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NT-8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바이오미미크리 개념을 통한 이동식 전시의 가변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lexibility of Movable Exhibition through Biomimicry Notion)

  • 이용진;윤상영;조경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78-86
    • /
    • 2011
  • The world is suffered from sever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due to radical industrializ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With advancement of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national borders have become meaningless. In this global trend, movable exhibition shall be supposed to pursue "Local in Global." Thus, movable exhibition should get involved in an effort to find a cultural identity in the globalization and to better our position among the various cultures. As an alternative, movable exhibition can be established by combining biomimicry, which is biomimicry of life by imitating biological system, with Flexibility of movable space. By providing a hint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cultural uncertainty, this alternative will generate an advanced exhibition trend that is more environmental-friendly and more efficient. As a cumulative concept created by the nature for 3.8 billion years, biomimicry has evolved a lot more than the modern science. By catching this point, "A study on flexibility of movable exhibition through biomimicry notion" is providing a revolutionary paradigm stepping beyond the current exhibition trend, which pursues co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the nature and, at the same time, introduces our culture.

Ortho-to-Para Ratio Studies of Shocked $H_2$ Gas Observed from Two Supernova Remnants IC 443 and HB 21

  • 신종호;이호규;문대식
    • 천문학회보
    • /
    • 제38권1호
    • /
    • pp.48.2-48.2
    • /
    • 2013
  • We present the near-infrared spectra (2.5-5.0 um) of shocked $H_2$ gas, observed with the Infrared Camera onboard the satellite AKARI. Two supernova remnants, IC 443 and HB 21, were observed. IC 443 shows a hint of non-equilibrium ortho-to-para ratio (OPR): 2.4 (-0.2, +0.3). HB 21 also shows an indication of a potential non-equilibrium OPR: 1.8-2.0. These non-equilibrium OPRs are first reported for shocked $H_2$ gas at E(v,J) > 7000 K, as far as we are aware. We concluded that the non-equilibrium OPR probably originates from dissociative J-shocks, considering several factors such as the shock combination requirement, the line ratios, and the possibility that $H_2$ gas can form on grains with a non-equilibrium OPR. The difference in the collision energy of H atoms on grain surfaces would give rise to the observed difference between the OPRs of IC 443 and HB 21, if dissociative J-shocks are responsible for the $H_2$ emission. Our study suggests that shocked-then-cooled $H_2$ gas may play as a heat reservoir with the non-equilibrium OPR.

  • PDF

KINEMATICS AND CHEMISTRY OF THE S140/L1204 MOLECULAR COMPLEX

  • Park, Yong-Sun;Minh, Young-Chul
    • 천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5-264
    • /
    • 1995
  • The HII region S140 and the associated molecular cloud L1204 have been observed with 10 molecular transitions, CO (1-0), $^{13}CO$ (1-0), $C^{18}O$ (1-0), CS (2-1), $HCO^+$ (1-0), HCN (1-0), SO (${2_2}-{1_1}$), $SO_2(2_{20}-3_{13})$, OCS (8-7), and $HNCO\;(4_{04}-3_{03})$ with ${\sim}50"$ angular resolutions. More than 7,000 spectra were obtained in total. The morphology of this region shows a massive fragment (the S140 core) and the extended envelope to the northeast. Several gas condensation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envelope, having masses of ${\sim}10^{3}M_{\odot}$ and gas number densities of ${\lesssim}10^{4}cm^{-3}$ to $3{\times}10^{5}cm^{-3}$ in their cores. The column densities of the observed molecular species toward the S140 core appear to be the typical warm clouds' abundances. It seems to be that the S140 core and L1204 have been swept up by an expanding shell called the Cepheus bubble. The large value of $L_{IR}$(embedded\;stars)/$M_{cloud}\;{\sim}\;5\;L_{\odot}$/$M_{\odot}$ of the S140 core may suggest that the star formation has been stimulated by the HII region, but the shock velocity and the pressure of the region seem to give a hint of the spontaneous star formation by the self gravity.

