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T-29 cell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52초

The Effect of (1S,2S,3E,7E,11E)-3,7,11,15-Cembratetraen-17,2-Olide (LS-1) from Lobophyyum sp. on the Apoptosis Induction of SNU-C5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Kim, Eun-Ji;Kang, Jung Il;Tung, Nguyen-Huu;Kim, Young-Ho;Hyun, Jin Won;Koh, Young Sang;Chang, Weon-Young;Yoo, Eun Sook;Kang, Hee-K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6호
    • /
    • pp.623-629
    • /
    • 2016
  • (1S,2S,3E,7E,11E)-3,7,11,15-cembratetraen-17,2-olide (LS-1), a marine cembrenolide diterpene, has anticancer activity against colon cancer cells such as HT-29, SNU-C5/5-FU (fluorouracil-resistant SNU-C5) and SNU-C5. However, the action mechanism of LS-1 on SNU-C5 human colon cancer cells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anticancer effect of LS-1could result from apoptosis via the modulation of $Wnt/{\beta}$-catenin and the TGF-${\beta}$ pathways. When treated with the LS-1, we could observe the apoptotic characteristics such as apoptotic bodies and the increase of sub-G1 hypodiploid cell population, increase of Bax level, decrease of Bcl-2 expression, cleavage of procaspase-3 and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in SNU-C5 cells. Furthermore, the apoptosis induction of SNU-C5 cells upon LS-1 treatment was also accompanied by the down-regulation of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via the decrease of GSK-$3{\beta}$ phosphorylation followed by the decrease of ${\beta}$-catenin level. In addition, the LS-1 induced the activation of TGF-${\beta}$ signaling pathway with the decrease of carcinoembryonic antigen which leads to decrease of c-Myc, an oncoprotei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LS-1 could induce the apoptosis via the down-regulation of $Wnt/{\beta}$-catenin pathway and the activation of TGF-${\beta}$ pathway in SNU-C5 human colon cancer cells. The results support that the LS-1 might have potential for the treatment of human colon cancer.

Immunomodulating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anellus serotinus Polysaccharides

  • Kim, Jeong-Hwa;Lee, Jae-Seong;Lee, Kyung-Rim;Shim, Mi-Ja;Lee, Min-Woong;Shin, Pyung-Gyun;Cheong, Jong-Chun;Yoo, Young-Bok;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181-188
    • /
    • 2012
  • This study was initia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in methanol, neutral saline, and hot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 MeOH, Fr. NaCl, and Fr. HW, respectively) from the fruiting bodies of Panellus serotinus. Content of ${\beta}$-glucan and protein in Fr. MeOH, Fr. NaCl, and Fr. HW extracts of P. serotinus ranged from 22.92~28.52 g/100 g and 3.24~3.68 g/100 g, respectively. In vitro cytotoxicity tests, none of the various fractions of crude polysaccharides were cytotoxic against sarcoma 180, HT-29, NIH3T3, and RAW 264.7 cell lines at the tested concentra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crude polysaccharides resulted in a life prolongation effect of 23.53~44.71% in mice previously inoculated with sarcoma 180. Treatment with Fr. HW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numbers of spleen cells by 1.3 fold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with Fr. NaCl resulted in improvement of th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B lymphocytes by increasing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y 1.4 fold, compared with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200{\mu}g/mL$. Among the three fractions, maximum nitric oxide ($13.48{\mu}M$) was recorded at $500{\mu}g/mL$ in Fr. HW.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terleukin-$1{\beta}$, and interleukin-6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concanavalin A, at the tested concentration. Therefore, treatment with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P. serotinus could result in improvement of antitumor activity.

Epigallocatechin-3-gallate의 화학안정성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각종 항산화제의 영향 (Modulation of Chemical Stability and Cytotoxic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by Different Types of Antioxidants)

