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FC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8초

고압상태의 다양한 용매 내에서 Poly(methylmethacrylate) (PMMA)의 상거동 (Phase Behavior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in Varions Solvents at High Pressure)

  • 김제일;유기풍;임종성
    • 청정기술
    • /
    • 제13권1호
    • /
    • pp.28-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variable volume view cell이 장착된 상평형 장치를 사용하여 고압 상태의 다양한 용매 내에서 고분자인 Poly(methylmethacrylate) (PMMA)의 구름점(cloud point)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용매는 chlorodifluoromethane (HCFC-22), dimethylether (DME), 1,1,1-trifluoroethane (HFC-143a), 1,1-difluoroethane (HFC-152a), 1,1,1,2-tetrafluoroethane (HFC-134a) 이였으며, 이들 용매에 $CO_2$를 첨가한 $HCFC-22+CO_2$$DME+CO_2$의 이성분계 혼합용매에서 $CO_2$의 조성 변화가 PMMA의 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PMMA는 HCFC-22에서는 340K, 5MPa 정도의 가장 낮은 온도 압력 조건에서부터 잘 용해되었으며 DME에서는 300K, 28MPa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 압력 범위에서 잘 용해되었으나, 그 밖의 불소화합물인 HFC-143a, HFC-152a, HFC-134a에서는 423.15K, 160MPa의 높은 온도 및 압력범위에서도 전혀 용해가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PMMA+HCFC-22 혼합물에 $CO_2$를 첨가한 $PMMA+HCFC-22+CO_2$계의 경우는 LCST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의 상거동을 보였으나 PMMA+DME 혼합물에 $CO_2$를 첨가한 $PMMA+DME+CO_2$계의 경우는 UCST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의 상거동을 보였다. $CO_2$ 혼합용매 내에서 cloud point 압력은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되는 $CO_2$의 양에 비례하여 급격히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PMMA를 SAS (supercritical antisolvent) 법에 의해 미세입자화 할 경우 $CO_2$가 DME와 HCFC-22에 대한 역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_2$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PMMA의 cloud point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d담지촉매와 고체산촉매를 이용한 HCFC-142b의 탈염소반응 (Dechlorination of HCFC-142b over Supported Pd Catalysts and Solid Acid Catalysts)

  • 한광영;서경원;목영일;박건유;안병성
    • 공업화학
    • /
    • 제9권3호
    • /
    • pp.372-376
    • /
    • 1998
  • Pd를 지지체에 담지시킨 촉매($Pd/AlF_3$, $Pd/{\gamma}-Al_2O_3$)와 고체산촉매(${\gamma}-Al_2O_3$, ${\alpha}-Al_2O_3$, $AlF_3$)를 제조한 후 수소분위기에서 HCFC-142b(1-chloro-1,1-difluoroethane)의 탈염소반응을 수행하여 반응온도, 수소/HCFC-142b의 공급비(r) 및 Pd담지량 변화가 HFC-143a(1,1,1-trifluoroethane)와 HFC-152a(1,1-difluoroethane)로의 선택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Pd/AlF_3$$Pd/{\gamma}-Al_2O_3$촉매에 의한 전환율은 각각 60%와 92%였고, 생성가스 중에서 HFC-143a로의 선택도는 각각 58%와 64%였다. 이때 최적반응조건은 반응온도, $200^{\circ}C$, 공간시간 1.05s, 수소/HCFC-142b의 공급비가 3이었다. 한편, 동일 조건하에서 ${\gamma}-Al_2O_3$${\alpha}-Al_2O_3$, 그리고 $AlF_3$촉매에 의한 HCFC-142b의 생성가스로의 전환율은 각각 12%, 8%와 7%였고, 생성가스중 HFC-152a로의 선택도는 각각 94%, 92%와 90%였다.

  • PDF

HFC 구조 액세스망-양방향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적 고찰 (Review on HFC Networks for Providing Full Services)

  • 양선희;김봉태;김재근;김수형
    • 정보와 통신
    • /
    • 제13권11호
    • /
    • pp.192-210
    • /
    • 1996
  • 본 고에서는 일반 가정 및 소규모 업무용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ATM 기반의 디지털 Hybrid Fiber-Coax 망에 대한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 양방향 통신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기술적 사항에 대해 고찰한 내용을 기술한다.

  • PDF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공기괴별 HFC-23/HCFC-22의 배출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FC-23 (CHF3)/HCFC-22 (CHClF2) between Different Air Masses in Northeastern Asia)

  • 리선란;김주일;김경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90-498
    • /
    • 2010
  • HCFC-22 (chlorodifluoromethane, $CHClF_2$), one of the major components in various refrigeration, is emitted mostly from developing countries, as its consumption is not limited until 2013 by the Montreal Protocol. In addition, HFC-23 (trifluoromethane, $CHF_3$), a by-product in the manufacture of HCFC-22, is also a powerful greenhouse gas. Here, we discuss the regional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se compounds based on high-frequency in-situ measurements using the "Medusa" GC-MS system. HCFC-22 and HFC-23 baseline concentrations measured at Gosan (Jeju Island, Korea) from November 2007 to December 2008 increased by 1.8 ppt/yr and 0.6 ppt/yr, respectively. Pollution events of these compounds were observed, very frequently (e.g., ~2~3 times) at Gosan than baseline levels. All the measurement data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ratio (HFC-23/HCFC-22) and concentration (HCFC-22) at Trinidad Head (TH, California, USA). The residence time of trajectories were then analyzed in each of the four groups. The results exhibited the existence of a strong correlation with air mass origin for each group: 1) Air masses originating from Siberia in the north and from the Pacific in the south had ratios of 0.08~0.12 and concentrations of 196.9~254.3 ppt which is highly comparable to background air at TH. 2) Air masses passing over the Southern China exhibited similar ratios but higher HCFC-22 concentrations. 3) Air masses passing over the Northern China had ratios of 0.12~0.21. 4) Air masses passing over Korea and/or Japan had ratios of 0.01~0.08.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HFC-23/HCFC-22 ratio can be used as a good indicator for the assessment of the pollution with Chinese origin. We also confirmed differences in air masses traveling over Northern and Southern China, most likely due to differences in air mass travelling speed over these regions before arriving at Gosan. This signature may be treated as one of the critical components in identifying the emission sources from different parts of China.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 보충이 지방간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of purple sweet potato on nonalcoholic fatty liver in high fat/cholesterol-fed mice)