  • PDF

The Joint analysis of galaxy clustering and weak lensing from the Deep Lens Survey to constrain cosmology and baryonic feedback

  • 윤미진;지명국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79.2-79.2
    • /
    • 2019
  • Based on three types of 2-point statistics (galaxy clustering, galaxy-galaxy lensing, and cosmic shear power spectra) from the Deep Lens Survey (DLS), we constrain cosmology and baryonic feedback. The DLS is a deep survey, so-called a precursor to LSST, reaching down to ~27th magnitude in BVRz' over 20 deg2. To measure the three power spectra, we choose two lens galaxy populations centered at z ~0.27 and 0.54 and two source galaxy populations centered at z ~0.64 and 1.1, with more than 1 million galaxies. We perform a number of consistency tests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s. We calibrated photo-z estimation of the lens galaxies and validated the result with galaxy cross-correlation measurement. The B-mode signals, indicative of potential systematics, are found to be consistent with zero. The two cosmological results independently obtained from the cosmic shear and the galaxy clustering + galaxy-galaxy lensing measurements agree well with each other. Also, we verify that cosmological results between bright and faint sources are consistent. While there exist some weak lensing surveys showing a tension with Planck, the DLS constraint on S8 agrees nicely with the Planck result. Using the HMcode approach derived from the OWLS simulation, we constrain the strength of baryonic feedback. The DLS results hint at the possibility that the actual AGN feedback may be stronger than the one implemented in the current state-of-the-art simulations.

  • PDF

여성 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활용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Female Seniors Living Alone: Using Data from the 202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지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9-19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INT-8) of female seniors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alone after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Raw data from the eighth third year (202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used,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79.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program, employing complex sample frequency and percentages, t-tests, analyse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es, while a post-hoc test (Bonferroni correc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udy subject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ctivity restrictions, number of walking days, age at menopause, perceived stress, depressio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subjective health. Most of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emotional factors such as perceived stress level,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carrying an explanatory power of 46%.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female seniors living alone.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는 교사 스캐폴딩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Scaffolding for Promoting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도하영;박정우;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43-65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에서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는 교사 스캐폴딩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2학년 8개 소집단에게 소리의 발생과 전달을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여 3차시 동안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준과 수준의 변화를 탐색하고,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는 교사 스캐폴딩을 대상, 목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는 교사 스캐폴딩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기 위한 교사 스캐폴딩은 첫째, 개인의 인지 발달보다 소집단을 대상으로 스캐폴딩을 지원하고 있었다. 둘째, 결과적 도움보다 과정적 도움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어 참여와 토론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전략을 제공하기 위하여 진단 전략과 진단 점검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이해 정도와 상황을 파악하고 학생들에게 적합한 전략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기 위해 교사가 스캐폴딩을 어떻게 지원해야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 및 위험요소분석에 관한 후향적 연구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eri-implantitis: A retrospective study)

  • 이새은;김대엽;이종빈;방은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8-17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 식립된 임플란트 증례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치과진료부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중 본원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보철수복을 시행한 환자 422명(853개 임플란트)에 대한 의료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바탕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임플란트 주위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각 위험요소와 임플란트 주위염의 통계적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화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s, GEE)을 사용하여 각 변수들과 임플란트 주위염의 발생 사이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또한 관찰 기간 중 임플란트 주위염의 누적 유병률은 Kaplan Meier Method를 사용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은 환자 수준에서 7.3% (422명 중 31명), 임플란트 수준에서 5.5% (853개 중 47개)로 나타났다. 성별,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여부, 보철물 부하기간이 임플란트 주위염의 발생과 통계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하기간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염의 누적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 보철물 장착 후 19개월째 첫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하였고, 이후로 임계점(critical point) 없이 위험도는 시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은 환자수준에서 7.3%, 임플란트 수준에서 5.5%로 나타났으며, 남성, GBR을 시행한 경우, 보철물 부하기간이 길수록 임플란트 주위염의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

배추 유전체열구의 현황과 전망 (Korea Brassica Genome Project: Current Status and Prospective)

