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FB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 (Flexural Behavior of Hybrid Fiber Reinforcement Strengthened RC Beams)

  • 이성태;이진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79-8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섬유보강재인 하이브리드 섬유시트(HFC)와 하이브리드 섬유바(HFB)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시트, 바)로 보강된 보는 무보강보에 비해 약 60%~2배 이상의 높은 보강효과를 보였고 보강된 보는 항복점 이후 연성적인 거동을 보이며 파괴되는 이상적인 파괴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하이브리드 섬유바 보강의 경우 하이브리드 섬유바를 에폭시 주입과 접착제로 부착한 보강보는 비슷한 파괴거동을 보여줌으로써 부착방식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유소결베어링과 빗살무늬 유체베어링의 마찰 특성 및 레이저 스캐너 모터에서의 전기적 특성 (Oil-impregnated Sintered-metal Bearing and Herringbone-grooved Fluid Bearing for High-speed Scanner Motors)

  • 이영제;정광섭;정성훈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5권1호
    • /
    • pp.108-115
    • /
    • 1999
  • The electrical and frictional properties of oil-impregnated sintered-metal bearing (OSB) and herringbone-grooved fluid bearing (HFB) with varying loads and speeds were measured. OSB shows very good performance up to 20,000 rpm and 0.05 N, and HFB successfully works up to 35,000 rpm and 0.05 N. From the endurance tests on start-stop and continuous oper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ose bearings could be mass-produced fur use on scanner motor in a laser scanner unit.

고지방식이 및 고탄수화물식이가 흰쥐의 혈청 Leptin 농도 및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Fat and High Carbohydrate Diet on Serum Leptin and Lipids Concentration in Rat)

  • 김진옥;강순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23-13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 composition on serum leptin and lipids profiles in rats. At the baseline, seven 4-week-old Sprague-Dawley rats, male, were sacrificed and the remaining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each group was fed one of the following five dietary regiments for 2 weeks and 6 weeks;the control diet AIN76(CAL, n=2l), high-carbonhydrate(rice)(HCR, n=2l), high-carbohydrate(flour)(HCF, n=2l), high-fat(corn oil)(HFO, n=2l), high-fat(beef tallow)(HFB, n=2l). Serum leptin was determined by a double antibody ELISA assay at the baseline(n=7), 6 week(n=35) and 10 week of age(n=70). At 6 weeks of age, the increase in the Food Efficiency Ratio(FER) was related to adipocyte hyperplasia in rats on HFB diets. The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in HFB group, and decreased in HFO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HFC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triglyceride level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fter 2 weeks and 6 weeks, noticeably high increases in epididymal adipose tissue fat cell mass and numbers were observed with the HFB fed group. Serum leptin levels increased as body weight increased over the period of time(4weeks; 1.50$\pm$0.13ng/ml versus 10weeks; 2.08$\pm$-.13ng/ml). And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are 193% higher in rats fed high fat-beef tallow diet than the control diet. Serum leptin levels of the HFB group(4.01$\pm$0.39mg/m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FO(2.06$\pm$0.5613ng/ml), CAL(2.08$\pm$0.1313ng/ml), HCR(2.41$\pm$0.2113ng/ml) and HCF(2.80$\pm$0.4713ng/ml) at p<0.05. The serum leptin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epididymal fat pads(r=0.47 p<0.01), serum triglyceride(r=0.49, p<0.001), tatal cholesterol(r=0.48, p<0.001), LDL-cholesterol(r=0.58, p<0.001), atherogenic index(r=0.67, p<0.001), and inverse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r=-0.65, p<0.001). In conclusion, the changes in composition of dietary fat and carbohydrate intake could affect changes in concentration of serum lipids and leptin. Especially, the high-fat diet with animal fat source could increase circulating leptin level. (Korean J Nutrition 34(2) : 123-131, 2001)

  • PDF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세포에서 MACS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세포의 특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MACS Isolated Cells from Differentiated Human ES Cells)

