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itosis-related Symptom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구강 자각증상의 융합적 관련성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al Subject Symptoms in Office Workers)

  • 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40-150
    • /
    • 2020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가 구강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경기도 일부 지역 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직무 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직무 불안정은(p<.01)저작 장애에, 직무 요구는(p<.01)잇몸 출혈 및 잇몸질환에, 긍정적 조직체계는 구취와(p<.05)잇몸 출혈 및 잇몸질환에(p<.01)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된 구강 자각증상을 예측한다면 직장인의 계속 구강 건강관리는 물론 성인 구강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 위험 행동과 구강 증상에 관한 연구 (Health Risk Behavior and Oral Symptoms i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심선주;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46-252
    • /
    • 2020
  • 본 연구는 제15차(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다문화 청소년들의 건강 위험 행동들이 주관적인 구강 증상에 미치는 위험요인을 조사하였다. 다문화 가족 범위는 한국인 여성과 결혼한 이주 남성 가족,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이주 여성 가족의 자녀로 한정 지었으며, 572명을 연구 대상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사회경제학적 변수로는 성별, 학년, 경제 수준, 학교 성적이 조사되었으며, 건강위험 행태로는 음주, 흡연, 약물 복용, 스트레스, 수면 만족, 자살 생각, 우울 경험, 취침 전 잇솔질 여부가 조사되었고 구강 증상으로는 치아 통증, 잇몸 통증, 입 냄새 여부가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치아 통증은 음주, 취침 전 잇솔질, 스트레스, 수면시간, 자살 생각, 우울 경험 여부와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잇몸 통증은 약물복용, 수면, 자살 생각, 우울 경험에서 관련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구취는 약물복용, 취침 전 잇솔질, 스트레스, 자살 생각, 우울 요인과 관련성을 보였다. 건강위험 요인이 구강 증상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치아 통증은 음주, 스트레스, 수면시간이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잇몸 통증은 흡연, 수면, 자살이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취는 취침 전 잇솔질 여부와 스트레스가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해 국가 차원의 방과 후 활동이나, 동아리 활동 등의 시간에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정책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에서 구강건강행동 및 구강자각증상과 BMI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BMI, oral health behavior and perceived oral symptoms among child care teachers)

  • 안소연;박소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69-776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BMI), oral health behavior, and perceived oral symptoms among child care teacher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10 child care teachers who worked in child care centers in Jeollabukdo Province, Korea. A cross tab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oral symptoms and BMI. Results : BMI in child care teachers was 35.1% and male and married teachers had higher BMI. Higher BMI revealed perceived periodontal disease in smokers. Higher BMI was closely related to perceived xerostomia and halitosis. Conclusions : BMI is a very important index to develop health improvement and obesity control.

일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ocial welfare workers according to oral health status)

  • 송애희;윤혜정;임선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77-284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ocial worker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40 social workers in Gwangju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age, monthly salary,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systemic health condition(systemic diseases, medication, oral health status, and stres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cluded skin dryness, eye dryness, lip dryness, and nasal dryness. The subjective dry mouth consisted of 6 question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VAS). Cronbach's alpha was 0.868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for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ocial workers varied by age, oral health status, stress status, and halitosis.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dry mouth and whole body dry symptoms. The health status(${\beta}=-0.410$) had the influence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nasal dryness(${\beta}=0.230$), age(${\beta}=0.189$), and halitosis (${\beta}=0.162) in order. Conclusions: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closely related to the health status and nasal dryn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quality of life improvement programs including oral health prevention and care program in the social workers.

이진탕가미방(二陳湯加味方)과 침치료를 병행한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7인 증례보고 (Seven Cases of Non-Erosiv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ho were Treated by Ljintang-Gamibang and Acupuncture)

  • 임희용;오중한;김동우;최빈혜;허진일;김대준;변준석;김봉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926-934
    • /
    • 2005
  • It is well known that NERD(Non-erosiv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s a well known esophageal disease. Symptoms of NERD may be divided into two classes. Important symptoms are acid regurgitation and heartburn. Secondary symptoms are noncardiac chest pain, dysphagia, chronic coughing, hoarseness, sore throat, globus, halitosis, epigastric pain or discomfort and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related to bowel mov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NERD and Tan-San(呑酸) is complex. But the most common symptoms of NERD are acid regurgitation and heartburn. These symptoms arc similar to Tan-San and can be treated with oriental medical herb and acupuncture. Ljintang-Gamibang(二陳湯加味方) mentioned in the Donguibogam(東醫寶鑑) is one of these oriental medical herbs. Therefore,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first medical examination and end of medical treatment with Ljintang-Gamibang and acupuncture was made. The clinical progress of NERD was investigated. After treatment, all seven patients showed improvement in all symptoms associated with NERD, including general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jintang-Gamibang and acupuncture are an effective treatment for NERD and progressive research to develop a practical treatment of NERD are needed.