  • 최수련;박지영;박범석;김호일;임용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3호
    • /
    • pp.153-160
    • /
    • 2006
  • 유전체 연구란 목적하는 유전체의 구조를 밝히고 가지고 있는 모든 유전자의 기능 및 진화과정을 망라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계통발생학상 애기장대와 연관되어 있는 Brassica rapa는 채소, 유지 및 사료로 이용되는 중요한 작물의 하나이다. Brassica rapa의 유전체 연구를 착수하는 데는 적합한 유전학적 재료 및 유전체 재료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배추 (Brassica rapa spp. pekinensis)를 재료로 하여 표준 mapping 집단을 개발하여, 78계통으로 구성된 DH집단과 약 250 계통으로 구성된 RI집단을 개발하였다. 2가지 제한효소 (HintIII, BamHI)를 이용해 세균인공염색체 (BAC) library (KBrH, KBrB)를 만들었고, 이들은 각각 56,592개와 50,688개의 클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추의 각기 다른 부위를 이용하여 만든 22가지의 cDNA library를 이용하여 평균 575bp의 길이를 가지는 104,914개의 EST 분석을 실시 하였다. 세계적으로 'Multinational Brassica Genome Project (MBGP)' 조직이 구성되었고 배추의 전 염기서열 분석을 하기로 2003년 결정되었다. 그 첫 단계로 104,914개의 BAC 클론의 BAC-end 염기서열분석이 제안되어 2006년 9월 5개국 공동 프로젝트로 추진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BAC-end 염기서열분석의 결과는 유전자의 염기서열 해석, 및 풍부하게 존재하는 반복염기서열 DNA를 분석함으로써 배추의 유전체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주었다. BAC 클론의 전체 염기서열분석은, 비록 단편 내에 유전자의 결실이 변화무쌍하게 일어나지만 배추 DNA 단편이 유전체에서 광범위하게 삼중복으로 존재함을 나타냈다. 이러한 BAC-end 염기서열을 아기장대 염기서열에 비교하여 629개의 종자 BAC을 선정하게 되었고, 이들의 염기서열 분석을 완성하였다. MBGP에서는2단계로서 배추의 전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추진하게 되었고, 유전자지도에 위치한 종자 BAC을 이용하여 인접한 BAC 클론을 찾아 염기서열 분석하는 BAC-to-BAC 방법을 추진하고 있으며 8개국에서 참여하여 현재 염기서열 분석을 추진 중 이다. 최근에 각 국에서는 생물정보학기법을 활용한 염기서열 분석 기반에 대하여 많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유전체 정보가 축적됨에 따라 배추의 유전체 구조를 이해하고 농업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데 기여를 할 것이다.

