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SQC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7초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Based Quantification on Flavor-Active and Bioactive Compounds and Application for Distinguishment of Chicken Breeds

  • Kim, Hyun Cheol;Yim, Dong-Gyun;Kim, Ji Won;Lee, Dongheon;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12-32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1H NMR) to quantify taste-active and bioactive compounds in chicken breasts and thighs from Korean native chicken (KNC) [newly developed KNCs (KNC-A, -C, and -D) and commercial KNC-H] and white-semi broiler (WSB) used in Samgye. Further, each breed was differentiated using multivariate analyses, includ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designed to use metabolic information from each type of chicken obtained using 1H-13C heteronuclear single quantum coherence (2D NMR). Breast meat from KNC-D chickens were superior to those of conventional KNC-H and WSB chickens in terms of both taste-active and bioactive compound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meat portions (breast and thigh) and chicken breeds (KNCs and WSB) c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partial least square-discriminant analysis (R2=0.945; Q2=0.901). Based on this, we determined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for each of these components. AUC analysis identified 10 features which could be consistently applied to distinguish between all KNCs and WSB chickens in both breast (0.988) and thigh (1.000) meat without error. Here, both 1H NMR and 2D NMR could successfully quantify various target metabolites which could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hicken breeds based on their metabolic profile.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목부로부터 Flavonoid 및 Lignan 화합물의 분리 (Isolation of Flavonoids and Lignans from the Stem Wood of Lindera obtusiloba Blume)

  • 서경화;백미영;이대영;조진경;강희철;안은미;백남인;이윤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78-183
    • /
    • 2011
  • 생강나무 목부를 80% methanol로 추출, 농축하였으며, 얻어진 추출물을 ethyl acetate (EtOAc), butanol (n-BuOH) 및 $H_2O$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과 n-BuOH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ctadecyl si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수행하여 2종의 lignan과 3종의 flavonoid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asarinin (1), (+)-catechin (2), (-)-epicatechin (3), hyperin (4) 및 nudiposide (5)로 구조 동정하였다. Asarinin (1)과 nudiposide (5)는 생강나무에서 이번에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황목련 꽃으로부터 Alkyl Glycoside의 분리 동정 (Alkyl Glycosides from the Flowers of Magnolia obovata)

  • 오은지;서경화;권정화;이대영;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233-236
    • /
    • 2015
  • 황목련 꽃으로부터 3개의 alkyl glycoside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황목련 꽃을 80% MeOH에 추출하여 이를 EtOAc, n-BuOH, 그리고 $H_2O$ 층으로 계통분획을 실시하였다. 이중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과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3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d spectroscopy 및 mass spectrometry의 spectroscopic data를 해석하여 이 화합물들을 2-methylbutan-1-ol-${\beta}$-$\small{D}$-galactopyranoside (1), 2-methylbutan-1-ol-${\beta}$-$\small{D}$-glucopyranoside (2), 2-methylpropan-1-ol-${\beta}$-$\small{D}$-glucopyranoside (3)로 각각 동정하였다. 동정된 화합물 모두 황목련 꽃에서는 이번 연구에서 처음으로 분리, 동정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Mangiferin 변화물의 항당뇨합병증 활성 (Degraded Products Induced by Gamma-Irradiation of Mangiferin with Anti-Diabetic Complication Effects)

  • 정경한;김태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414-1418
    • /
    • 2017
  • 감마선 조사로부터 당뇨합병증에 효과적인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mangiferin의 감마선 조사산물이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에 우수한 활성이 나타나 효능성분의 동정을 위하여 ODS gel을 활용한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3종의 mangiferin 유도체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을 통하여 mangiferdiol(1), mangferinol(2) 및 isomangiferinol(3)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해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 활성을 평가한 결과 mangferinol(2)이 가장 강한 $5.6{\pm}0.8{\mu}M$$IC_{50}$ 값을 나타내었고, isomangiferinol(3)가 $7.6{\pm}0.9{\mu}M$$IC_{50}$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mangiferdiol(1)이 $12.1{\pm}1.3{\mu}M$$IC_{50}$ 값을 나타냈으며, 이들 활성은 mangiferin의 ketone기가 소실되고 새롭게 생성된 methyl기와 hydroxymethyl기의 결합 양상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다름이 시사되었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기존 유효 성분보다 우수한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주목열매 추출물 구조분석 (Structure Determination of the Extractives from the Taxus Cuspidata Fruits)

  • 박세영;최인규;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566-575
    • /
    • 2013
  • 주목열매에서 분리한 과육과 씨를 95% EtOH 용액을 사용하여 각각 1.15 kg과 0.94 kg을 유리 용기에 침지하여 추출하고, 농축된 추출용액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및 수용성으로 순차 분획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혼합물로부터 순수한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ethyl acetate 및 수용성 분획에 대하여 Sephadex-LH 20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의 구조는 flavan 화합물의 경우 $^1H$-NMR, $^{13}C$-NMR 및 EI-MS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탄수화물은 보다 정확한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COSY, HSQC와 같은 2-D NMR과 LC/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또한 구성당 분석을 위해 acid hydrolysis, permethylation을 실시하여 구성당의 성분과 결합위치를 확인하였다. 위의 실험을 통하여 (+)-catechin (1), (-)-epicatechin (2), (+)-gallocatechin (3), (-)-epigallocatechin(4) 및 ${\beta}$-D-fructofuranose-($2{\rightarrow}4$)-O-${\beta}$-D-glucopyranose($1{\rightarrow}4$)-O-${\alpha}$-D-glucopyranose-($1{\rightarrow}2$)-O-${\beta}$-D-fructofuranose (5)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팽화 홍삼으로부터 20(S)-Ginsenoside Rg3와 Rg5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of 20(S)-Ginsenoside Rg3 and Rg5 from the Puffed Red Ginseng)

  • 안영은;조진경;백남인;최성원;허남윤;박석준;김병용;백무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팽화홍삼으로부터 용매추출, 용매분획 및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두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두 화합물의 결정특성, 녹는점, 비선광도, Infrared spectrum 분석 결과, TLC에서의 Rf값, HPLC에서의 retention time 및 NMR 데이터를 측정하여 고찰한 결과 두 개의 화합물은 20(S)-ginsenoside Rg3와 ginsenoside Rg5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H$- 및 $^{13}C$-NMR 데이터를 HSQC 및 HMBC와 같은 2D-NMR 실험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동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