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L7(Health Level 7)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8초

의료용 서비스 로봇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cal Service Robot)

  • 강성인;박윤아;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45-125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HL7(Health Level 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병원을 내원한 환자의 접수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접수뿐만 아니라 병원 내에서의 환자 정보의 활용이 가능하며 이는 병원 내에서 중복적인 서류 처리나 환자 정보를 얻기 위한 과정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HL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병원 진료 과정을 고려한 HL7 메시지 구조를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여 환자 접수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향후과제로 진료 시에 필요한 혈압 및 체온 등 생체 데이터를 로봇을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 하는 것이다.

헬스케어 시스템의 HIS 연동을 위한 HL7 메시지 설계 (Design of HL7 Message for HIS Integration of Healthcare Systems)

  • 김민우;전재환;김관형;강성인;오암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183-186
    • /
    • 2010
  •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기술적 발전에 따라 다양한 u-Health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u-Health 시스템은 서비스 인프라인 병원, 의료기관의 의료정보시스템 연동을 통한 의료정보활용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HL7 의료정보 표준안은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활용하는 의료정보에 대한 명세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즉 의료정보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요청/제공 받기 위한 HL7 표준 메시지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병원 내 의료정보를 분석하고 적합한 HL7 표준 메시지 구조를 설계하였다.

  • PDF

RFID와 HL7을 이용한 응급 의료 정보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FI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REMIS))

  • 홍규석;황성오;이현숙;윤영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03-712
    • /
    • 2007
  • In this paper, we designed th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REMIS). This REMIS offers the emergency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using RFID and HL7(Health Level 7) to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n emergency situation as like coma, if the communication, from the patient's current location to the hospital, is possible, REMIS offer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through REMIS server to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n the state of communication blocked, REMIS can offer the patient identification and the emergency information through RFID tag, which the patient wear, to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hen this system was designed, the protection of the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and their privacy was considered, and the HL7 was used to be compatible with another medical systems. Therefore, in this paper, REMIS was designed that it is always possible to offer the emergency patient's information to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regardless of any communication status and to improve the emergency rescue process, effectively.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HL7 인터페이스 엔진 구현 (Implementation of HL7 Interface Engine for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 황득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89-98
    • /
    • 2010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웹의 급속한 발전으로 의료 환경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서로 다른 병원시스템을 가진 병원들이 의료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시스템 간 의료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의료 데이터를 의료정보 교환 프로토콜인 HL7에 맞춰 변환시켜주는 인터페이스 엔진이 필요하다. HL7은 의료 정보 시스템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HL7에서 정의한 메시지 구조를 바탕으로 요양기관의 치매환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엔진을 구현하였다. 인터페이스 엔진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듈로 구성하였다.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는 환자의 의료 데이터 입력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도록 하였고, 서버 시스템에서는 메시지를 세그먼트, 필드 단위로 파싱하여 메시지의 이상 유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현하였다. 구현 언어로는 Java와 JavaC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로 인하여 평생전자의무기록과 원격진료시스템, 다양한 의료기관 간 의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고혈압 관리를 위한 헬스레벨 7 FHIR 기반 생체정보 교환 서비스 모델 구현 (Implementation of Service Model to Exchange of Biosignal Information based on HL7 Fast Health Interoperability Resources for the hypertensive management)

  • 조훈;원주옥;홍해숙;김화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1-30
    • /
    • 2014
  • 고혈압은 전 세계의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의 중요한 사망 원인으로서 지속적인 혈압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혈압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생체정보 교환 서비스 모델로서 HL7 FHIR을 선택하였다. 개발한 HL7 FHIR 프레임워크는 매니저(스마트폰)과 에이전트(혈압계) 간에 블루투스 헬스기기 프로파일과 통하여 IEEE 11073-10407 PHD 프로토콜로 통신하여 혈압정보를 획득한다. 테스트 결과 고혈압 환자의 혈압 모니터링, 측정기록관리, 문서 생성, 측정정보전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실제 임상환경에서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측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지속적인 연구와 활성화가 기대된다.

