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ophytes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6초

퉁퉁마디를 가해하는 퉁퉁마디뿔나방 Scrobipalpa salinella (Zeller) (나비목, 뿔나방과)의 재발견 및 피해 (Rediscovery of Scrobipalpa salinella (Zeller) (Lepidoptera, Gelechiidae) Feeding on Salicornia europaea Linneaus in Korea)

  • 박진영;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09-313
    • /
    • 2008
  • 전남 신안군의 퉁퉁마디 재배지에서 대 발생하여 피해를 초래한 해충이 뿔나방과의 Scrobipalpa salinella (Zeller)로 확인되었다. 본 종은 Park & Ponomarenko (2006)에 의해 국내에서 처음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동정이 어려운 암컷 한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염생식물이 없는 산간지역에서 발견된 점 등으로 분포에 대한 의문점이 상존해 왔었으나 금번 조사결과로 국내 분포가 재 확인되었다. 종의 분류동정을 위한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 제공과 함께 유충의 발생 및 피해에 대해 조사된 내용을 기술하였다.

Antibacterial Activity of Suaeda australis in Halophyte

  • Kim, Hye-Ran;Park, Gyu-Nam;Jung, Bo-Kyoung;Yoon, Weon-Jong;Jung, Yong-Hwan;Chang, Kyung-So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78-285
    • /
    • 2016
  • The discovery of various activities of natural plants has increased interest in halophytes. Suaeda australis and S. maritime are perennial halophytes that belong to the Chenopodiaceae family. Extracts of S. australis and S. maritime plants were investigated for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bacterial specie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as well as total phenolic content. The S. australis extract ($500{\mu}g/mL$) showed activity against all the bacterial species including P. aeruginosa, P. mirabilis, A. baumannii, and VRE with 61.1, 42.3, 44.49, and 40.38%, respectively, inhibition and suppressed of these four species for 12 h. Overall, the S. australis extract showed marked antibacterial activities while, in contrast, the S. maritime extract had excellent antioxidant effects. However, the effects of the two extracts were much lower than that of quercetin.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 australi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perform further phytochemical studies of S. australis.

해변염생식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IV) - 입지조건이 다른 염생식물군집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o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IV)-The Halophyte Communities at the Different Salt Marsh Habitats)

  • Kim, Cheol Soo;Tae Gon S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3호
    • /
    • pp.167-176
    • /
    • 1983
  • Species composition, life form, biomass and soil properties of the halophyte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from July to September, 1982. At the reclaimed land of Sanho-ri, sand dune of Jido, salt marsh of Suncheon Bay, and Somjin River estuary of Baealdo, species numbers were 26, 14, 13 and 7, dominant species were Salicornia herbaceae, Carex pumila and Suaeda japonica, respectively. Species composition of the 4 investigated areas was 13 families, 25 genera and 39 species, and of them, 10 families, 21 genera and 24 species were attributed to halophytes. Out of 22 life forms, the representative for Jido was $ G-D_4-R_1-3-e.t$and those for the other sites were Th-G4-R5-e. Above ground biomass of all species for Sanho-ri, Jido, Suncheon Bay and Baealdo were 441.3, 202.0, 150.7 and 353.3 g.dw/m2 and the ratios of above ground biomass halophytes to all species were 93.5, 92.7, 90.8 and 100%, respectively. The leading dominant species formed a continuum according to the salt gradiant. The similarity between Baealo and Suncheon Bay was relatively high, and Jido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species composition. Aster tripolium was stenohaline and appeared at the low salt concentration, but Suaeda maritima and Suaeda asparagoides were duryhaline and occured at the relatively high salt concentration.

  • PDF

염생식물을 이용한 항만 녹색공간 창출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Creation Method of Green Space for Port Ecosystem Using the Halophytes)

  • 명현호;이점숙;전지영;송만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50-56
    • /
    • 2011
  • 항만생태계 녹색공간 창출을 위해 우리나라 항만에 분포하는 식물상특성, 환경요인분석, 항만유형분석, 적합종, 최소보존면적산출을 통해 식재모식도를 작성하였다. 50개 조사지역에서 44과 174종의 관속식물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염생식물은 19과 48종이 분포하였다. 우점군락은 통보리사초, 갯그령, 좀보리사초, 갯씀바귀, 순비기나무, 갯메꽃, 해당화, 갯완두, 솔장다리, 우산잔디, 번행초, 칠면초, 해홍나물, 갯잔디, 갈대를 포함하여 15개 군락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결과 Clay marsh, Sand marsh, Sand gravel marsh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생육지 유형별 적합종으로 clay marsh는 칠면초, 갈대, 갯잔디, 해홍나물 sand marsh는 갯그령, 갯씀바귀,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sand gravel marsh는 갯메꽃, 순비기나무가 선정되었다. 적합종에 대한 최소보전면적을 산출하고 항만생태계 세부 유형별로 가이드라인과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내염성에 대한 염생식물과 비염생식물의 생리반응 (Physiological Response on Saline Tolerance between Halophytes and Glycophytes)

