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C-1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35초

고추씨 에탄올 추출물이 콜레스테롤 흡착능 및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s on Cholesterol Adsorption Capacity and UDP-Glucuronyl Transferase Activity)

  • 송원영;김유나;전성식;구경형;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29-83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고추씨 에탄올추출물이 콜레스테롤 흡착능 및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In vitro 콜레스테롤 흡착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고추씨 에탄올추출물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In vivo에서 실험동물은 체중 $100{\pm}10$ g 내외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은 정상식이를 공급한 정상군과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실험군으로 나누고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실험군을 다시 고추씨 에탄올추출물을 공급하지 않은 군(HF groups), 0.1% 공급한 군(HEA group), 0.2%을 공급한 군(HEB group) 및 0.5%을 공급한 군(HEC group), 5군으로 나누고 각 군당 8마리씩 3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고추씨 에탄올추출물을 공급한 모든 군에서 HF 군에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이효율은 고추씨 에탄올추출물을 각각 0.1%, 0.2% 및 0.5% 공급한 군에서는 HF군에 비해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조직의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F 군에 비해 HEA, HEB 및 HEC군에서는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증가되었고, 고추씨 에탄올추출물 공급군인 HEC 군에서는 HF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청중의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EA, HEB 및 HEC 군에서 HF 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HEA, HEB 및 HEC 군에서는 HF 군에 비해 정상군 수준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LDL-콜레스테롤은 HF 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HEA, HEB 및 HEC 군에서는 모두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대변중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F 군에 비해 특히 고추씨 에탄올추출물 공급군 HEB 군 및 HEC 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중성지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는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증가되었고, 고추씨 에탄올추출물을 공급한 HEB군 및 HEC 군에서 HF 군에 비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추씨 에탄올 추출물은 콜레스테롤 흡착능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 및 지질대사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음을 규명하였다.

댐 붕괴 홍수류해석을 위한 1차원 모형의 비교 연구 (A Study to comparison of 1-D Model on dam break flood analysis)

  • 최병규;강태호;정요한;고재형;김강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65-1769
    • /
    • 2008
  • '96년, '98년 임진강 유역과 경기북부 지역 집중호우를 시작으로 '02년 태풍 "루사", '03년 "매미", '04년 "메기" 등의 영향으로 대규모 수공 구조물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폭우를 동반하여 전국적으로 사상 유례없는 막대한 홍수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천댐", "장현, 동막저수지" 붕괴 등 댐 붕괴로 인하여 댐 하류지역의 홍수피해가 크게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처계획 수립 필요성 및 이를 위한 댐 붕괴로 인한 홍수류 해석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대처계획(Emergency Action Plan, EAP)수립 대상 국가시설물 중 하나인 양양양수발전소 하부댐에 대한 댐 붕괴 해석을 실시하였다. DAMBRK를 통하여 댐 지점의 붕괴유출수문곡선을 산정하였으며, 댐 하류하천 수위분석은 1차원 DAMBRK와 HEC-RAS모형을 이용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댐붕괴로 인한 하류하천 홍수류 해석시 HEC-RAS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HEC-RAS모형 계산치가 DAMBRK 모형에 의한 결과 보다 과대하게 산정 되었다. 향후 댐 붕괴로 인한 홍수류 해석을 위한 HEC-RAS모형 모의시 주변지형의 홍수터화 등의 기법을 첨가하여 홍수위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Inhibition Effect of Triptolide on Human Endometrial Carcinoma Cell Line HEC-1B: a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 Ni, Jing;Wu, Qiang;Sun, Zhi-Hua;Zhong, Jian;Cai, Yu;Huang, Xin-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1호
    • /
    • pp.4571-4576
    • /
    • 2015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riptolide on cultured human endometrial carcinoma HEC-1B cells and corresponding xenograft. Materials and Methods: For in vitro studies, the inhibition effect of proliferation on HEC-1B cell by triptolide was determined by MTT assay; cell cycle and apoptosis of the triptolide-treated and untreated cells were detected by flow cytometry. For in vivo studies, a xenograft tumor model of human endometrial carcinoma was established using HEC-1B cells, then the tumor-bearing mice were treated with high, medium, and low-dose ($8{\mu}g$, $4{\mu}g$ and $2{\mu}g/day$) triptolide or cisplatin at $40{\mu}g/day$ or normal saline as control. The mice were treated for 10-15 days, during which body weight of the mice and volume of the xenograft were weighted. Then expression of Bcl-2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as analyzed by SABC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Cell growt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riptolide as observed by an inverted phase contrast microscope; the results of MTT assay indicated that triptolide inhibits HEC-1B cell proliferation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flow cytometry showed that low concentration (5 ng/ml) of triptolide induces cell cycle arrest of HEC-1B cells mainly at S phase, while higher concentration (40 or 80 ng/ml) induced cell cycle arrest of HEC-1B cells mainly at G2/M phase, and apoptosis of the cells was also induced. High-dose triptolide showed a similar tumor-inhibitory effect as cisplatin (-50%); high-dose triptolide significantly inhibited Bcl-2 and VEGF expression in the xenograft model compared to normal saline control (P<0.05). Conclusions: triptolide inhibits HEC-1B cell growth both in vitro and in mouse xenograft model. Cell cycle of the tumor cells was arrested at S and G2/M phase, and the mechanism may involve induction of tumor cell apoptosis and inhibition of tumor angiogenesis.

