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orphic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s at Jeongdongjin-Daejin area on the East Coast,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정동진, 대진지역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 윤순옥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황상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반학균 (경기도 광주공등학교)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In this paper we identify that there are High Higher surfaces(HH-surface) around Jeongdongjin and Daejin area where Higher surfaces(H-surface) of marine terrace are formed on a large scale. On the basis of an altitude of the ancient shoreline of the marine terraces, geomorphic surfaces can be classified into HH I (140m a.s.l), HH II (110m a.s.l), H I (90m a.s.l), H II (70m a.s.l), M (40m a.s.l), L I (25m a.s.l) and L II (10m a.s.l). Besides, we identify that the lowest surfaces(5~6m a.s.l) are found extensively in the research area which are assumed to be formed in the Holocene. Considering that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marine terraces in the research area is similar to that of the marine terraces at both Campo area in the south east coastal region of Korea md the thalassostatic terraces of Osip River in Samchuk in a short distance from the research area, we can assume that the HH-surfaces in both areas were formed in the same period. Based on the fact that L I- surface was formed on the Last Interglacial Stage of MIS 5, we can infer that M- was formed in MIS 7, H I- in MIS 9, H II- in MIS 11, HH I- in MIS 13 and HH II- in MIS 15. The reason for that H-surfaces, similar to those at Gampo area, to remain on a large scale is that the Holsteinian Interglacial continu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at that time there was a large wave-cut platform in the vicinity of the shoreline.

정동진, 대진 지역에는 규모가 큰 해안단구 고위면이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중부 동해안에서 처음으로 구정선고도의 해발고도가 고위면보다 높은 고고위면이 확인되었다. 해안단구의 구정선고도는 고고위 I면(HH I) 해발고도 140m. 고고위 II교면(HH II) 110m, 고위 I면 90m, 고위 II면 70m, 중위면 40m, 저위 I면 25m, 저위 II면dl 10m이다. 그리고 홀로세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발고도 5~6m의 가장 낮은 해안단구가 연구지역 전체에서 나타난다. 고고위면은 인근의 삼척 오십천 해면변동단구와 남동해안 감포지역에서 확인되는 고고위 면과 같은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연구 지역의 해안단구 형성체계가 이들 지역의 그것과 거의 같은 데서 추론할 수 있다. 해안단구 형성시기는 최종간빙기인 MIS 5시기로 확인된 저위 I면을 단서로 중위면은 MIS 7. 고위 II면은 MIS 9, 고위 I면은 MIS 11로 판단된다. 고고위 II면은 산소동위체 MIS 13, 고고위 I면은 산소 동위체 MIS 15에 형성되었을 것이다. 고위면이 한반도 남동부 지역과 유사하게 큰 규모로 남아있는 것은 이것을 형성한 Holsteinian Interglacial의 기간이 매우 길고, 이 시기의 해면 위치에 기반암의 완사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파식대가 비교적 용이하게 만들어진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v.12 no.1 플라이토신 층서연구 김주용;이동영;최성길
  2. 釜山女大論文集 v.9 韓半島의 海成段丘와 第四期의 地殼變動 吳建煥
  3. 釜山大師大 敎育論輯 v.10 舊汀線高度變化로부터 본 韓半島의 第四紀 地殼變動 吳建煥
  4. 한국지형학회지 v.6 no.2 한국 남동해안 감포 나정리-대본리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윤순옥;황상일;정혜경
  5. 대한지리학회지 v.35 no.1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윤순옥;황상일
  6. 대한지리학회지 v.37 no.3 三陟 五十川 中.下流부의 河岸段丘 地形發達 윤순옥;황상일;정석교
  7. 한국제4기학회지 v.1 Stratigraphical research of the quaternary deposits in the Korean Peninsula 이동영
  8. The Korea Journal of Quatermary Research v.7 no.1 韓國 東海岸에 있어서 最終間氷期의 舊汀線高度變化로부터 본 硏究: 後期 更新世 河成段丘의 地形層序的 對比의 觀點에서 崔成吉
  9. 韓國地理學會誌 v.30 no.2 韓半島 中部東海岸 低位海成段丘의 對比와 編年 崔成吉
  10. 서울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東海岸 正東里一帶의 海岸平坦面 地形硏究 黃晩益
  11. 韓國地形學會誌 v.3 no.2 韓國 東海岸 盈德 金谷地域 海岸段丘의 堆積物 特性과 地形發達 黃相一;尹順玉
  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3 no.2 경주 甘浦지역 해안단구의 지형면 분석을 위한 GIS의 적용 황상일;정혜경;윤순옥
  13. 東北地理 v.30 no.3 韓國浦項周邊海岸平野の地形發達 曺華龍
  14.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The Quaternary marine terraces of Santa Cruz, California Anderson,Robert,S.
  15. Doctor's dissertation of Tsukuba University Geomorphic Development of Intermontane Basines in Korea Chang,Ho.
  16.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Quaternary upper plate deformation in coastal Oregon Kelsey;Harvey,M.
  17.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Terrace Gravel Sequences in the Pohang Area(Korea) Kim,J.Y.
  18. Jour. Geol. Soc. Kor. v.9 no.2 A study on the terrace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Bangeojin∼Pohang) of the Korean Peninsula Kim,S.W.
  19. Reconstructing Quaternary Environment(2nd Ed.) Lowe,J.J.;Walker,M.J.C.
  20. Bulletin of the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Tokyo v.13 Marne terraces and their tectonic deformation on the coase of the southem part of the Korea peninsula Oh,G.H.
  21. Quaternary Reseach v.3 Oxygen Isotope and paleomagnetic stratigraphy of equatorial pacific core V,28-238; Oxygen isotope temperature and ice volumes on a 105 and 106 scale Shackleton,N.J.;Opdyke,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