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MM

Search Result 96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Hidden Markov Model for Gesture Recognition (제스처 인식을 위한 은닉 마르코프 모델)

  • Park, Hye-Sun;Kim, Eun-Yi;Kim, Hang-J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3 no.1 s.307
    • /
    • pp.17-26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hidden Markov model (HMM)-based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pplies it to an HCI to control a computer game. The novelty of the proposed method is two-fold: 1) the proposed method uses a continuous streaming of human motion as the input to the HMM instead of isolated data sequences or pre-segmented sequences of data and 2) the gesture segmentation and recognition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a single HMM composed of thirteen gesture-specific HMMs that independently recognize certain gestures. It takes a continuous stream of pose symbols as an input, where a pose is composed of coordinates that indicate the face, left hand, and right hand. Whenever a new input Pose arrives, the HMM continuously updates its state probabilities, then recognizes a gesture if the probability of a distinctive state exceeds a predefined threshold.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t was applied to a real game, Quake II,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HMM could provide very useful information to enhance the discrimination between different classes and reduce the computational cost.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based on Parmetric Trajectory Segmental HMM (모수적 궤적 기반의 분절 HMM을 이용한 연속 음성 인식)

  • 윤영선;오영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3
    • /
    • pp.35-44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rajectory model for characterizing segmental features and their interaction based upon a general framework of hidden Markov models. Each segment, a sequence of vectors, is represented by a trajectory of observed sequences. This trajectory is obtained by applying a new design matrix which includes transitional information on contiguous frames, and is characterized as a polynomial regression function. To apply the trajectory to the segmental HMM, the frame features are replaced with the trajectory of a given segment. We also propose the likelihood of a given segment and the estimation of trajectory parameters. The obervation probability of a given segment is represented as the relation between the segment likelihood and the estimation error of the trajectories. The estimation error of a trajectory is considered as the weight of the likelihood of a given segment in a state. This weight represents the probability of how well the corresponding trajectory characterize the segment. The proposed model can be regarded as a generalization of a conventional HMM and a parametric trajectory model.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reported on the TIMIT corpus and performance is show to improve significantly over that of the conventional HMM.

  • PDF

An Accurate Stochastic Model for the Pen Trajectory-Based OCR (필기영상의 동적 정보 추출 및 인식을 위한 통계적 모형)

  • 신봉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395-397
    • /
    • 2003
  • 온라인 필기 인식기의 필기 모델을 응용하여 오프라인 한글 필기의 필기 궤적을 추적하고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한 온라인 모델은 HMM의 망으로 구성한 조합형 한글 필기 모델 BongNet이다. 그리고 시계열 신호의 길이에 대한 모델이 전혀 없는 표준 HMM 대신 동적인 연속 출력 nonstationary HMM 을 이용한 방법을 기술하였다. 획 추적 계산 과정에는 프레임 동기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HMM의 각 상태는 가능한 필기 궤적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매 시각마다 최종 상태의 후보 중에서 모든 획을 완전히 지나는 경로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본 방법은 문자영상에서 온라인 시계열 코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며 코드와 동시에 인식결과를 출력한다.

  • PDF

Gesture Recognition Using HMM on Feature Subspace (저차원 특징 공간에서 HMM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 이용재;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849-85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인 인간의 제스처 영상을 저차원 제스처 특징 공간과 HMM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제스처 공간에서 모델 패턴들과 매칭하기 위해서는 모든 모델 영상과 연속적인 입력영상들간의 거리평가로 인식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안한 방법은 연속성을 가진 모델영상들을 HMM로 포즈들의 시공간적 특성을 매칭에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동작의 구분뿐만 인식결과를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Emotional States Recognition of Text Data Using Hidden Markov Models (HMM을 이용한 채팅 텍스트로부터의 화자 감정상태 분석)

  • 문현구;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27-129
    • /
    • 2001
  • 입력된 문장을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범주에 따라 그 문장의 감정 상태의 천이를 출력해 주는 감정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Naive Bayes 알고리즘을 사용했던 이전 방법과 달리 새로 연구된 시스템은 Hidden Markov Model(HMM)을 사용한다. HMM은 특정 분포로 발생하는 현상에서 그 현상의 원인이 되는 상태의 천이를 찾아내는데 적합한 방법으로서, 하나의 문장에 여러 가지 감정이 표현된다는 가정 하에 감정인식에 관한 이상적인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HMM을 사용한 감정인식 시스템에 관한 개요를 설명하고 이전 버전에 비해 보다 향상된 실험결과를 보여준다.

