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T-29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38초

HT-29 대장암세포에서 Akt 활성 저해에 따른 셀레늄의 세포 증식억제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Selenium in HT-29 Colon Cancer Cells via Inhibition of Akt)

  • 박송이;김인섭;이세희;이솔화;정다운;박옥진;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5-61
    • /
    • 2012
  • Akt는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하며 많은 암종에서 과발현되어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kt의 조절을 통한 셀레늄의 HT-29 세포의 세포증식억제 시너지효과를 확인하였다. 셀레늄을 농도별과 시간별로 처리하였을 때 HT-29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apoptosis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셀레늄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Western blotting 및 immunofluorescence를 실시한 결과 Akt의 인산화가 저해되었고 COX-2의 발현도 저해되었다. 또한 Akt 저해제인 LY294002를 처리한 결과, HT-29 대장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LY294002를 셀레늄과 병행처리하였을 때 셀레늄에 의한 세포증식억제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Akt siRNA에 의한 Akt의 불활성화는 non-transfected 세포에 비하여 HT-29 세포의 성장을 더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Akt가 불활성화 되었을 때 COX-2의 발현 역시 non-transfected 세포에 비하여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HT-29 세포에서 셀레늄의 세포증식억제 효과는 Akt와 COX-2 신호분자의 조절을 통해 일어나며, Akt 의 저해는 셀레늄의 대장암세포증식 억제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인돌 (Indol-3-Carbinol)이 인체대장암세포 HT-29 세포의 투과성 밀착결합조절과 세포 침윤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dol-3-Carbinol Regulated Tight Junction Permeability and Associated-Protein Level and Suppressed Cell Invasion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T-29)

  • 김성옥;최영현;최원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1호
    • /
    • pp.13-21
    • /
    • 2008
  • 본 실험은 인돌의 인체 대장암세포의 경과 및 전이억제와 TJ 활성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하였다. 인돌은 십자화 야채류인 양배추, 컬리플라워, 브로클리 등에 존재하는 glucosinolate, glucobrassicin의 대사산물 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돌이 대장암 세포 HT-29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증식 저해를 나타내었다. 상처회복 실험을 통한 세포이동성과 세포 침윤성 실험결과 인돌이 암세포의 이동과 침윤성을 억제하였고 투과성상피세포의 전기적 저항성 측정치는 인돌 처리 세포에서 증가하였다. HT-29 세포에서 과발현을 나타내는 밀착결합 단백질인 claudin-1, claudin-5 발현은 인돌 처리로 유전자의 전사수준과 단백질 수준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돌이 HT-29 세포의 밀착결합과 그 구성 단백질 중 claudin 발현 현상을 회복시키므로 암 경과와 전이 억제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천연 항암화합물인 인돌은 대장암 세포 HT-29에서 밀착결합 단백질인 claudin-1, -5을 억제하여 밀착결합을 활성화하므로 암 진행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인돌에 의한 새로운 기전을 보고합니다.

Flavonoid의 HT-29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on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 조영;최미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8-3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는 대장암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고 인체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증식을 억제하며,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를 알아보기 위해서 flavonoid가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MTT assay 결과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을 $100{\mu}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62.71, 75.78, 74.24, 77.61%로 이 중 naringenin이 대장암 세포 성장에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은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Caspase-3 activity에서는 naringenin이 241.4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세포사멸과 관련된 유전자를 확인하고자 대장암 세포에 flavonoid인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에 $100{\mu}M$ 농도로 처리한 후 RTPCR을 실시한 결과, 세포사멸의 주요한 조절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 중 Bcl-2는 rutin에 의해 감소되었고 Bax는 myricetin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p53은 naringenin이 높게 발현되었다. 또한 western blotting을 통해 flavonoid인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에 $100{\mu}M$ 농도로 처리한 결과, Bcl-2 family 단백질과 더불어 세포사멸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형인 cleaved caspase-3은 모두 증가하였고, 그중 myricetin이, PARP은 naringenin, E-cadherin은 rutin이 각각 높은 발현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번 실험 결과를 통해 flavonoid가 세포사멸의 주요한 조절 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의 발현이나 caspase의 활성 등을 조절하여 암세포 사멸인자인 Bcl-2의 발현은 감소시키고 Bax, p53, PARP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또한 암세포의 전이와 관련된 E-cadherin의 발현도 조절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flavonoid가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사멸과 관련된 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를 기초자료로 일상에서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에 많이 존재하며 비교적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flavonoid를 이용한 천연 항암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추후 대장암의 암예방제 및 암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도록 추가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천년초 선인장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HT-29 대장암 세포증식 저해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Opuntia humifusa Ethanol Extract on Human Carcinoma HT-29 Cells)