  • 김미리;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83-4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 폴리페놀 화합물인 EGCG의 화학안정성, H2O2 생성능 및 세포독성에 대하여 다양한 항산화제와의 조합에 의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EGCG는 생리적 조건에서 갈색화합물로 산화되면서 불안정화되는데, catalase를 제외한 각종 항산화제제 SOD, ascorbic acid, NAC 및 GSH는 EGCG 갈색산화물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EGCG에 의해 생성되는 $H_2O_2$는 catalase에 의해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었으며, SOD와 NAC에 의해서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GSH 및 고농도의 ascorbic acid의 존재 시 오히려 $H_2O_2$ 수준이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EGCG의 HeLa 및 HT-29 세포에 대한 독성은 catalase, SOD 및 NAC 등과 같은 항산화제 존재 하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NAC에 의한 EGCG 세포독성의 감소는 첨가된 NAC의 농도 증가에 따라 더욱 두드러졌다. 그러나 GSH 존재하에 EGCG의 독성은 GSH와 EGCG농도에 따라 다른 조절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에 의해서 EGCG의 세포독성이 약간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EGCG와 함께 처리된 다양한 항산화제들이 ROS의 소거 뿐만 아니라 EGCG 화학안정성 등 다른 요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항산화제의 존재 하에 변형된 EGCG활성에 대해 ROS관련 기작 외에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의 분무건조 분말 제조 및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Spray-dried powder preparation of pumpkin sweet potato hydrolysates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이대훈;장종현;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6-2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호박고구마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식품 가공용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을 분무건조한 다음 물리화학적 특성 및 소화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의 불용성 식이섬유, 수용성 식이섬유 및 총 식이섬유 함량은 4.17%, 2.07% 및 6.24% 이었다.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의 분무건조분말 제조는 펙틴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분무건조하였으며, 수분함량 및 전분함량은 1.68-2.46 및 45.32-46.51%였다. 색도는 분무건조 분말에서 L 값 및 a 값은 감소하고 b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입자크기는 분무건조 분말이 $37.17-42.32{\mu}m$을 나타내어 동결건조 분말 $247.79{\mu}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작은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입자모양은 전반적으로 구형의 형태에 펙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굴곡이 증가하였다. 수분흡수지수는 분무건조 분말에서 1.74-1.91로 동결건조 분말 2.15에 비해 낮은 수분흡수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분무건조 분말에서 80.75-87.61%로 동결건조 분말(70.47%)보다 높게 나타났다. 장 상피세포 부착능은 분무건조 분말에서 2.66-6.18%를 나타내어 동결건조 분말 1.79%에 비해 높은 부착능을 나타내 장 내 유용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분무건조 분말의 인체 내 소화 모델에서, 펙틴 1% 첨가 분말은 최종적으로 장액에서 70.09%의 소화율을 나타내어 동결건조 분말 24.23%에 비해 인체내에서의 높은 소화율이 기대 되었다. 따라서 분무건조 분말 제조시 식품산업 활용 측면에서 가공적성이 향상되고 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서 소화가 개선된 식품가공용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털부처꽃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탐색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Leaf Extract of Lythrum salicaria L.)

  • 김희연;임상현;박민희;박유화;함헌주;이기연;박동식;김경희;김성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09-415
    • /
    • 2010
  • In this study, the bioactivities of ethanol (EELS) and water extract (WELS) from the leaf of Lythrum salicaria L. were investigated. In the anti-cancer activity, the growths of both human prostate cancer (DU145) and human colonic carcinoma cell (HT29) were inhibited up 60% by adding 10 mg/$m{\ell}$ of EELS.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ELS and WELS have been evaluated on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release of nitric oxide (NO) by the macrophage RAW 264.7 cells. EELS and WELS inhibited inflammatory by 57.3 and 46.9% in 10 mg/$m{\ell}$, respectively. In the anti-oxidative activity, $IC_{50}$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respectively 60.71 and $92.90\;{\mu}g/m{\ell}$ by EELS and WELS. In the anti-diabetic activity, $IC_{50}$ of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EELS and WELS were respectively 5,250 and $5,020\;{\mu}g/m{\ell}$. $IC_{50}$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7.96 and $68.41\;{\mu}g/m{\ell}$ by EELS and WELS. In the anti-obesity, $IC_{50}$ of lipase inhibitory activity was 880 and $9,840\;{\mu}g/m{\ell}$ by EELS and WELS. Finally, EELS and WELS exhibited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ctivity and anti-obesity. It suggests that Lythrum salicaria L.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of bioactive material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Yuza(Citrus junos) Extracts and Ascorbic Acid on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 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49-654
    • /
    • 2006
  • 유자의 생리활성 식품 소재로서 검토하기 위해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과육과 과피의 추출물 중에 총 페놀 함량은 각각 건물당 $97.87{\mu}g/mg$$121.17{\mu}g/mg$으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약 1.24배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건물당 $0.28{\mu}g/mg$$0.59{\mu}g/mg$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2.11배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유자 과피의 추출물은 유자 과육의 추출물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에 비하여 각각 추출물에 비타민 C를 첨가할 경우가 상승효과는 더 크게 나타났는데, 특히 저농도($30{\mu}g/mL$) 시료보다는 고농도($300{\mu}g/mL$)에서 전자공여능이 크게 증가하였다. 항산화능은 과피 추출물 $1,000{\mu}g$에 비타민 C $500{\mu}g$를 혼합한 경우의 비타민 C $500{\mu}g$ 단독만을 첨가한 경우보다 각각 20분 반응에서 2.6배, 40분 1.5배, 60분에는 1.2배가 높았다. 환원능은 유자 과피 추출물의 $30{\mu}g/mL$$50{\mu}g/mL$ 저 농도에서 고농도에서와 비슷하게 아주 높게 나타났다. 유자 과피 및 과육의 추출물로 처리한 간암 세포주에서 다른 암 세포주에 비하여 비교적 항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100{\mu}g/mL$에서는 각각 63.8%와 73%를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주는 모든 시험농도에서 유자 과피의 추출물이 과육 추출물보다 항암활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은 함유되어 있는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흰목이(Tremella fuciformis)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 활성 및 항암 효과 (The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remella fuciformis)

