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H II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남동해안 경주-울산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 해안단굴 지형발달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Coastal Terraces at Jigyeong-Ri, the Areal Boundary between Gyeongju- and Ulsan Cit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 황상일;윤순옥;박한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90-504
    • /
    • 2003
  • 한반도 남동해안의 감포와 중부 동해안 정동진에서 발견된 해안단구 고고위I면과 고고위II면을 울산-경주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에서 재차 확인하였다. 특히 이곳에는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해안단구인 구정선고도 140m보다 한 단 더 높은 해발고도 155m인 고고위 지경(HH JK)면이 분포한다. 따라서 지경리지역 고고위면의 구정선고도는 해발고도 155m, 140m, l15m로 측정되었고, 형성시기는 각각 MIS 17(72∼69만년 BP), MIS 15(63∼56만년 BP)와 MIS 13(51∼48만년 BP)으로 편년되었다. 또한 고고위면의 규모가 매우 큰 것은 기반암과 고고위면 형성시 해안 지형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동해안 중부와 남부에서 고고위면을 비롯한 고위면, 중위면, 저위면의 구정선고도체계가 같으므로, Pleistocene 중기 이후 동해안에는 남북간 지반융기량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해안단구 고고위 지경면, 고고위 I면, 고고위 II면, 고위 I면, 고위 II면의 구정선고도와 형성시기와의 관계로부터 얻은 동해안지역 지반 융기속도는 0.23mm/y로 거의 균일하다.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Coastal Terraces at Jigyeong-Ri, the Areal Boundary between Gyeongju- and Ulsan Cities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 Hwang, Sang-Ill;Yoon, Soon-Ock;Park, Han-San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70
    • /
    • 2003
  • The existence of coastal terraces, HH(High higher) surfaces found at Gampo of southeast coast and at Jeongdongjin of the central east coast were confirmed at Jigyeong-Ri, the areal border between Gyeongju- and Ulsan cit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Peninsula. Especially this study reports HH JK-surface located on the 155m a.s.l., which is the highest altitude among the ancient shorelines of the coastal terraces in Korea. The HH surfaces on the study area are classified into HH JK at 155m, HH-I at 140m and HH-II at 115m, and each formation stage is related to MIS 17(720∼690ka BP), MIS 15(630∼560ka BP) and MIS 13(510∼480ka BP) respectively. The HH-surfaces remain to be larger than those of H- and L-surfaces. The reason is caused by the unique factors of the coastal geology and morphology on the study area during the formation stage. And also the areal difference by the magnitude of upheaval doesn't exist from north to south because the altitude system of ancient shoreline on each coastal terrace is same along the east coast. The upheaval rate of the eastern coastal areas was measured in the relation to the ancient shoreline and formation stage among the coastal terraces such as HH JK-, HH-I, HH-II, H-III and H-IY surface, and was almost same as 0.23mm/y.

  • PDF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정동진, 대진지역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Geomorphic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s at Jeongdongjin-Daejin area on the East Coast,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 윤순옥;황상일;반학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6-172
    • /
    • 2003
  • 정동진, 대진 지역에는 규모가 큰 해안단구 고위면이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중부 동해안에서 처음으로 구정선고도의 해발고도가 고위면보다 높은 고고위면이 확인되었다. 해안단구의 구정선고도는 고고위 I면(HH I) 해발고도 140m. 고고위 II교면(HH II) 110m, 고위 I면 90m, 고위 II면 70m, 중위면 40m, 저위 I면 25m, 저위 II면dl 10m이다. 그리고 홀로세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발고도 5~6m의 가장 낮은 해안단구가 연구지역 전체에서 나타난다. 고고위면은 인근의 삼척 오십천 해면변동단구와 남동해안 감포지역에서 확인되는 고고위 면과 같은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연구 지역의 해안단구 형성체계가 이들 지역의 그것과 거의 같은 데서 추론할 수 있다. 해안단구 형성시기는 최종간빙기인 MIS 5시기로 확인된 저위 I면을 단서로 중위면은 MIS 7. 고위 II면은 MIS 9, 고위 I면은 MIS 11로 판단된다. 고고위 II면은 산소동위체 MIS 13, 고고위 I면은 산소 동위체 MIS 15에 형성되었을 것이다. 고위면이 한반도 남동부 지역과 유사하게 큰 규모로 남아있는 것은 이것을 형성한 Holsteinian Interglacial의 기간이 매우 길고, 이 시기의 해면 위치에 기반암의 완사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파식대가 비교적 용이하게 만들어진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Optical Long-slit Spectroscopy of Parsec-scale Jets from DG Tauri