호환 가능한 HL7 파서의 개발 (Development of Compatible Health Level 7 Parser)

  • 박현상;김화선;조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290-4300
    • /
    • 2014
  • 기존의 HL7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버전의 HL7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버전마다 별도의 패키지 또는 변환 모듈로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HL7 V2.5에 정의된 버전 호환성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버전 간 호환 가능한 HL7 파서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파서의 구조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의 상속 개념을 이용하여 하위 버전의 HL7 메시지 요소의 클래스 객체를 상위 버전의 클래스 객체가 상속하였다. 따라서 HL7 메시지의 버전에 상관없이 상위 클래스 객체만을 사용하여 모든 버전의 HL7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었다. 개발한 파서의 호환성 평가는 700건의 류마티스 입원 환자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향후에는 버전 간 상호 호환 가능한 HL7 파서의 구조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할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정보이해력 수준과 사회경제적 특성 및 건강행태와의 관계 (A Survey on the Level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Literacy in Korean People)

  • 김준호;박종연;강신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6-159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Korean health literacy level and to analyse its gaps according to the factors of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Based on this, policy implications were reviewed to improve the understandability on health information and to reduce the gap among socioeconomic groups. Methods: HLS-EU-Q47, a tool developed by the European Health Literacy Project, was used to conduct a face-to-face interview survey on the health literacy for the samples from general population. Results: The public general health literacy (HL) index was 34.5 out of 50. HL is consisted of three sub-dimensions: healthcare (HC-HL), disease prevention (DP-HL), and health promotion (HP-HL). And a HL analysis found scores of 34.7 points for HC-HL, 35.4 points for DP-HL, and 33.3 points for HP-HL. The level of all HL was different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research activities on health-related literacy need to be conducted, and monitoring system on the HL level needs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a program to improve HL levels need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basis for a more sustainable healthcare system as an agenda with national health policy priority.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HL7 메시지 간소화 전략 (A Lightweight HL7 Message Strategy for Real-Time ECG Monitoring)

  • 이구연;강경태;이재면;박주영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83-191
    • /
    • 2015
  • 최근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이 가능해 졌으며, 이는 의료정보교환을 위한 HL7 표준의 전도 유망한 응용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HL7 메시지 내 데이터 중복으로 인한 메시지의 크기 및 생성시간의 증가로 인해 HL7 표준을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에 적합한 HL7 메시지의 간소화 전략을 제안한다. 다양한 형식의 심전도 데이터를 Feature Scaling을 거쳐 정형화된 포맷으로 조정하고 HL7 규약에 순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HL7 ORU 메시지 내의 중복되는 OBX 필드를 제거하기 위해 De-Duplication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HL7 표준 적용 대비 메시지의 생성시간은 최대 51%, 크기는 최대 1/8로 줄일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공유 전자의무기록을 위한 MFER과 HL7 표준 적용 (Adoption of MFER and HL7 Standard for Shared Electronic Medical Record)

  • 김화선;박춘복;홍해숙;조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7권3호
    • /
    • pp.501-506
    • /
    • 2008
  • Medical environments incorporate complex and integrated data networks to transfer vast amounts of patient information, such as images, waveforms, and other digital data. To assure interoperability of images, waveforms and patient data, health level seven(HL7) was develop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and storage of medical data. We also adopted medical waveform description format encoding rule(MFER) standard for encoding waveform biosignal such as ECG, EEG and so on. And, the study converted a broad domain of clinical data on patients, including MFER, into a HL7 message, and saved them in a clinical database in hospital. According to results obtained in the test environment, it was possible to acquire the same HL7 message and biosignal data as ones acquired during transmission. Through this study, we might conclude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a promising model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n u-healthcare environment.

HL7 V2.4 메시지 인터페이스 엔진 설계 (The Design of the HL7 V2.4 Message Interface Engine)

  • 이상민;송진태;김일곤;조훈;곽연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781-783
    • /
    • 2003
  • 의료 정보의 표준 데이터 교환 환경을 구축하기 의해서 의료정보분야의 전송표준인 HL(Health Level)7[1]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방대한 HL7 V2.4 메시지를 의료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에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메시지 처리만 전담하는 인터페이스 엔진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인터페이스 엔진을 만들기 위해, HL7에서 정의한 메시지 구조를 바탕으로 HL7 V2.4 메시지를 모델링 하였고, 인터페이스 엔진의 세 가지 기능(Message Validation, Message Building, Message Transmission)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