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L-1 세포주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1초

세포외 기질 물질에 따른 심근세포(HL-1)의 성장 연구 (Effect of Extracelluar Matrix on Cell-Surface Interactions and Growth of Cardiomyocyte(HL-1))

  • 홍윤미;;김선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1호
    • /
    • pp.83-87
    • /
    • 2010
  • HL-1 세포(심근세포주)는 AT-1 쥐의 심방암세포에서 추출한 심근세포로써, 특별한 약물의 주입 없이도 맥동현상을 보이며, 여러 번의 계대 배양 후에도 그 수축성을 잃지 않는 특성이 있어 바이오센서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외 기질물질(ECM: extra cellular matrix)의 영향에 따른 HL-1 의 성장과 형질변화를 분석하였다. HL-1 세포를 ECM 이 처리되지 않은 표면과 서로 다른 3 가지 ECM 인 gelatin 수용액, fibronectin 수용액 및 gelatin 과 fibronectin 의 혼합 수용액으로 처리된 표면에 배양하여 세포와 ECM의 상호작용 및 세포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세포 배양 직후부터 배양후 4 일까지의 세포의 변화를 형광 면역 염색법 (immunostain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포 증식은 Hoechst 와 EthD-1 을 통해 관찰하였고, DAPI 염색으로 세포핵을 phalloidin 염색을 통해 F-actin 을 관찰하였다. fibronectin 수용액을 ECM으로 사용하였을 때, 세포 성장 및 형질유지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HL-1 세포와 ECM 의 상호 작용 및 세포의 성장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세포외 기질 물질의 물리·화학적 영향에 따른 심근세포(HL-1)의 성장 연구 (Physical and Chemical Effects of Extracellular Matrix on the Growth of Cardiomyocytes (HL-1))

  • 홍윤미;최성균;김선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1호
    • /
    • pp.1229-12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세포의 성장속도, 배양표면 부착, 체내 특이성을 유지에 중요한 요소인 세포외 기질 물질에 따른 심근세포주(HL-1 cell)의 성장, 생존률 및 표현형 등을 분석했다. 서로 다른 5 가지의 세포외 기질 환경을 조성하여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했다. 세포외 기질 물질이 처리된 배양 표면의 물리적인 형태는 원자현미경을 통하여 분석했으며, 세포의 표면부착, 성장 및 증식과 생존률 및 표현형은 역상형광현미경 및 면역염색법을 통해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서로 다른 세포외 기질 물질이 세포의 부착 및 성장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심근세포의 특이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의 형성에도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야채추출물의 융복합적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Convergence of Vegetable Extract in Cancer cells)

  • 박해란;박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91-496
    • /
    • 2016
  • 본 논문은 야채추출물의 인간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야채수프에 사용되는 무, 무청, 우엉, 표고버섯, 당근등의 야채추출물을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인간 암세포주는 위암 (AGS) 세포주,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HL-60) 세포주, 폐암 (A549)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MTS방법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를 확인하였다. 위암 세포주는 표고버섯과 당근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세포주는 무청, 우엉, 당근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우엉과 당근에서 유의성 있는 억제를 보였으며 폐암 세포주는 무, 무청에서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는 야채추출물을 이용한 야채스프는 항암성이 있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과 융복합적인 웰리스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톡소플라스마 곤디의 세포내 배양에 있어서 세포 주에 따른 감수성 비교 (Comparative susceptibility of different cell lines for culture of Toxoplasma gondii in vitro)

  • 박병규;문형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15-222
    • /
    • 1993
  • Toxoplasmngon gondii의 세포내 배양에 적합한 숙주 세포 주를 찾기 위하여 정상 세포 2종류(MDCK-canine kidney cells; Vero-monkey kidney cells) 및 암세포 6종류(A 549, PC 14-human lung cancer cells; SNU 1, SNU 16, MKN 45-human stomach cancer cells; HL-60-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를 대상으로 하여 각 세포 주의 T.gondii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형태학적 관찰 및 3H-uracil 흡수 시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T.gondii 대한 감수성은 A 549 및 PC 14 세포가 가장 높았고, Vero, HL-60, MDCK 및 SNU 1 세포가 그 다음, SNU 16 및 MKN 45 세포는 가장 감수성이 낮았다. 또한 각 세포 주에 있어서 T.gondii 감염 후 충체증식 정도를 정량화하여 12시간, 36시간 및 60시간에 각각 측정한 바 충체 수를 적게($2{\times}10^5/ml$) 투여했을 때는 A 549, PC 14, Vero, MDCK 세포들에서 감염 60시간까지 충체의 분열 증식이 계속 증가하였고, 충체 수를 많이($50{\times}10^5/ml$) 주입하였을 때는 대부분의 세포들에서 감염 12시간에 최고의 증식을 보이다가 이후 증식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son사거 분리 계대 및 충주(strain) 확립을 위해서는 A 549 및 PC 14 세포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충체 주입 수 및 배양 시간별로 충체의 증식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참깨에서 분리된 세사몰린의 백혈병 세포주 HL-60 생장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Sesamolin from Sesame Seeds on Human Leukemia HL-60 Cells)