  • 오윤희;김상범;이건우;김혜영;심미자;노현수;이현숙;이민웅;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5-111
    • /
    • 2006
  • 흰목이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였다. 세포 독성 실험 결과, 열수 추출물은 $2000{\mu}g/ml$의 높은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염용액 추출물도 정상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아서 이들 물질을 세포에 투여 할 경우 안전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Sarcoma 180 복수암을 유발시킨 생쥐에 투여하고 수명연장효과를 측정한 결과 53%의 수명연장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3.0{\sim}8.1$배 증가시켰으며, 총 복강 세포 수에서도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7.4배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처리군의 백혈구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무게가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따라서 흰목이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물론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7종 갈조류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Seven Brown Algae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최형주;길정하;박순선;공창숙;박건영;서영완;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080-10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 생리활성물질을 검색하여 발암물질 생성 방지 및 생체 방어 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Ames test를 이용하여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와 간접돌연변이원인 $AFB_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AFB_1$에 대해서 괭생이모자반(S. horneri)이 실험에 사용된 다른 해조류들 중에서 가장 높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첨가농도 1.25mg/plate일 때, 괭생이모자반의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은 각각 96%, 91%로 실험에 사용된 다른 해조류들의 추출물들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양성 대조군인 다시마의 용매 추출물보다도 높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AFB_1$과 같은 농도인 0.6mg/plate의 농도의 MNNG를 사용하여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한 해조류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간접 돌연변이원인 $AFB_1$에 비해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다소 항돌연변이 효과가 떨어지지만, 여기서도 실험에 사용된 해조류들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경우가 methanol 추출물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돌연변이 실험에서 효과가 뛰어난 괭생이모자반과 짝잎모자반을 중심으로 인체 암세포(위암세포, AGS 및 결장암 세포, HT-29) 증식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용매 추출물을 0.5%, 1% 및 2%의 농도별로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은 둘 다 가장 낮은 농도인 0.5%에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7종의 갈조류 추출물들은 Ames test에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괭생이모자반 및 짝잎모자반은 인체 암세포에 대해서도 높은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

감마선 조사가 감귤 정유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Citrus Essential Oil)

  • 김현주;조철훈;이나영;손준호;안봉전;육홍선;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97-804
    • /
    • 2005
  • 폐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신소재 개발 연구를 위해 감귤 음료 가공 중 생성되는 부산물인 감귤 과피를 추출·정제하여 얻어진 감귤정유의 생리활성 효과를 검증하고 감마선에 의한 영향도 확인하였다 감귤 정유의 limonene의 함량은 $88.3\pm1.30\%$로 나타났으며 감마선 조사한 시료에서도 limonene의 함량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 정유의 전자공여능은 약 70$\%$로 나타났으며 돈육에 감귤 정유 첨가 시 지질산패가 억제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글 정유에 대한 항균 활성은 paper disc diffusion test 결과를 바탕으로 농도에 따른 생육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yeast는 250 ppm에서, bacteria는 $2,500\~5,000$ ppm에서, mold는 $5,000\~10,000$ ppm에서 생육이 억제되어, yeast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실험 결과 대부분의 암세포에서 약 $90\%$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Ames test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는 $200\mu g/plate$이 하일 때 감귤 정유의 돌연변이 원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시험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한 생리활성 변화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 및 공중보건제품 소재로서 가공부산물인 귤 정유는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