수어류의 관리 및 보호 방안 수립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전국을 토대로 기초적이고 정량적인 자료가 도출되는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와 같은 연구가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차원 수질 예측 모형의 검보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낙동강에서의 적용 (Development of 1-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Automatizing Calibration-Correction and Application in Nakdong River)

  • 손아롱;한건연;박경옥;김병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765-777
    • /
    • 2011
  • According to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exact prediction and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discharge has been required in order to allocate the amount of pollution load to each local government. In this study, QUAL2E model was used for comparison with other water quality models and improve the inadequate to forecast future water quality. And Various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deal with existing uncertainties of parameter during modeling water quality. For user convenience, A GUI(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named "QL2-XP" model is developed by object-oriented language for the user convenience and practical usage. Suggested GUI system consist of hydraulic analysis, water quality analysis, optimized model calibration processes, and postprocessing the simulation results. Therefore this model will be effectively utilized to manage practical and efficient wate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