  • 박수영;김영아;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27-1834
    • /
    • 2014
  • 천년초 에탄올 추출물이 인체 대장암 세포 HT-29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과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은 천년초의 일반성분 분석과 천년초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체대장암 세포의 증식과 세포사멸 현상을 비교 관찰하고 항암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천년초 분말의 일반성분 분석을 진행한 결과 탄수화물의 함량과 마그네슘 등의 양이온의 함량이 높았고 Na/K의 비율과 P:Ca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천년초 70% 에탄올, 메탄올, 열수 추출물을 0.25, 0.5, 1, 2 mg/mL의 농도로 HT-29 세포에 48시간 처리하고 WST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는 모든 군에서 세포증식이 억제되었으며(P<0.05), 특히 에탄올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효능을 보였다. Hoechst 33342 & PI로 이중으로 핵을 염색해서 세포사를 관찰한 결과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apoptotic body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1 mg/mL의 농도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2 mg/mL에서는 세포사를 관찰할 수 있었다. Annexin V & PI double staining을 통하여 저농도(0.25~0.5 mg/mL) 시료 처치군에서는 전반적으로 apoptosis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고농도(1~2 mg/mL)로 처리한 군에서는 dead cell이 84.7%, 89.3% 나타나 세포가 세포 사멸과정을 거쳐 세포괴사로 진행된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comet assay를 통해 용매 대조군에 비해 1~2 mg/mL 농도에서 유의하게 DNA가 분절되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따라서 천년초 에탄올 추출물은 인체 유래 대장암 세포 HT-29의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천년초의 항암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나, 확실한 효과와 기전을 파악하기 위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로 된다.

고삼의 인체 대장암세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ophorae Radix on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s)

  • 김민철;이희정;임보라;김형우;김병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5-15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Sophorae Radix and the effects of 5-Fluorouracil (5-FU) in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s (HT-29). We used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 line, HT-29 cells. We examined cell death by MTT assay and caspase 3 assay with Sophorae Radix.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s of Sophorae Radix, cell cycle (sub G1) analysis was done the HT-29 cells after three days with Sophorae Radix. The reversibility of Sophorae Radix was examined on one day to five days treatment with $150{\mu}g$ Sophorae Radix. Sophorae Radix inhibited the growth of HT-29 cells in a dose-dependent fashion. Also we showed that Sophorae Radix induced apoptosis in HT-29 cells by MTT assay, caspase 3 assay and sub-G1 analysis. Sophorae Radix combined with 5-FU markedly inhibited the growth of HT-29 cells compared to Sophorae Radix or 5-FU alone. After 3 days treatment of HT-29 cells with Sophorae Radix, the fraction of cells in sub-G1 phas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Our findings provide insight into unraveling the effects of Sophorae Radix in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s and developing therapeutic agents against colorectal cancer.

스트레스를 유발시킨 인체 소장상피세포주(HT-29) 모델에서 타우린수송체 활성의 변화* (Stress-induced Changes of Taurine Transporter Activity in the Human Colon Carcinoma Cell Line(HT-29)*)

  • 윤미영;박성연;박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50-157
    • /
    • 2001
  • Intestinal absorption of dietary taurine is one of the regulatory component maintaining taurine homeostasis along with renal reabsorption, bile acid conjugation and secretion, and de nobo synthesis of taurine in mammals. Recent observations of decreased enterocytic levels of taurine in response to trauma, infection and surgical insults, postulate the possibility that intestinal taurine absorption might be impaired in such stressed condition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enterocytic taurine transporter activity using the human intestinal colon carcinoma cell line, HT-29, in various stress-induced conditions. Pretreatment of the HT-29 cells with dexamethasone, a stress hormone(0.1,1,10 or 100$\mu$M) for 3 hrs, or with E coli heat-stable enterotoxin(10, 100, or 200nM) for 30 minutes in order to induce the condition of enterotoxigenic infection did not influence taurine uptake as compared to the value found in control cells. In contrast,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cholera toxin(10, 100, 500, or 1000ng/ml)for 3hr or 24hr significantly decreased taurine uptake by HT-29 cells to 40~50% of the value found in untreated control cells. Kinetic studies of the taurine transporter activity were conducted in control and cholera toxin treated HT-29 cells with varying taurine concentrations(2~60$\mu$M) in the uptake medium.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cholera toxin(100ng/ml) for 3hr did not influence the Vmax, but resulted in a 55% increase in the Michaelis-Menten constant(Km) of the taurine transporter compared to those in control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olera toxin-induced reduction in taurine transporter activity in HT-29 cells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affinity of the taurine transporter without altering the amount of transporter protein. Intestinal taurine absorption appears to be reduced in the condition of water-borne diseases caused by bacteria such as V. cholerae. This might influence the taurine statu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more readily, an age group in which the prevalence of intestinal infection is high and the role of intestinal absorption is crucial for maintaining the body taurine pool. (Korean J Nutrition 34(2) : 150-157, 2001)