  • 김관수;강삼식;류수노
    • 생약학회지
    • /
    • 제34권3호통권134호
    • /
    • pp.237-241
    • /
    • 2003
  • 본 연구는 참깨 종자로부터 추출, 분리된 세사몰린의 백혈병 HL-60 세포의 생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사몰린은 농도와 시간 의존적으로 HL-60 세포의 생합성을 억제하였다. $60{\sim}100\;{\mu}g/ml$ 농도의 세사몰린 범위에서 사포증식이 억제적이었다. $200\;{\mu}g/ml$ 이상의 세사몰린 농도에서 HL-60 세포에 세포파괴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60\;{\mu}g/ml$에서 HL-60 세포의 DNA, RNA, 단백질의 합성억제 정도는 35.1%, 6.1% 5.3%였다. 반면에 $200\;{\mu}g/ml$에서의 억제 정도는 각각 86.8%, 81.5%, 96.7%였다. DNA 합성에 대한 세사몰린의 억제효과는 비가역적이었다.

Listeria monocytogenes에 의해 HL-60 cell의 세포고사 유도 효과 규명 (Extract of Listeria monocytogenes Induces the Apoptosis on the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HL-60 Cells)

  • 양은주;김동현;장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39-348
    • /
    • 2012
  •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치료제가 한정적이고 그 또한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최근 암세포 형성 억제에 세균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기존의 약제보다 효과적이면서 부작용이 적은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 monocytogenes에서 분비되는 물질(LmSup)과 세균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물질(LmE)을 추출하여 HL-60 세포에 처리한 다음 세포증식 억제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세포 생존율 및 세포고사를 확인하여 세포를 죽음으로 유도하는 지 파악한 다음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세포주기의 변화 및 ROS 생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LmSup와 LmE가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PL) 세포인 HL-60의 세포고사를 유도하고, sub G0/G1기 증가로 세포주기를 비정상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세포고사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ROS가 관여함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LmSup 또는 LmE의 구체적인 항암효과 및 기전 분석을 통해 난치병인 APL의 치료 방법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HL60 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Apoptosis와 세포 주기 관련 유전자의 발현 변화 (Expression of Cell Cycle Related Genes in HL60 Cells Undergoing Apoptosis by X-irradiation)

  • 김진희;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77-388
    • /
    • 1998
  • 목적 : 방사선조사에 의한 apoptosis에서 나타나는 각종 세포주기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RNA와 단백 수준에서 분석하여 방사선조사에 의한 apoptosis에서의 세포주기 조절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서 방사선치료의 기전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promyelocytic leukemia 세포주인 HL60 세포주를 배양하여 선형가속기(6MV X-선)로 세포에 8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조사후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Apoptotic DNA Fragmentation Assay법을 이용하여 apoptosis를 확인하고 동시에 세포주기관련 유전자들(cyclinA, cyclin B, cyclin C, cyclin Dl, cyclin E, cdc2, CDK2, CDK4, $p16^{INK4a}$, $p21^{WAF1}$, $p27^{KIP1}$, E2F, PCNA와 Rb)을 단백질과 RNA 수준에서 분석하기위해 western blot analysis와 반정량적 RT-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8 Gy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 HL60세포에서 apoptosis가 관찰 되었다. 방사선 조사군에서 cyclin A단백은 조사후 48시간까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cyclin E, E2F, CDK2 및 Rb 단백은 증가되었다가 다시 감소를 보였다. Rb단백의 증가는 대부분 비활성형인 ppRb (phosphorylated Rb protein)의 양적변화에 의한 것이었다. cyclin Dl, PCNA, COC2, CDK4, $p16^{INK4a}$단백은 발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21^{WAF1}$$p27^{KIP1}$ 단백은 검출되지 않았다. cyclin A, B, C mRNA는 방사선 조사 직후 감소하였다가 12시간부터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cyclin Dl mRNA는 조사후 바로 증가하여 48시간에 다시 감소하였다. cyclin E mRNA는 조사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CDK2 mRNA는 3시간째는 감소하다가 6시간부터 많은 증가를 보였으며 CDK4 mRNA는 조사후 6-12시간에 급격한 발현증가를 보였다. $p16^{INK4a}$ RNA는 발현의 변화가 없었으며, $p21^{WAF1}$$p27^{KIP1}$ RNA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방사선 조사에 의한 HL60세포의 apoptosis와 세포의 Gl/S transition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Rb단백의 증가와 활성형 Rb단백의 감소 현상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E2F의 비정상적인 과발현 및 cyclin E/CDK2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p21^{WAF1}$$p27^{KIP1}$는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에는 관여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암세포에 대한 Echinacea angustifolia 순차 용매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Echinacea angustifolia on Cancer Cells)