  • Oh, Heeyoung;Pyo, Tae-Soo;Yuk, In-Soo;Park, Byeong-Gon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69.1-69.1
    • /
    • 2015
  • Classical T Tauri star DG Tau is suggested as the driving source of parsec-scale jet which expands up to 650" (0.4 pc). To investigate the kinema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jet, we have obtained the optical emission lines of $H{\alpha}$, [O I] ${\lambda}{\lambda}$6300, 6363, [N II] ${\lambda}{\lambda}$6548,6584, and [S II] ${\lambda}{\lambda}$6716, 6731 from HH 158 ad HH 702. The radial velocity of HH 158 is in the range of -50 to $-250km\;s^{-1}$. For HH 702, located at 650" from the source, it shows ~ $-80km\;s^{-1}$. In HH 158, the electron density ($n_e$) close to the star is ${\sim}10^4cm^{-3}$ and it decreases to ${\sim}10^2cm^{-3}$ at 14" away from the star. Electron temperature ($T_e$) is decreasing from >15,000 K to ~5,000 K with distance. Ionization fraction ($x_e$) is increasing from almost zero to > 0.4 along the distance. In HH 702, the values of $n_e$, $T_e$, and $x_e$ are similar to those estimated at 14" from source, where knot C of HH 158 is located. This may imply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knot could persist through such a long distance in the space, and the gas could be re-excited by the shock during propagation of the jet. On the other hand, we cannot avoid the possibility that HH 702 is driven by another source rather than DG Tau because HH 158 and HH 702 show somewhat large difference in their inclination angles (${\Delta}i=21-35^{\circ}$).

  • PDF

한국 남동해안 경주-울산 경계지역의 해안단구 고고위면 지형 발달

  • 황상일;윤순옥;박한산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59
    • /
    • 2003
  • 한반도 남동 해안은 중부 동해안의 정동진 지역과 더불어 많은 지형학자들에 의해 해안단구 지형발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대보에서 방어진에 이르는 해안에서 해안단구는 크게 고위면, 중위면, 저위면으로 나누어지며, 이들은 다시 고위 I (H I)면, 고위II(H II), 중위면, 저위 I(L I)면, 저위II(L II)면으로 세분되었다. 특히 연구지역에서 북북동쪽으로 약 22km 떨어진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와 나아리에서는 고위면보다 더 높은 해발고도에서 고고위 I(HH I)면, 고고위II(HH II)면이 확인되었다(황상일ㆍ정혜경ㆍ윤순옥, 2000). (중략)

  • PDF

LONG-SLIT SPECTROSCOPY OF PARSEC-SCALE JETS FROM DG TAURI

  • Oh, Heeyoung;Pyo, Tae-Soo;Yuk, In-Soo;Park, Byeong-Gon
    • 천문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3-123
    • /
    • 2015
  • We present observational results from optical long-slit spectroscopy of parsec-scale jets of DG Tau. From HH 158 and HH 702, the optical emission lines of Hα, [O i] λλ6300, 6363, [N ii] λλ6548, 6584, and [S ii] λλ6716, 6731 are obtained. The kinematics and physical properties (i.e., electron density, electron temperature, ionization fraction, and mass-loss rate) are investigated along the blueshifted jet up to 650′′ distance from the source. For HH 158, the radial velocity ranges from −50 to −250 km s−1. The proper motion of the knots is 0.′′196 − 0.′′272 yr−1. The electron density is ∼104 cm−3 close to the star, and decreases to ∼102 cm−3 at 14′′ away from the star. Ionization fraction indicates that the gas is almost neutral in the vicinity of the source. It increases up to over 0.4 along the distance. HH 702 is located at 650′′ from the source. It shows ∼ −80 km s−1 in the radial velocity. Its line ratios are similar to those at knot C of HH 158. The mass-loss rate is estimated to be about ∼ 10−7 M yr−1, which is similar to values obtained from previous studies.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MCM3, Ki-67 그리고 HH3)의 발현율과의 연관성 (Association with Recurrence of Giant cell Tumor of Bone Between Immunohistochemical Marker (MCM3, Ki-67 and HH3) Expression Rate)