입지와 장소 특성으로 본 암각바둑판의 의미와 문화재적 가치 (A Study on the Meaning and Cultural Properties Value of Rock-Go-Board from the Viewpoint of Sit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 박주성;노재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172-205
    • /
    • 2011
  • 본 연구는 종합적인 현황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돌바둑판의 위치 및 형태 그리고 입지 유형을 파악하는 한편 주변 경물과 각자 그리고 인근의 전래지명과의 관련성 분석과 해석을 통해 암각바둑판의 본질적 특성 및 장소적 의미 그리고 문화재로서의 가치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바둑판에 나타난 '네모난 바둑판과 둥근 바둑돌'의 천원지방적(天圓地方的) 형상, 흑백 바둑돌로 표상되는 음양조화 그리고 하늘 회전을 표현한 361로 등은 '우주적 질서가 투사(投射)된 상징체'이다. 또한 영원성을 바탕으로 바둑 삼매경에 빠진 '귤중지락(橘中之樂)'과 '상산사호(商山四皓)' 그리고 '난가(爛柯)' 모티프는 속세를 벗어난 망우청락(忘憂淸樂)의 '위기선미(圍棋仙味)'를 통해 '인생과 자연'의 관계를 시공간적으로 일치하고자 했던 천인합일의 표상이자 우미와 소요를 추구한 고아한 풍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돌바둑판은 총본 연구는 종합적인 현황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돌바둑판의 위치 및 형태 그리고 입지 유형을 파악하는 한편 주변 경물과 각자 그리고 인근의 전래지명과의 관련성 분석과 해석을 통해 암각바둑판의 본질적 특성 및 장소적 의미 그리고 문화재로서의 가치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바둑판에 나타난 '네모난 바둑판과 둥근 바둑돌'의 천원지방적(天圓地方的) 형상, 흑백 바둑돌로 표상되는 음양조화 그리고 하늘 회전을 표현한 361로 등은 '우주적 질서가 투사(投射)된 상징체'이다. 또한 영원성을 바탕으로 바둑 삼매경에 빠진 '귤중지락(橘中之樂)'과 '상산사호(商山四皓)' 그리고 '난가(爛柯)' 모티프는 속세를 벗어난 망우청락(忘憂淸樂)의 '위기선미(圍棋仙味)'를 통해 '인생과 자연'의 관계를 시공간적으로 일치하고자 했던 천인합일의 표상이자 우미와 소요를 추구한 고아한 풍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돌바둑판은 총 18개로 이중 강진 월남사지 돌바둑판, 양산 소한정 돌바둑판, 반룡대 돌바둑판 등 3개소(16.1%)는 이동이 가능한 석국으로 분류된 반면 방학동 돌바둑판을 비롯한 15개소(83.9%)는 자연 암반에 새긴, 원래 장소를 이탈하지 않은 암각바둑판으로 밝혀졌다. 돌바둑판의 입지조건을 유형화한 결과, 계류형 15개소(83.9%), 암봉형 3개소(16.1%)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은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1,389m)이었다. 총 15개 돌바둑판은 모두 500m 이하의 저산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판이 새겨진 입지는 속세와 멀지 않은 생활권의 일부였으며 모두 경관성이 탁월한 계곡 및 산봉에 입지하였다. 돌바둑판은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찰되는바 특히 암각바둑판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조화를 추구하며 명산대천(名山大川)을 찾아 함께 노니는 풍류도의 정신을 전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궁극적으로 바둑의 전통적인 상징성인 '은일의 매개체이자 자연귀의의 도에 다다를 수 있는 선비문화의 정수'인 동시에 유선적 취향의 도구로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단양 소백산 신선봉을 비롯하여 괴산 선국암, 무주 사선암, 장수 신선바위 등은 신선과 관련된 지명의 일체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선' 바위와 암각바둑판이야말로 선계에 대한 숭배와 동경의 소통방식이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된 경관대상이자 조망처로 판단된다. 한편 암각바둑판이 입지하는 장소의 입지유형 등 물리적 환경과 팔경 및 동천구곡의 설정 여부, 유학자 등의 관련 여부를 중심으로 한 '인간활동' 그리고 '상산사호' 모티프 및 '난가고사' 상징의미 등 3가지를 '장소정체성 판단을 위한 해석 틀'을 기준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암각바둑판 주변에 각자 되어있는 동천, 동문 등의 모티프는 주자학적 '구곡팔경'의 개념 보다는 선취적 '선유동천' 개념의 공간성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계류형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공간은 유가의 은둔지향적 공간이나 선도적 은일지향적 공간으로 시대추이에 따라 습합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산봉형의 암각바둑판은 별도로 신선 강림의 숭엄지향성이 장소정체성 지배의 중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곳을 포함하여 그 주변은 동천구곡이나 팔경의 일부로 널리 알려진 승경의 요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비 및 사대부 계층이 주체인 주변 각자들 중에도 신선 관련 표현어가 다수 발견됨에 따라 바둑판 조영의식의 이면에는 신선경 동경을 바탕으로 한 선도적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총합할 때 암각바둑판은 조선조 선비들의 은일과 운둔을 통한 자연경영의 문화 현상이 집약적으로 함축된 유산이자 전래 승경의 요처로, 명승과 같은 자연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탁월한 대상임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한내 17개의 돌바둑판 중에서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을 비롯하여 방학동 암각바둑판, 충주 사로암 암각바둑판, 무주 사선암 암각바둑판, 양산 어곡동 반룡대 석국 등은 세월의 풍파와 사람들의 접촉으로 마모되면서 바위가 깨어지거나 바둑판 줄이 희미해지고 있다. 