  • 이준경;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3-127
    • /
    • 2002
  • Echinacea angustifolia의 줄기와 뿌리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의 인간유래 백혈암세포인 HL60과 폐암세포인 3LL 세포를 대상으로 항암 활성을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L60 세포의 경우에 뿌리 추출물은 저농도(0.125 mg/mL)에서 ethylacetate, acqueous, buthanol 분획물의 순으로 $77%{\sim}72%$의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hexane 분획물이 저농도에서는 독성효과가 낮았으나 점진적으로 독성효과가 커짐(1.0 mg/mL, 82%)을 알 수 있었다. 3LL 세포주에 대해서는 뿌리의 경우 저농도(0.25 mg/mL)에서 buthanol, ethylacetate 분획물이 $43.5%{\sim}26.3%$의 낮은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1.0 mg/mL 농도에서는 chloroform, hexane 분획물이 $68.4%{\sim}58.5%$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에키네시아의 줄기보다 뿌리의 세포독성이 컸고, HL60이 3LL보다 세포독성이 크게 나타났다.

보리 겨층(대맥강)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항암 활성

  • 석호문;김성란
    • 식품기술
    • /
    • 제15권2호
    • /
    • pp.85-92
    • /
    • 2002
  • 보리를 도정할 때 부산물로 생성되는 겨층인 대맥강으로부터 추출한 폴리페놀추출물(BPE)은 인체유래의 백혈병성 혈액암세포인 HL60 세포에서 세포분화의 지표가 되는nitro blue tetrazolin(NBT)을 환원시키는 활성과 $\alpha$-naphthyl butyrate esterase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보리의 폴리페놀추출물(BPE)에서 정제한 프로안토시아니딘이 HL60 세포주의 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프로델피니딘 B-3, T1, T2 및 T3는 26-40%의 NBT -환원활성을 유도하였고, 22-32%의 $\alpha$-naphthyl butyrate esterase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또한 HL 60 세포주에서 retinoic acid가 유발시킨 과립구 세포분화와 sodiumbutyrate가 유발시킨 단립구 세포분화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L-60 세포의 유전자 발현 및 topoisomerase의 기능 활성에 미치는 억제제의 영향 (Effects of Inhibitors on the Function and Activity of Topoisomerase, and Gene Expression in HL-60 Human Leukemia Cells)

  • 정인철;조무연;박장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83
    • /
    • 2008
  • 인체 DNA topoisomerase는 DNA를 단일 또는 두 가닥을 일시적인 절단을 촉매하여 DNA의 topological 문제를 조절함으로써, DNA 복제, 전사, 재조합과 유사분열 과정 등에 관여한다. 이 효소는 많은 항생, 항암제의 표적효소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 유도체를 이용한 다양한 억제제의 개발과 임상적 응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인체 백혈병 HL-60 세포에서 topoisomerase 억제제가 topoisomerase 기능 활성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HL-60세포에 topoisomerase type I과 type II의 대표적 억제제인 10-hydroxycamptothecin (10-CPT)과 doxorubicin을 투여한 후 total RNA를 분리하였고, 10K-oligo-nucleotide microarray 방법으로 분석하여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10-CPT 또는 doxorubicin을 투여한 HL-60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 양상은 주로 signal transduction, cell adhesion, cell cycle, cell growth, cell proliferation, cell differentiation, transcription 및 immune response 등과 관련이 있었다. Topoisomerase type I의 억제제인 10-CPT를 HL-60 세포주에 투여 하였을 때 type I으로 분류되는 topoisomerase III${\alpha}$, III${\beta}$ 및 I의 발현은 증가하였으나 type II인 topoisomerase II${\alpha}$와 II${\beta}$의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반대로 type II의 억제제인 doxorubicin을 투여하였을 때는 앞의 결과와 상반된 topoisomerase II${\alpha}$와 II${\beta}$의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topoisomerase III${\alpha}$와 III${\beta}$의 mRNA의 발현은 약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항암제의 기전을 밝히고 약물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하고 새로운 약제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