  • 하종경;정훈;김용주;이관희;최경업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7-74
    • /
    • 2007
  • 목적: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에서 유발된 거대세포종양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6명은 남자, 4명은 여자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 생검을 통해 확진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분류는 Enneking grading system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위해 MCM3, Ki-67 그리고 HH3 표지자가 사용되었다.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는 Microarray block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10례 중 3례(30%)에서 같은 위치에서 재발되었다. 재발된 3례 중 2례는 방사선학적 단계 상 단계 2였고, 1례는 단계 1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의 발현율이 방사선학적 단계 1보다 2, 3에서 증가되었다. 하지만 결과의 일관성이 없어 세포 증식율과 방사선학적 단계의 연관성은 판별하기 어렵다. 평균 MCM3 표지자의 발현율은 재발하지 않은 종양에서 11.2%, 재발한 종양에서 7.2%였다. Ki-67은 12%, 8.9% 였고, HH3는 66.9%, 75.4%였다. MCM3 와 Ki-67 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오히려 감소된 결과를 보여 재발율과는 연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HH3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여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는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 중 HH3표지자가 거대세포종양의 재발 가능성을 판정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ON THE S1-EULER CHARACTERISTIC OF THE SPACE WITH A CIRCLE ACTION ii

  • HAN, SNAG-EO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4권1호
    • /
    • pp.93-101
    • /
    • 2002
  • The $S^1$-Eule characteristics of X is defined by $\bar{\chi}_{S^1}(X)\;{\in}\;HH_1(ZG)$, where G is the fundamental group of connected finite $S^1$-compact manifold or connected finite $S^1$-finite complex X and $HH_1$ is the first Hochsch ild homology group funct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several cases which the $S^1$-Euler characteristic has a homotopic invariant.

  • PDF

Photodetection Mechanism in Mid/Far-Infrared Dual-Band InAs/GaSb Type-II Strained-Layer Superlattice

  • 노삼규;이상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7-127
    • /
    • 2010
  • Owing to many advantages on indirect intersubband absorption from the hole miniband to the electron miniband based on the type-II band alignment in InAs/GaSb strained-layer superlattice (SLS), InAs/GaSb SLS infrared photodetector (SLIP) has emerged as a promising system to realize high-detectivity quantum photodetector operating up to room temperature in the spectral range of mid-infrared (MIR) to far-infrared (FIR). In particular, n-barrier-n (n-B-n) structure designed for blocking the majority-carrier dark current makes it possible for MIR/FIR dual-band SLIP whose photoresponse (PR) band can be exclusively selected by the bias polarity.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MIR and FIR photoresponse (PR) mechanism identified by dual-band PR spectra and photoluminescence (PL) profiles taken from InAs/GaSb SLIP. In the MIR/FIR PR spectra measured by changing bias polarity, each spectrum individually shows a series of distinctive peaks related to the transitions from the hole subbands to the conduction one. The PR mechanism at each polarity is discussed in terms of diffusion current, and a superposition of MIR-PR in the FIR-PR spectrum is explained by tunnelling of electrons activated in MIR-SLS. The effective FIR-PR spectrum decomposed into three curves for HH1, LH1, and HH2 has revealed the edge energies of 120, 170, and 220 meV, respectively, and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MIR-PR edge energies shows that the temperature behavior of the SLS systems can be approximately expressed by the Varshni empirical equation.

  • PDF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수제리-수렴리의 해안단구와 제4기 환경변화 (Marine terrace and its implications to paleoenvironment during the Quaternary at Suje-ri - Suryum-ri of the East coast of Gyeongju, SE Korea)

  • 황상일;신재열;윤순옥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7-108
    • /
    • 2012
  • 지난 수 십 년간 해안지형 연구분야의 축적된 지식은 해안단구의 분포 특징으로부터 지반 운동에 관한 양질의 기록과 증거들을 생산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양북면과 양남면 소재의 수제리-수렴리 일대의 해안단구 분포와 지형발달을 논의하였다. 연구지역 일대에는 고고위읍천면을 포함하여 해발고도 160m까지 8단의 해안단구가 체계적이고 연속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반복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해안단구 고고위면의 존재는 동해안 일대의 해안단구 형성시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는 해안단구 고고위면의 구정선고도와 그 추정 시기에 의하면, 플라이스토세 중기 (약 70만년) 이후 한반도 동해안의 평균 지반운동 속도는 0.23mm/year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해안단구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지반 융기 운동의 속성과 시, 공간 특성은 복잡한 한반도 신생대 제4기 지반 운동의 본질을 이해하는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