  • 이병모;심상인;이상각;강병화;정일민;김광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65
    • /
    • 1999
  • 본 실험은 간척지 식물들의 내염성 정도를 알아보고 식물의 내염성 기작을 규명하고자 14종의 식물을 공시하여 이들의 생리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체내의 프롤린 함량은 증가하였다. 깨풀, 도깨비바늘, 붉은서나물, 망초, 미국개기장, 까마중은 200mM NaCl에서 급격한 함량 증가를 보였으나 가는갯는쟁이, 나문제는 변화의 폭이 작았다. 또한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내 $Na^+$, $Cl^-$의 함량은 모두 증가하였다. 비염생식물인 깨풀, 바랭이, 까마중은 200mM NaCl에서 $Na^+$$Cl^-$은 증가폭이 컸고 나문제, 가는갯는쟁이, 갯개미자리는 200mM까지 $Na^+$, $Cl^-$은 증가폭이 작았다.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K^+/Na^+$율은 감소하였고, 염생식물인 나문제, 가는갯는쟁이, 갯개미자리의 $K^+/Na^+$ 율은 감소폭이 작아 세포내 이온균형의 항상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순천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Halophytes Naturally Growing in Suncheon Bay)

  • 서영교;김미애;유영현;윤혁준;우주리;이경민;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0
    • /
    • 2012
  • 순천만에 자생하는 2종의 염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내생 진균을 분리하였다. 사용 되어진 염생식물은 칠면초와 천일사초이며,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최소배지를 사용하여 내생진균을 배양한 후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된 15 내 생진균 균주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칠면초에서 5속, 천일사초에서 7속의 내생진균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Shannon's diversity index(H')를 이용하여 칠면초와 천일사초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들의 종 다양성은 각각 1.561과 1.889로 확인되었으며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통분석을 수행하였다. 순천만 자생식물인 칠면초와 천일사초의 내생진균에서 자낭균문 Pezizomycotina 아문이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Pezizomycotina 아문 중에서도 Sordariomycetes 강, Dothideomycetes 강, Eurotiomycetes 강에 속하는 내생진균이 칠면초와 천일사초에 모두 분포는 것을 확인하였다.

강화 동검도 염습지 식생의 대형저서동물군집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Salt Marsh Vegetation in Donggeomdo, Ganghwa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이형곤;윤건탁;박흥식;홍재상;이재학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8권2호
    • /
    • pp.115-128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benthic distribution patter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alt marsh vegetation in Donggeomdo, Ganghwa on the west coast of Korea. Nine stations were fixed on a transect across the salt marsh vegetation, and field sampling was carried out monthly from July 1997 to June 1998. A total of 38 species of macrobenthos were recorded: each of faunal groups, 13 (34.2%) Arthropoda, 12 (31.6%) Polychaeta, 8 (21.1%) Mollusca, and 5 (13.2%) others. The mean density was $2,659individuals/m^2$, with a mean biomass of $178.6gWWt/m^2$. Mollusca dominated in terms of abundance and biomass, with a mean density of $2,172individuals/m^2$ (81.7%) and a mean biomass of $131.9gWWt/m^2$ (73.9%). The number of species decreased in winter (January-February), while mean density increased in the spring (May-June). The biomass was relatively in Summer and Fall (July-November), than any other season.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 in pure stands of Suaeda japonica in the lower salt marsh vegetation, and the mean density and biomass were high in mixed halophyte communities in the middle salt marsh vegetation. Two Mollusca, the bivalve Glauconome chinensis and gastropod Assiminea lutea, were dominant. The densities of these two species were high in mixed halophyte communities in the middle salt marsh vegetation.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showed tha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four groups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idal levels and halophytes. Spearman's rank correlation revealed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were related to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salinity of the substrates, exposure time, and grain size compositions of the sediment in the salt marsh vegetation. Particularly,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some dominant species showed differences along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halophytes.

우리나라 해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포 특징 (Distribution Patterns of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 in Korea)

  • 이민수;김성환;정회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39-159
    • /
    • 2019
  • 본 조사는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부로 2017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전체 해안에 설정된 157개 정점을 중심으로 조간대 및 해안사구와 사빈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염생식물은 총 72종이 확인되었으며 분포 면적은 총 $1,813,546m^2$이었다. 서해안 권역에서는 칠면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며, 남해안 권역에서는 갈대 군락이 우점 군락이고, 동해안 권역에서는 통보리사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었다. 조사지역 전체로는 갈대 군락이 $1,136,643m^2$ (62.7%)으로 가장 넓었다. 상위 11개 우점 식물 군락은 갈대 군락, 칠면초 군락, 해홍나물 군락, 갯잔디 군락, 통보리사초 군락, 갯그령 군락, 기수초 군락, 모새달 군락, 지채 군락, 좀보리사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이며, 특히 갈대 군락과 칠면초 군락은 전체 면적의 75.9%를 차지하여 압도적이었다. 우리나라 해안의 염생식물 분포는 대부분 기후 차이보다는 서식처의 형태가 염생식물의 서식 형태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같은 권역 내에서도 서식처의 다양성 정도에 띠라 염생식물의 출현종과 서식범위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