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Analysis

검색결과 1,027건 처리시간 0.025초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식이물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ood Items of River Otter Residing in the Hongchon Stream)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91-596
    • /
    • 2012
  • 홍천강 유역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청정지역으로 수생태계의 대표적인 수달이 서식하는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서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분석을 위해 식이물 연구가 수행되었다. 총 478개의 흔적 및 배설물이 사용되었으며, 수달의 식이물 분석 결과 80.5%가 어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류 중 이 지역에서 가장 우점하는 갈겨니(Zacco temminckii)의 식이물이 확인되었으며, 양서류 및 조류가 섭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으로는 여름철 식이물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먹이자원이 여름철에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군업천과 내촌천의 식이물 구성 및 빈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현재 이 지역은 홍천-양양간 고속도로 건설이 진행되는 지역으로 수달 식이물 분석을 통한 인공서식지, 관리방안 도출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멧돼지 서식지 적합성 분석 모형 개발 -점봉산, 설악산 지역을 대상으로- (Development of Habitat Suitability Analysis Models for Wild Boar(Sus Scrofa) : A Case Study of Mt. Sulak and Mt. Jumbong)

  • 김원주;박종화;김원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247-25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설악산국립공원 및 점봉산천연보호림 일대의 생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멧돼지 서식지 적합성 예측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GIS DB는 2년간 무선송신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멧돼지의 서식지 이용 적합성 자료에 입각하여 대상지역의 임상, 영급, 향 경사도 수계 및 임도로부터의 거리 등으로 구축하였다. 서식지 적합성 분석은 전술한 6개의 영향인자를 중첩하여 계산하였고 이때 각 인자의 등급은 대상지의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표준화시켜 이용하였다. 서식지 적합성 분석인자는 여름, 가을 및 년중으로 구분하였으며, 적합성은 다시 5등급으로 재분류하였다. 점봉산 일대의 멧돼지 흔적관찰지점을 적합성 평가 도면에 중첩한 결과 일치율이 높아서 모형의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Hydrostatic Mooring Stability of Submerged Floating Ellipsoidal Habitats

  • Pak, Sang-Wook;Lee, Han-Seok;Park, Ji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328-334
    • /
    • 2019
  • Underwater architecture in providing a comfortable living space underwater is mandated to survive prevailing environmental loads, especially hydrostatic ambient water pressure exerted on the structure of individual habitat hulls at depth and hydrodynamic fluctuation of external forces that perturb the postural equilibrium and mooring stability of the underwater housing system, for which the design including the hull shape and mooring system constraint the responses. In this study, the postural stability of a proposed underwater floating housing system with three vertically connected ellipsoidal-shape habitat hulls of different sizes are theorized and calculated for hydrostatic stability, using MATLAB in the volumetric integration of a hull and the weight of operational loads under assumed scenarios. The assumptions made in the numerical method to estimate the stability of the habitat system include the fixed weight of the hulls, and their adjustable loads within operational limits for the set meteorological oceanic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numerically manipulate a) The buoyancy and b) The adjusted center of mass of the system within the range of designed external and internal load changes, by which the effective mooring system capability and postural equilibrium requirements were argued with the quantitative analysis.

Assessing the Carrying Capacity of Wild Boars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using MaxEnt and HexSim Models

  • Tae Geun Kim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3호
    • /
    • pp.115-126
    • /
    • 2023
  • Understanding the carrying capacity of a habitat is crucial for effectively managing populations of wild boars (Sus scrofa), which are designated as harmful wild animal species in national parks. Carrying capacity refers to the maximum population size supported by a park's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appropriate wild boar population size by integrat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habitat suitability for wild boars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using the HexSim program. Population characteristics included age, survival, reproduction, and movement. Habitat suitability, which reflects prospecting and resource acquisition, was determined using the Maximum Entropy model. This study found that the optimal population size for wild boar ranged from 217 to 254 individuals. The population size vari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resources available within the home range, indicating fewer individuals in a larger home range. The estimated wild boar population size was 217 individuals for the minimum amount of resources (50% minimum convex polygon [MCP] home range), 225 individuals for the average amount of resources (95% MCP home range), and 254 individuals for the maximum amount of resources (100% MCP home range). The results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ild boar population size based on the amount of resources within the home range. These findings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wild boar populations.