  • PDF

레스베라트롤의 HT-29 대장암 세포증식 및 이동성 억제효과 (Effects of Resveratrol on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HT-29 Colon Cancer Cells)

  • 이솔화;박송이;김인섭;박옥진;김영민
    • KSBB Journal
    • /
    • 제27권5호
    • /
    • pp.289-294
    • /
    • 2012
  • Resveratrol, natural polyphenol in grapes and red wine, is known to have the anti-proliferatory and anti-angiogenic effects in various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veratrol in HT-29 colon cancer cells. Treatment of resveratrol in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time inhibited proliferation of HT-29 colon cancer cells. We explored the effects of resveratrol on HT-29 colon cancer cell motility using a wound healing assay. In the absence of the resveratrol, the HT-29 cells are migrated along the edges of the wound and showed a large-scale migration, whereas dose- and time-dependent inhibition of cell flattening and spreading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resveratrol. Resveratrol inhibited MMP-9 in a dose- and time-dependent on HT-29 colon cancer cells by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resveratrol increased AMPK activity and decreased COX-2, VASP and VEGF expression. Treatment of compound C inhibited AMPK activity, however, the expression of VASP and COX-2 increased thus, COX-2 and VASP are modulated by AMPK. However treatment of celecoxib could not control AMPK activity but decreased VEGF expression. We suggest that resveratrol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through activation of AMPK and decreased COX-2, VASP and VEGF expression in HT-29 colon cancer cells.

육계 에탄올 추출물이 HT-29 대장암 세포주의 성장 및 COX-2 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Cinnamon on the Proliferation and COX-2 Pathway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 이승연;김희석;김정옥;황성완;황성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115-1120
    • /
    • 2006
  • 육계 추출물의 대장암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HT-29 인체 결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육계 추출물은 대장 정상세포인 CCD-112CoN의 성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성장은 농도, 시간에 의존적으로 크게 억제하였고, 대장암의 진행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COX-2 mRNA 발현량 및 $PGE_2$ 생성, cGMP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육계 추출물은 정상세포에는 독성 없이 대장암 세포의 COX-2 및 $PGE_2$, cGMP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대장암 세포의 성장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육계는 부작용이 없는 대장암 예방 건강 보조식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으며, 암세포 사멸에 대한 더욱 정확한 작용기전의 규명과 활성성분의 분리 및 정제, 응용법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thanolic Extract from Derris scandens Benth Mediates Radiosensitzation via Two Distinct Modes of Cell Death in Human Colon Cancer HT-29 Cells

  • Hematulin, Arunee;Ingkaninan, Kornkanok;Limpeanchob, Nanteetip;Sagan, Danie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4호
    • /
    • pp.1871-1877
    • /
    • 2014
  • Enhancing of radioresponsiveness of tumors by using radiosensitizers is a promising approach to increase the efficacy of radiation therapy. Recently, the ethanolic extract of the medicinal plant, Derris scandens Benth has been identified as a potent radiosensitizer of human colon cancer HT29 cells. However, cell death mechanisms underlying radiosensitization activity of D scandens extract have not been identified. Here, we show that treatment of HT-29 cells with D scandens extract in combination with gamma irradiation synergistically sensitizes HT-29 cells to cell lethality by apoptosis and mitotic catastrophe. Furthermore, the extract was found to decrease Erk1/2 ac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 scandens extract mediates radiosensitization via at least two distinct modes of cell death and silences pro-survival signaling in HT-29 cells.

Apoptosis Inducing Effects of 6-Methoxydihydrosanguinarine in HT29 Colon Carcinoma Cells

  • Lee, Yong-Jin;Yin, Hu-Quan;Kim, Young-Ho;Li, Guang-Yong;Lee , Byung-H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2호
    • /
    • pp.1253-1257
    • /
    • 2004
  • 6-Methoxydihydrosanguinarine (6ME), a benzophenanthridine alkaloid derived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Hylomecon hylomeconoides, showed a dose-dependent effect at 1-10 ${\mu}M$ on causing apoptotic cell death in HT29 colon carcinoma cells $(IC_{50} = 5.0{\pm}0.2 {\mu}M)$. Treatment of HT-29 cells with 6ME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internucleosomal DNA fragmentation. Treatment of the cells with 6ME caused activation of caspase-3, -8 and 9 protease and subsequent proteolytic cleavage of poly(ADP-ribose)polymerase. 6ME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53 and Bax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i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53 and proapoptotic Bcl-2 family proteins might participate in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6ME in HT29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