또한 언양 반구대 집청정 암각바둑판은 토사 매몰로 그 형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암각바둑판은 자연과 바람의 흐름을 그대로 투영한 예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탁월한 조형물이자 선인들의 자연 사랑의 마음과 선계동경의 문화가 만나 이루어진 문화유적으로, 이에 대한 국내 분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정밀조사와 보존관리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18개로 이중 강진 월남사지 돌바둑판, 양산 소한정 돌바둑판, 반룡대 돌바둑판 등 3개소(16.1%)는 이동이 가능한 석국으로 분류된 반면 방학동 돌바둑판을 비롯한 15개소(83.9%)는 자연 암반에 새긴, 원래 장소를 이탈하지 않은 암각바둑판으로 밝혀졌다. 돌바둑판의 입지조건을 유형화한 결과, 계류형 15개소(83.9%), 암봉형 3개소(16.1%)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은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1,389m)이었다. 총 15개 돌바둑판은 모두 500m 이하의 저산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판이 새겨진 입지는 속세와 멀지 않은 생활권의 일부였으며 모두 경관성이 탁월한 계곡 및 산봉에 입지하였다. 돌바둑판은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찰되는바 특히 암각바둑판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조화를 추구하며 명산대천(名山大川)을 찾아 함께 노니는 풍류도의 정신을 전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궁극적으로 바둑의 전통적인 상징성인 '은일의 매개체이자 자연귀의의 도에 다다를 수 있는 선비문화의 정수'인 동시에 유선적 취향의 도구로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단양 소백산 신선봉을 비롯하여 괴산 선국암, 무주 사선암, 장수 신선바위 등은 신선과 관련된 지명의 일체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선' 바위와 암각바둑판이야말로 선계에 대한 숭배와 동경의 소통방식이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된 경관대상이자 조망처로 판단된다. 한편 암각바둑판이 입지하는 장소의 입지유형 등 물리적 환경과 팔경 및 동천구곡의 설정 여부, 유학자 등의 관련 여부를 중심으로 한 '인간활동' 그리고 '상산사호' 모티프 및 '난가고사' 상징의미 등 3가지를 '장소정체성 판단을 위한 해석 틀'을 기준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암각바둑판 주변에 각자 되어있는 동천, 동문 등의 모티프는 주자학적 '구곡팔경'의 개념 보다는 선취적 '선유동천' 개념의 공간성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계류형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공간은 유가의 은둔지향적 공간이나 선도적 은일지향적 공간으로 시대추이에 따라 습합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산봉형의 암각바둑판은 별도로 신선 강림의 숭엄지향성이 장소정체성 지배의 중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곳을 포함하여 그 주변은 동천구곡이나 팔경의 일부로 널리 알려진 승경의 요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비 및 사대부 계층이 주체인 주변 각자들 중에도 신선 관련 표현어가 다수 발견됨에 따라 바둑판 조영의식의 이면에는 신선경 동경을 바탕으로 한 선도적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총합할 때 암각바둑판은 조선조 선비들의 은일과 운둔을 통한 자연경영의 문화 현상이 집약적으로 함축된 유산이자 전래 승경의 요처로, 명승과 같은 자연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탁월한 대상임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한내 17개의 돌바둑판 중에서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을 비롯하여 방학동 암각바둑판, 충주 사로암 암각바둑판, 무주 사선암 암각바둑판, 양산 어곡동 반룡대 석국 등은 세월의 풍파와 사람들의 접촉으로 마모되면서 바위가 깨어지거나 바둑판 줄이 희미해지고 있다. 또한 언양 반구대 집청정 암각바둑판은 토사 매몰로 그 형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암각바둑판은 자연과 바람의 흐름을 그대로 투영한 예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탁월한 조형물이자 선인들의 자연 사랑의 마음과 선계동경의 문화가 만나 이루어진 문화유적으로, 이에 대한 국내 분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정밀조사와 보존관리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