멸종위기 개리 (Anser cygnoides)의 월동기 서식지 이용과 먹이원 (Habitat Use and Food Materials of the Endangered Swan Goose (Anser cygnoides) during the Wintering Season)

  • 최유성;주성배;김면식;한동욱;정길상
    • 생태와환경
    • /
    • 제50권2호
    • /
    • pp.266-274
    • /
    • 2017
  • 멸종위기종 개리(Anser cygnoides)의 월동기 서식지 이용과 먹이원에 대해 연구하였다. 개리는 서천갯벌에 10월에 도래하여 약 6개월간 월동한 후, 다음해 4월초에 월동지를 떠나 번식지로 이동하였다. 서천갯벌에서 월동하는 동안 개리는 뚜렷한 지역 간 이동, 서식지 이용 패턴을 보였다. 즉 도래초기인 10월에는 주로 송림리 갯벌의 매자기류 (Bolboschoenus sp.) 군락지를 집중하여 이용하였으나, 11월부터는 장구만 지역으로 이동하여 연안 갯벌에 일부 존재하는 매자기류 군락지와 인근 농경지에서 섭식활동을 하였다. 배설물에서 추출한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개리가 사초과의 매자기류 식물을 월동기간 동안 주먹이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포와 섭식지 이용에 변화를 보이는 시기에 사초과 식물 외에도 콩과 식물의 검출양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리가 월동기간 동안 섭식하는 먹이원의 이용가능성 변화에 반응하여 서식지를 이용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서천갯벌은 개리의 월동지로서 가치가 있으며, 특히 송림리와 장구만 지역에 분포하는 매자기류 군락지는 월동기간 동안 개리가 이용하는 핵심지역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새만금호 일대 수달의 서식적합성 평가 및 공간변수와의 상관성 분석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of the Saemangeum Lake Area for Eurasian Otter(Lutra lutra)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atial Variables)

  • 신화용;신지훈;한성용;노백호;이준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4호
    • /
    • pp.298-306
    • /
    • 2020
  • 본 연구는 새만금호 일대 수달의 서식지적합도 분석과 공간변수(수역, 습지, 농경지, 시가지, 도로 등)와의 상관성이 수달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서식지적합성 분석결과, 전체 1097개 격자 중 1등급과 2등급이 380개 격자로 전체 34.6%로 확인되었고 4등급과 5등급이 413개 격자로 전체 37.7%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새만금 일대의 공간변수 별 수달 서식흔적과의 거리를 비교분석한 결과, 도로와 시가지는 거리가 멀수록 수달의 흔적이 확인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역과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흔적이 확인되었다. 새만금호 내부 공사로 인한 영향은 있으나 수역과 도로의 이격거리를 보면 시가지와 도로에서 이격거리가 근접한 지역과 가장 먼 지역과의 흔적차이가 2배에서 6배 이상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달의 서식지 복원시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 도로와 시가지는 최소한 500(m) 이상 이격거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남한강 수계 양화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상 및 분포특성 (The Characteristic of Fish Fauna and Distribution by Habitat Type in the Yanghwa Stream of the Namhan River Basins)

  • 이승현;이황구;신현선;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84-891
    • /
    • 2012
  • 2008년 8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양화천의 8개 미소서식처 유형에 따른 어류상 및 군집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8과 30종 2,797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Rhodeus uyekii 등 총 10종(33.3%)으로 확인 되었으며, 우점종은 Rhodeus notatus, 아우점종은 Pseudorasbora parva였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은 댐형 웅덩이, 개방형 하도습지에서 Pseudorasbora parva, 평여울에서 Pseudogobio esocinus, 급여울에서 Zacco platypus, 샛강, 낙차형 웅덩이에서 Rhodeus notatus, 사행형 웅덩이에서 Squalidus gracilis majimae, 폐쇄형 하도습지에서 Carassius auratus가 우점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낮고,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는 높게 나타나 서식처 유형별 비교적 안정적인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사도 분석과 주성분 분석 결과 8개의 서식처 유형들이 유수역 특성이 나타나는 서식처와 정수역 특성이 나타나는 서식처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NBR과 MaxEnt 모델 분석을 활용한 희귀특산식물(개느삼) 분포 및 피해량 예측 - 양구 비봉산 산불피해지를 대상으로- (Prediction of Potential Habitat and Damage Amount of Rare·Endemic Plants (Sophora Koreensis Nakai) Using NBR and MaxEnt Model Analysis - For the Forest Fire Area of Bibongsan (Mt.) in Yanggu -)