침수취약지역 추정과 주민들의 대피경로 분석 (Flooding Area Estimation and Evacuation Path Analysis)

  • 박종덕;최진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1
  • 최근 도시지역은 국지성 호우로 인한 범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중량천 수계에 대한 홍수범람모의를 수행하였다. 분석은 1m 간격의 LiDAR 자료를 기반으로, 하천 정보를 위해 HEC-GeoRAS를 이용하여 Geometry 자료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홍수에 대한 가상시나리오를 홍수량이 100년 빈도일 경우 200년 빈도일 경우, PMF일 경우로 작성하여 침수 취약지역을 분석하였고, 이를 구역화하고 대피소까지의 대피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가 밀집된 시가화 지역의 면적 비율이 범람지역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홍수 시 상당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예상되었다. 범람지역에서 대피소까지의 최단거리 대피경로는 평균거리 1,000m로 대피 경보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도식지역의 홍수대피 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ModClark 모형을 이용한 유출 해석 (Runoff Analysis using ModClark Model)

  • 안상진;윤석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245-25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격자로 분할된 유역에 ModClark 모형을 적용하여 수문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고 격자분할에 따른 유출변화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유역은 IHP (국제수문개발계획)의 대표유역의 하나인 금강수계의 보청천 유역으로 하였다. 유역의 수문지형정보들은 HEC-GeoHMS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ModClark 모형은 격자형태의 강우자료를 요구하며 이 자료들은 HEC-DSS 파일 형태로 기록되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크리깅 방법을 이용하여 지점우량을 전체유역에 대한 격자 강우를 생성하였으며, Hec-DSSVu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우 입력자료를 DSS 파일로 생성하였다. 격자 크기 10000m, 5000m, 2000m 및 1000m에 대한 3가지 유출사상에 대해 모의하였으며, 모의 결과 첨두 홍수량, 유출체적, 첨두홍수 도달시간에 대해 실측수문곡선과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천정비기본계획 CAD 형식 단면측량자료 자동 추출 및 하천공간 데이터베이스 업로딩과 HEC-RAS 지원을 위한 RAUT 툴 개발 (RAUT: An End-to-End Tool for Automated Parsing and Uploading River Cross-sectional Survey in AutoCAD format to River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HEC-RAS Operation)

  • 김경동;유호준;김동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75-75
    • /
    • 2020
  • 하천법에 의거하여 국내 하천들에는 상당한 국가예산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이 5-10년 주기로 수립되고 있으며, 홍수위 계산을 위한 HEC-RAS 모의에 필요한 하천단면 등 다양한 하천측량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하천측량자료들은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에 pdf 보고서 형태로만 제공되고, 원자료는 CAD 형식으로 하천정비계획을 수행한 설계사 등이 분산 소유하고 있어 관리부재로 망실의 우려도 있어, 다른 용도로의 활용성이 상당히 저하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측량된 CAD 형식의 단면자료 등을 HEC-RAS에 활용할 때, 'Dream'과 같은 툴을 활용하나 거의 수작업에 가까운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현실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툴인 RAUT(River information Auto Upload Tool)를 개발하였다., RAUT 툴은 첫째, 실무에서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활용되는 HEC-RAS 1차원 모형의 입력자료를 CAD 측량자료를 직접수기로 입력 및 모의를 실시하는 복잡한 단계를 자동화시키고자 하였다. 둘째, 하천공간정보인 CAD측량 자료를 직접 읽어 표준 데이터 모델 (Arc River)기반 하천공간정보 DB에 자동 업도드하여 전국단위의 하천정비계획의 하천측량자료 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만약 RIMGIS가 RAUT와 같은 툴을 사용하면 하천단면과 같은 전국단위 하천측량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이다. 개발한 RAUT는 제주도 한천유역을 대상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의 하천공간정보 CAD자료를 읽어들여 mySQL기반 공간 DB로 구축하고, 구축된 DB로부터 HEC-RAS 1차원 모의 실시하기 위한 지형자료를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과정을 시범적으로 구현하였다.