  • 조재원;임천규;신미라;방경희;궁미경;전진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3호
    • /
    • pp.171-178
    • /
    • 2006
  • 목 적: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재생 의학이나 조직공학에 있어서 큰 잠재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다양한 growth factors 처리나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켜 특정 세포로 유도 분화 및 분리가 가능하지만 그 효율성은 아직까지 낮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비특이적으로 분화된 세포들을 특정 세포 표면 항체를 이용한 magnetic cell sorting (MACS) 방법으로 분리, 배양하여 그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주(Miz-hESC4)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계대 배양하였으며, 부유 배양법으로 배아체 형성을 유도하였다. 배아체의 자발적인 분화를 위해 DMEM에 10% FBS를 첨가하여 2주 동안 배양하였다. 이렇게 분화된 세포들을 CD34, human epithelial antigen (HEA), human fibroblast (HFB)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MACS system으로 각각의 항체에 대한 양성 또는 음성 세포를 분리하였다. 이러한 MACS 분리 세포를 4주 동안 배양하면서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특이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분리 배양한 CD34 양성 세포들은 배양 초기에는 둥근 형태를 나타내다가 배양 후기에는 작은 다각형의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HEA 양성 세포들은 큰 다각형의 형태를 나타내었고, HFB 양성 세포들은 전형적인 방추체 형태로 관찰되었다. 특이 유전자에 대한 RT-PCR 결과에서, CD34 양성 세포들과 HFB양성 세포들에서는 내배엽과 중배엽 관련 유전자의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HEA 양성 세포들에서는 외배엽 관련 유전자인 NESTIN과 NF68KD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CD34 양성 세포의 특이 유전자 발현 양상이 변화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는 비특이적으로 분화된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특이 세포를 MACS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MACS 방법과 특이 세포에 대한 항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유도 분화와 특이 세포의 분리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친화막의 L-tryptophan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 of L-tryptophan of Affinity Membrane)

  • 변홍식;홍병표
    • 멤브레인
    • /
    • 제18권3호
    • /
    • pp.214-218
    • /
    • 2008
  •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polyethersulfone (PES)-bovin albumin serum (BSA) 단백질 친화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전기방사에 의한 공정상의 문제점을 용해도가 높고, 끓는점이 높은 2,2,3,4,4,4-Hexafluoro-1-butanol (HFB)를 공용매로 사용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또한 공용매는 최적의 온도, 습도 범위를 확대시켜줌으로써 친화막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리라 생각한다. 제조된 친화막은 biuret test를 통하여 친화막의 색깔이 무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함으로써 PES 섬유 내 BSA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완충용액의 조성 성분 중 dimethyl sulfoxide (DMSO)는 세척과정에서 BSA와 L-tryptophan사이의 해리를 제어함으로써 용출과정에서 비교실험보다 약 5배의 높은 용출량을 보여주었다.

전기방사로 제조된 PES-BSA 친화막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ES-BSA Affinity Membrane Prepared by Electrospinning)

  • 변홍식;홍병표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306-316
    • /
    • 2008
  •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pelyestersulfone (PES)-bovin albumin serum (BSA) 친화막에 대하여 L-tryptophan에 대한 흡착특성을 연구하였다. FESEM과 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방사조건에 따른 섬유의 직경분포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섬유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2,2,3,4,4,4-Hexafluoro-1-butanol (HFB)와 BSA의 함량증가에 따른 미세섬유 발생빈도가 높아져서 Darcy 투과도, 기계적 물성, 발수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았다. L-tryptophan의 용출량은 tris-HCl 완충용액보다 borate-DMSO 완충용액에서 높았으며, A 8022형 BSA보다 A 7906형 BSA가 높은 용출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BSA의 종류에 따른 그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A 7906형은 A 8022형보다 순도가 높고 분자량 분포가 고르며, 사용 pH 환경이 더욱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막접촉기용 막의 아민 용액에 대한 저항성 향상 (Enhancement in the Amine Resistance of Membranes for Membrane Contactors by Plasma Treatment)

  • 최승학;오세중;조남준;구자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0권6호
    • /
    • pp.719-724
    • /
    • 2002
  • Celgard 및 Durapore 막을 플라즈마로 처리하여 막의 소수성 및 아민용액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플라즈마 기체(또는 증기)로는 $CF_4$, Hexafluorobenzene(HFP), Pentafluoropyridine(PFP) 그리고 Hexamethyldisiloxane(HMDS)를 사용하였다. 플라즈마로 처리시킨 막의 표면구조는 FT-I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플라즈마로 처리시킨 막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플라즈마 기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Celgard와 Durapore 모두 HFB이나 PFP의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접촉각이 감소하였으나, $CF_4$ 또는 HMDS의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플라즈마로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접촉각이 증가하였다. Monoethanolamine(MEA)용액에 대한 저항성은 Celgard의 경우에는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경우가 순수한 Celgard보다 낮았으나, Durapore는 $CF_4$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경우 MEA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었다.