  • 윤호근;이종원;안종빈;유승봉;박기쁨;신현탁;박완근;김상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9-182
    • /
    • 2022
  • 본 연구는 산불피해가 발생한 접경지역 산림 내 희귀특산식물(개느삼) 분포를 예측하고 피해를 정량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산불피해강도에 따른 산림면적 피해(NBR), 임상도를 통한 수종별 피해(Vegetation map), MaxEnt 모델 분석을 수행, 보다 정밀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산불피해강도 분석은 위성영상(Landsat-8)을 활용하여, 산불피해강도(ΔNBR2016-2015)를 분석하고 피해범위를 도출하였다. 임상도 작성은 환경부의 토지피복도, 산림청의 임상도, 자체적으로 식생조사를 진행하여, 산불 전·후의 임상도를 작성하고, 수종 피해 및 변화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MaxEnt 모델 분석은 관련문헌과 자체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된 개느삼 실제서식지 좌표를 활용하여, AUC(Area Under Curve) 값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결과의 정밀도를 높이고자, 임상도와 결합하여, 개느삼이 주로 분포하는 소나무 군락 및 소나무-참나무림 군락을 대상으로 재분석한 결과, 대상지 내 개느삼 실제출현 좌표 325개소 중 299개 지점에서 개느삼 출현가능성이 92.0%로 예측되어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해당 자료를 산불피해강도(ΔNBR2016-2015) 자료와 중첩한 결과, 산불피해지 내 개느삼 서식가능지(예측) 면적 44,760 m2의 45.9%인 20,552 m2가 훼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불로 인해 훼손된 희귀식물 서식지 면적을 정량화하고 희귀식물 보전·관리를 위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형태학적 특성 및 로드킬 자료를 활용한 산림서식지의 생태적 연결성 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Connectivity of Forest Habitats Using Spati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oadkill Data)

  • 서현진;최철현;이승원;김진효
    • 생태와환경
    • /
    • 제57권2호
    • /
    • pp.75-82
    • /
    • 2024
  • 이 연구는 경상북도 문경, 예천, 영주, 안동, 봉화 일대의 산림서식지 공간형태학적 패턴과 로드킬 발생 간의 특성을 확인하고, 서식지 간의 저항지도를 구축하여 최소비용거리 기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MSPA에서 도출된 산림서식지 Core와 로드킬 발생지점 간의 거리를 분석한 결과, Core로부터 약 74.11 m 떨어진 지역에서 로드킬 발생이 집중되었고, 대부분의 로드킬이 서식지로부터 360 m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km2 이상의 Core인 핵심서식지 간의 연결성 분석 결과, 141개의 핵심서식지와 서식지 간의 최소거리 경로(path) 242개가 도출되었고, 통로거리(corridor distance) 값은 문경시가 가장 높게 분석되어 대상지 중 연결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식지 단절에 따른 생태계 연결성과 로드킬 문제를 분석하여, 생태통로 설치 등 생태계의 연결성 강화 및 서식지 복원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식지적합도지수(HSI)에 따른 환경생태유량 비교 분석 : 미호천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in Miho stream of Geum river system)

  • 이종진;허준욱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1호
    • /
    • pp.68-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 미호천 유역에서 어류 서식지적합도지수 (HSI)를 산정하고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미호천의 상류와 하류를 대표할 수 있는 2개 지점 (St.3과 St.8)을 선정하고, 어종별 수심과 유속 등 물리적서식지 정보를 구축해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하였다. 서식지적합도지수는 채집된 개체수와 유량조사 결과를 수심과 유속의 관계를 이용해 WDFW 방법으로 산정하였고, 대표어종 선정시 우점종인 피라미 (Zacco platypus)와 유량에 민감한 유영성 어종으로 결정하였다. 단일종인 피라미의 경우 수심 범위는 0.1 - 0.5 m, 유속 범위는 0.2 - 0.5 m/s 이고, 유영성 어종인 경우 수심 범위는 0.2 - 0.5 m, 유속 범위는 0.2 - 0.5 m/s 이다. 미호천의 대표지점인 St.3과 St.8에서 대표어종인 유영성군집 및 피라미에 대한 유량 (Discharge)-가중가용면적 (WUA) 관계 곡선 및 서식지적합도 분포를 모의하였다. 미호천 상류 St.3에서 가중가용면적이 최대값을 나타내는 최적유량은 유영성 군집이 4.0 m3/s, 피라미가 2.7 m3/s 로 모의되었다. 하류지점인 St.8에서는 유영성 군집이 8.8 m3/s, 피라미가 7.6 m3/s 로 모의되었다. 두 지점 모두 유영성군집 어종의 최적유량이 크게 산정되었다. 이는 유영성 군집의 서식지적합도지수가 피라미의 서식조건보다 더 빠른 유속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최소유량 산정에서도 피라미의 유량이 더 작고, 보다 더 많은 가중가용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군집 어류의 경우 수심과 유속의 범위를 좁게 산정하면 필요유량이 증가하고 가중가용면적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군집어류에 대한 서식지적합도지수 산정시 범위를 좁게 설정하는 것보다 모든 어종의 서식지를 포함하는 지수를 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