  • PDF

GIS 기반 농경지 침수모의시스템의 구축 및 적용 (Applications of a GIS-based Paddy Inundation Simulation System)

  • 김상민;박종민;박승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107-116
    • /
    • 2004
  • A GIS-based paddy inundation simulation system which is capable of simulating temporal and spatial inundation processes was established and applied in this paper. The system is composed of HEC-GeoHMS, and HEC-GeoRAS modules which interface the GIS and flood runoff models, and HEC-HMS, and HEC-RAS models which estimate the flood runoff. It was used to simulate storm runoff and inundation for a small rural watershed, the Baran HP#7, which is 10.69 $km^2$ in size. The simulated peak runoff, time to peak, and total direct runoff for eight storm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for the observed peak runoff was 0.99 and an error, RMSE, 11.862 $m^3$/s for calibration stages. In the model verification, $R^2$ was 0.99 and RMSE 1.296 $m^3$/s. Paddy inundation for each paddy growing stages in study watershed were estimated using verified inundation simulation system when probability rainfall was applied.

구리 전해도금 시 표면형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HEC효과 (The Effect of Hydroxy Ethyl Cellulose(HEC) on the Surface Morpholog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s of Copper Electrodeposition)

  • 우태규;박일송;이현우;설경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6권11호
    • /
    • pp.710-71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dditives and composition on copper surface morpholog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by copper electrodeposition. Additives such as hydroxy ethyl cellulose(HEC), chloride ion were used in this study. Electrochemical experiments allied to SEM, XRD, AFM and four- point probe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morphology and mechanical characters of copper in the presence of additives. Among various electrodeposition conditions, the minimum surface roughness of copper foil was obtained when electrodeposited at the current density of 200 mA/$cm^2$ for 68 seconds with 2 ppm of HEC. The minimum value of surface roughness(Rms) was 107.6 nm. It is copper foil is good for electromigration inhibition due to preferential crystal growth of Cu (111) deposited in the electrolyte containing chloride ions(10 ppm) and HEC(1 ppm).

2차원 수리모형을 활용한 금강 유역 침수 모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lood Immersion in the Geum River Basin Using 2D Hydraulic Model)

  • 박승주;장석환;조준원;신재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9-389
    • /
    • 2020
  •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게릴라성 호우 및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는 농경지의 범람, 도심지역 저지대의 침수피해 유발, 하천 주변 저지대 및 수공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HEC-RAS 5.0.3을 활용하여 금강 유역의 2차원 침수 모의를 수행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은 금강 수계 하천기본계획 보고서의 하천 횡단면도와 평면도를 활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강우자료는 인근 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를 수집하였다. HEC-HMS를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유출량을 HEC-RAS에 입력하여 수위를 계산하고 2차원 모의기능을 이용하여 침수해석을 수행하였다. HEC-RAS의 2차원 침수 모의 기능은 기존 1차원 하천 수위 모의와의 연계하여 하천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침수 해석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고, 본 연구의 결과는 침수 모의 적용성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HEC-RAS/GIS를 이용한 홍수 범람지역 분석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Area using HEC-RAS/GIS)

  • 안승섭;이증석;김종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26
    • /
    • 200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struct a forecast system of flood inundation area at natural stream channels. The study built the system to interpret the flood inundation area in four stages ; constructing topography data around the stream channel, interpreting flood discharge, interpreting flood elevation in the stream channel, and interpreting the flood inundation and mapp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as for the characteristic of flood inundation around the area within the purview of this study, although there were areas where flood inundation over a bank caused a flooded area, the failure of the internal drainage in the ground lower than flood elevation caused more serious problems. Rather than the existing method where only the estimated flood elevation data is used based on the hydrographical stream channel trace model(such as the HEC-RAS model) to establish the flood inundation area, if the procedure introduc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interpret the floodplain, actual flood inundation area could be visibly confi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