Bulk-base 복합 레진의 중합 깊이에 따른 미세경도 평가 (Evaluation of Microhardness of Bulk-base Composite Resins According to the Depth of Cure)

  • 노유미;신비솔;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5-340
    • /
    • 2017
  • 복합 레진은 소아치과 영역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재료가 되었다. 하지만 복합 레진은 중합 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층 충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긴 시술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임상가들은 bulk-filling 재료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하였고, 최근 bulk-base 복합 레진이 새로 출시되었다. 본 연구는 bulk-base 복합 레진의 깊이별 미세경도 측정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군으로 1종의 저점도 bulk-base 복합 레진과 1종의 고점도 bulk-base 복합 레진을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 1종의 전통적 복합 레진을 사용하였다. 각 깊이별 재료들의 미세경도에 대한 결과로 대조군의 경우는 중합 깊이가 깊어질수록 미세경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이에 반해 실험군 인 HFB는 0 mm와 4 mm에서, 그리고 MFB는 0 mm와 2 mm, 0 mm와 3 mm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높이에 따른 유의한 감소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각각의 깊이에서 시편들의 미세경도를 비교하였을 때 표면과 2 mm에서는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큰 미세경도를 보였다(p < 0.05). 3 mm에서는 저점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미세경도가 크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4 mm에서는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미세경도 값을 보였다(p < 0.05). 이번 실험을 통하여 bulk-base 복합 레진이 4 mm에서 기존의 복합 레진보다 더 높은 미세경도를 보였고 표면과 2 mm에서는 더 낮은 미세경도를 보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bulk-base 레진의 기계적 성질의 향상을 통해 표면의 낮은 미세경도 특성이 극복된다면 소아 환자의 수복 치료 시 적용이 고려되어 질 만 할 것이다.

식품 중 3-monochloropropane-1,2-diol의 분석법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he Analytical Method for 3-Monochloropropane-l,2-diol in Food)

  • 유승석;오창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0-365
    • /
    • 2007
  • 간장 중 3-MCPD 분석을 위한 HFBI, PBA, BSTFA 및 MBTFA를 사용한 유도체화 방법 및 시료 정제를 위한 흡착제, 용출용매 및 Surrogate, 내부표준물질 등을 검증한 결과 MBTFA를 이용한 acylation 방법을 제외한 나머지 세가지 유도체화 방법 모두 0.01 mg/kg 이하의 검출한계를 확인하였으며 정량한계(검출한계 ${\times}$3배)를 고려하더라도 현재의 국내 0.3 mg/kg 기준을 분석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유럽의 허용치 0.02 mg/kg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PBA방법이나 BSTFA를 사용한 유도체화 방법의 경우 최종 시료액을 약 5배 이상 농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유도체화를 위한 반응조건으로 가열시간 및 온도는 HFBI와 BSTFA를 사용하는 경우 $70^{\circ}C$에서 각각 30 및 60분 그리고 PBA는 첨가 직후부터 가열 없이 반응이 완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착제는 Extrelut20 혹은 Florisil 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흡착제로부터의 3-MCPD 용출용매로는 ethyl acetate가 상대적으로 높은 추출능을 보여 주었다. 또한 고가의 3-MCPD 중수 소치환 동위원소 surrogate 물질을 대체하기 위한 surrogate 표준물질로는 1,2-butanediol이 그리고 내부표준물질로는 1,2-dibromo-3-chloropropane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국내 참치 부산물 내 히스타민 생성 주요 세균의 특성 구명 (Characteristics of Histamine Forming Bacteria from Tuna Fish Waste in Korea)

  • 방민우;정창대;김선호;장문백;이성실;이상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77-283
    • /
    • 2009
  • Biogenic amines은 발효제품과 같이 어류 속의 미생물에서 분비된 decarboxylase의 free amino acid의 decarboxylation에 의해 형성된다. 본 연구는 국내 어분 제조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참치 부산물의 항영양인자로 작용하는 biogenic amines (histamine, tyramine, tryptamine, putrescine, cadaverine)의 분해조절을 위해 참치 부산물의 특성 구명을 위한 연구로 실시하였다. 참치 부산물의 pH 및 염도 농도는 6.51과 3.35%이었으며, 참치 어분의 pH 및 염도 농도는 5.58과 5.83% 이었다. 참치 부산물 내 존재하고 있는 균주 및 주요 미생물을 확인한 결과 Total bacteria, aerobic plate count (APC), Total coliform (TC), Lactobacillus spp. 및 Bacillus spp.는 각각 9.20, 9.29, 5.67, 7.82 및 7.58(Log CFU/g)이었다. 참치 부산물 내 히스타민 주요 생성균을 확인하기 위해 TLC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히스타민 선택배지에서 추출한 미생물 중 총 7종의 히스타민 생성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HPLC 분석을 통하여 히스타민 농도를 측정하여 아민 생성 미생물을 재확인하였다. Trypicase soy broth에 1% L-histidine (TSBH)을 첨가한 배지에서 분리한 7종의 히스타민 생성 균주를 16SrRNA 염기서열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참치 부산물내 주요 우점 아민 생성 미생물은 L. lactis subsp. lactis, K.pneummonlae, L. garvieae, V. olivaceus, H. alvei, L. garvieae 및 Morganella morganii가 주요 균주로 분석되었다. 16S rRNA 분석결과로 만들어진 phylogenetic tree는 다른 계통임을 보여주며 이는 biogenic amine을 생성하는 그람 양성 및 음성균으로 분류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