  • PDF

Phoneme-based Recognition of Korean Speech Using HMM(Hidden Markov Model) and Genetic Algorithm (HMM과 GA를 이용한 한국어 음성의 음소단위 인식)

  • 박준하;조성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291-295
    • /
    • 1997
  • 현재에 주로 개발되어 상용화가 시작되고 있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대부분은 단어인식을 기분으로 하는 시스템으로 적용 단어수를 늘려줌으로서 인식범위를 늘일 수 있으나, 그에 따라 검색해야하는 단어수가 늘어남으로서 전체적인 시스템의 속도 및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단점의 극복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HMM(Hidden Markov Model)과 GA(Genetic Algorithm)를 이용한 한국어 음성의 음소단위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음성 특징으로는 LPC Cepstrum 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인식시는 인식대상이 되는 단어에 대하여 GA(Genetic Algorithm)을 통하여 각 음소를 분리하고, 음소단위로 학습된 HMM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인식함으로써 각각의 음소별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ing Hidden Markov Models (HMM 을 이용한 얼굴 검출과 인식)

  • 박호석;차영석;최현수;배철수;권오홍;최철재;나상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05a
    • /
    • pp.336-341
    • /
    • 2000
  • Hidden Markov Model(HMM)을 기반으로 한 얼굴 검출과 얼굴 인식에 대한 프레임작업에 대한 것이다. 관찰 벡터는 Karhunen-Loves Transform(KLT)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얻은 HMM의 정역학 특성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보여준 얼굴인식 방법은 이전의 HMM 기반의 얼굴인식 방법에서 인식률을 약간 개선함으로써 컴퓨터 연산을 훨씬 간단히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oneme recognition rate with regard to HMM training algorithms (HMM 훈련 알고리즘에 따른 음소인식률 비교 연구)

  • 구명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298-301
    • /
    • 1998
  • HMM 훈련 방법에 따른 음소인식률의 변화에 대하여 기술한다. 음성모델은 이산 확률 밀도 혹은 연속 확률 밀도를 갖는 HMM을 사용하였으며, 훈련 알고리즘으로서는 forward-backward 와 segmental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연속 확률 밀도는 N개의 mixture로 구성되어 있는데 1개의 mixture로 확장할 경우에서는 이진 트리 방식과 one-by-one 방식을 사용하였다. 여러 가지의 조합을 이용하여 음소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연속 확률 분포를 사용하고 one-by-one 방식을 사용한 forward-backward 알고리즘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Automatic Lipreading Based on Image Transform and HMM (이미지 변환과 HMM에 기반한 자동 립리딩)

  • 김진범;김진영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9.11a
    • /
    • pp.585-588
    • /
    • 1999
  • This paper concentrates on an experimental results on visual only recognition tasks using an image transform approach and HMM based recognition system. There are two approaches for extracting features of lipreading, a lip contour based approach and an image transform based one. The latter obtains a compressed representation of the image pixel values that contain the speaker's mouth results in superior lipreading performance. In addition,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used for fast algorithm. Finally, HMM recognition tasks are compared with the another.

  • PDF

On Adaptive Learning HMM Classifiers Using Splitting-Merging Techniques (분할-합병기법을 이용한 HMM 분류기의 적응학습)

  • 오수환;김상운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11b
    • /
    • pp.99-102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learning method for HMM classifiers by using splitting and merging techniqu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eaming, where one HMM classifier per class has been trained, individually.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a possibility that the proposed mechanism could be applied for applications of having multiple clusters in a cla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