  • PDF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구강 증상과의 융합적 관련성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and Oral Symptoms in Adolescents)

  • 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83-90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증상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청소년기의 구강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고등학생 27,9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강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잇몸 통증 증상을 낮게 인지한 경우는 남자, 저학년, 소득수준이 높은 경우,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가 매우 좋은 경우 유의하게 낮았다.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는 통증 인지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구취 증상을 높게 인지한 경우로는 남자,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1일 잇솔질 실천 횟수가 적은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소득이 높은 경우,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가 매우 좋은 경우에는 구취 인지가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행태가 구강 증상에 영향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구강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전타액분비율과 구강건조증의 관련요인 분석 (The Associated Factors with Whole Saliva Flow Rate and Xerostomia)

  • 박은선;최준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1-179
    • /
    • 2012
  • 본 연구는 구강건조증과 전타액분비율과의 관련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건강인식도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2011년 1월 14일부터 2월 22일까지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의 성인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비자극성, 자극성 전타액분비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조증 인식도와 전타액분비율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구강건조의 완화를 위해 껌 사탕을 섭취'하는 집단에서 자극성 전타액분비율이 낮았다. 2. 중학교 졸업자와 사별(미혼) 집단에서 구강건조증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중학교 졸업자는 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비자극성 전타액분비율과 자극성 타액분비율이 더 낮았고, 여성은 남성보다 비자극성 전타액분비율이 낮았다. 3.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폐경 상태이고, 우울증 증상이 많으며, 치주질환 증상과 혀 작열감 등을 인식한 집단에서 구강건조증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우울증의 증상이 많고 구취를 인식한 집단에서 비자극성 전타액분비율이 낮았다. 4. 삶의 만족도가 낮고 삶이 무의미하며 부정적 기분을 자주 인지하고,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이 낮은 집단에서 구강건조증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삶의 만족도가 낮고 삶이 무의미하며, 자신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 자극성 전타액분비율이 더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인식도 및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구강건조증과 타액분비의 저하는 조기에 예방하여야 하며,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에 반드시 포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사이버 치과 진료 상담을 통해 살펴본 구강내과 질환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for the Importance of Diseases Associated with Oral Medicine by Analyzing the Dental Cyber Consultation)

  • 김수범;정재용;김철;김영준;박문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17-322
    • /
    • 2008
  • 현대화 사회로 갈수록 현대인들은 대도시 중심의 생활환경의 변화와 함께 일상적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측두하악장애, 구강점막 질환, 만성 신경병변성 통증 등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환자들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강릉대학교 치과병원 홈페이지의 사이버 진료실에 게재된 질문들의 내용들을 검토해서 치과 진료과별로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구강내과 영역에 해당되는 질환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전체 2000여 개의 질문 중 구강내과 진료에 대한 상담에 속하는 질문은 20.92%이었고, 구강악안면외과 진료에 속하는 질문이 16.87%, 치과보존과 16.67%, 치과교정과 14.02%, 치과보철과 12.25%, 치주과 8.36%, 소아치과 4.93%, 예방치과 2.08%, 기타 질문이 3.90%로 나타났다. 구강내과 진료에 대한 상담에 속하는 403개의 질문 중 구강점막 질환에 대한 질문이 44.17%,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질문이 41.19%, 구취에 관한 질문이 4.47%, 구강 건조와 관련된 질문이 3.23%, 다른 구강안면통증에 관련된 질문이 2.23%, 법치의학과 관련된 질문이 1.49%, 기타 질문이 2.98%로 나타났다. 구강내과 영역 질환에 대한 질문의 비율이 타과 진료 영역 질환과 관련된 질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해 볼 때, 구강점막 질환과 측두하악장애를 포함한 구강내과 질환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