  • 이유진;양윤경;김유진;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1-8
    • /
    • 2015
  •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의 간 보호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지방간 유도를 위해 8주간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였으며,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은 1.25, 2.5, 5%의 수준으로 식이에 함께 넣어 같은 기간 동안 제공하였다. 간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혈장 ALT 활성도, 간 및 혈장의 TC 수준을 바탕으로 비알콜성 지방간 모델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의 급여는 식이섭취량을 감소시켜 총 에너지 섭취량은 시험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포화지방을 급원으로 하였을 때 지방세포의 비대와 혈장 TC, 간 TC, 간의 지방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을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섭취시킨 결과,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한 지질대사 이상을 유의하게 변화시키지 못해 혈액 및 간 손상 지표를 개선시키지 못하였으나, 지방조직의 크기는 작게 유지하고 간의 지방구 형성은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은 지질대사 개선을 통해 간 보호 효과를 갖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자색고구마 열수추출물이 지방세포-간의 상호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탄소저감형 4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수화 특성에 관한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Hydration Properties of Quaternary Component Blended High Fluidity Concrete with CO2 Reduction)

  • 최연왕;오성록;조준희;강현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03-41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탄소저감을 위한 산업부산물 사용 증대 및 시공성능 향상을 위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80% 이상 감소시킨 탄소저감형 4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QC-HFC)를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수화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QC-HFC의 품질은 목표 성능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동 및 역학특성의 경우 기존에 적용되는 콘크리트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QC-HFC의 건조수축은 기존 배합과 비교하여 약 2배 이상, 수화열의 경우 약 36% 감소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으며, 그 결과 수화열 저감 효과에 따른 온도응력 감소, 상대적으로 작은 내외부 온도차로 인한 변형 감소로 균열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매스 구조물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온도균열지수 1.1 이상으로 균열발생 확률이 약 35%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남에 따라 온도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이버섯 품종간 생리활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uricularia spp.)

  • 조세현;김태호;유영복;오진아;장미향;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0-3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목이버섯 품종간의 생리활성을 실험하였다. ORAC assay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털목이, 갈색목이, 흑목이 순으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lpha}$-Amyloglucosidase 저해활성을 통한 항당뇨 활성은 3품종 모두 10 mg/mL에서 60% 정도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Raw 264.7 macrophage의 nitric oxide 생성 저해를 통한 항염활성은 1 mg/mL 처리시 털목이와 흑목이는 dexamethasone 1 ${\mu}g$/mL에 상응하는 활성을 나타냈다. 20% 지방을 첨가하여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ICR 마우스의 목이버섯 급여에 따른 항비만 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군에서 체중 및 증체량, 식이효율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 갈색목이버섯인 JNM21012군은 0.45 g/day로 7% 지방을 첨가한 일반식이(NC) 군과 동일 수준의 증체량을 보였다. 부고환 무게는 털목이 및 흑목이, 갈색목이 모두 고지방식이(HFC) 군에 비해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갈색목이 군은 HFC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혈액성분 중 triglyceride의 경우 목이버섯 첨가 식이군 모두 HFC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갈색목이 군은 고지방식이 HFC군에 비해 42%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은 털목이와 갈색목이군이 HFC군 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갈색목이군은 HFC군에 비해 각각 81%와 66%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HDL-cholestrol의 경우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NC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성분계 가스계소화약제 소화성능의 컵버너실험 및 이론적 고찰 (Fire Extinguishing Ability of Binary Gaseous Extinguishing Agents Evaluated by Cup Burner and Numerical Studies)

  • 권경옥;원동빈;최근주;김종원;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12
    • /
    • 2007
  • 할론 1301과 같은 바람직한 물성을 갖고 있는 새로운 소화약제를 찾고자 하는 노력은 아직까지 이렇다 할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대체 가스계 소화약제 개발을 위한 하나의 접근방법으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이성분계 복합가스계소화약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불활성기체에 기존 가스계소화약제를 혼합하여 여러 조성에 대해 소화농도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소를 기본으로 HFC 125와 HFC 227ea를 각각 혼합하여 혼합물의 소화약제의 농도를 농도비를 달리하며 컵버너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복합소화약제의 각각의 소화농도는 HFC 가스계소화약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두 낮아지는(즉 소화력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론적으로 계산된 값과의 일치도도 높았으며, 소화효과 측면에서 질소와의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이성부계 소화약제의 물리 화학적 소화효과의 모델링을 통해 소화농도를 추정하는 방식은 이성분계 복합가스계 소화약제의 전체 성능예측에 필요한 실험 횟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