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DM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5초

Profiling of remote skeletal muscle gene changes resulting from stimulation of atopic dermatitis disease in NC/Nga mouse model

  • Lee, Donghee;Seo, Yelim;Kim, Young-Won;Kim, Seongtae;Choi, Jeongyoon;Moon, Sung-Hee;Bae, Hyemi;Kim, Hui-sok;Kim, Hangyeol;Kim, Jae-Hyun;Kim, Tae-Young;Kim, Eunho;Yim, Suemin;Lim, Inja;Bang, Hyoweon;Kim, Jung-Ha;Ko, Jae-H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5호
    • /
    • pp.367-379
    • /
    • 2019
  • Although atopic dermatitis (AD) is known to be a representative skin disorder, it also affects the systemic immune response. In a recent study, myoblasts were shown to be involved in the immune regulation, but the roles of muscle cells in AD are poorly understood. We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itochondria and atopy by genome-wide analysis of skeletal muscles in mice. We induced AD-like symptoms using house dust mite (HDM) extract in NC/Nga mice. The transcriptional profiles of the untreated group and HDM-induced AD-like group were analyzed and compared using microarra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and functional pathway analyses, and protein interaction network construction. Our microarray analysis demonstrated that immune response-, calcium handling-, and mitochondrial metabolism-related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the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and Gene Ontology pathway analyses, immune response pathways involved in cytokine interaction, nuclear factor-kappa B, and T-cell receptor signaling, calcium handling pathways, and mitochondria metabolism pathways involved in the citrate cycle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protein interaction network analysis, chemokine family-, muscle contraction process-, and immune response-related genes were identified as hub genes with many interactions. In addition, mitochondrial pathways involved in calcium signaling, cardiac muscle contraction, tricarboxylic acid cycle, oxidation-reduction process, and calcium-mediated signaling were significantly stimulated in KEGG and Gene Ontology analyses. Our results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genome-wide transcriptional changes of HDM-induced AD-like symptoms and the indicated genes that could be used as AD clinical biomarkers.

탄소량을 고려한 도로 유지보수 경제성에 관한 연구: KPRP (Korea Pavement Research Program) 활용 (A Study on Economic Feasibility of Highway Maintenance Considering Carbon Amount by Using KPRP (Korea Pavement Research Program))

  • 응웬띤탄;최재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879-890
    • /
    • 2017
  • 기존 미국의 포장 설계법(AASHTO)과 대표적인 도로포장 유지보수 의사결정시스템인 HDM-4는 국내 실정 또는 환경에 적합하지 않아 현실적인 도로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차원에서 국내에 적합하지 않다. 포장 수명 연장에 따른 환경비용에서도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대한민국의 환경조건과 차종별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도로포장 설계법(KPRP) 설계 소프트웨어의 도로 공용성 해석 모델을 기반으로 활용하여 운영 및 유지보수단계에서 대표적인 세 가지 유지보수전략별 LCCC 계산을 통해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40년 동안의 누적 탄소배출량은 대안 2의 절삭 및 덧씌우기가 누적 탄소배출량과 LCCC의 현재가치비용이 제일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도로관리 유지보수 공사별 $CO_2$배출 원단위 구축이 가능하며 향후 탄소요금의 증가에 따른 도로시설별 다양한 유지관리 전략 마련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양혈윤부탕(養血潤膚湯)의 면역(免疫) 조절작용(調節作用)을 통한 항알러지 효능(效能) (Inhibitory Effects of Yanghyelyoonbutang (YHYBT) on Allergic Reac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Various Cell Lines)

  • 이경미;구영선;김동희
    • 혜화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34
    • /
    • 2006
  • This study saw the anti-allergy effect by the immunity regulation action of Yanghyelyoonbotang (YHYBT) consists 12 kinds of herbal medicine agents. Consequently, YHYBT controlled the amount of secretion of various infla- mmatory cytokines, chemokin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and histamine from cells (HMC-1, THP-1, EoL-1) stimulated by PMA, A23187 or HDM. 1. YHYBT did not show cytotoxicity on cultured human fibroblast cells under 250 ${\mu}g/m\ell$ concentration. 2. YHYBT suppressed IL-8, TNF-$\alpha$, IL-6 mRNA expression in the HMC-1 cell stimulated with PMA and A23187. 3. YHYBT significantly suppressed IL-6 release in the THP-1 and EoL-1 cell stimulated with HDM. 4. YHYBT significantly suppressed histamine release in the HMC-1 cell stimulated with PMA and A23187 in a dose-dependent. 5. YHYBT significantly suppressed $\beta$-Hexosaminidase release in the HMC-1 cell stimulated with A23187 in a dose-dependent. 6. YHYBT suppressed NF-$\kappa$B gene expression in the RBL-2H3 cell stimulated with PMA in a dose-depend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YHYBT has suppressive effects on allergic reac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various cell lines through the regulation of immune system. YHYBT has potential to use as an antiallergic agents.

  • PDF

이온넨 단위를 가지는 광경화성 반응성 올리고머를 이용한 내수성 습도센서의 제조 및 감습 특성 (Preparation of Water-Resistant Humidity Sensor Using Photocurable Reactive Oligomers Containing Ionene Unit and Their Properties)

  • 전영민;공명선
    • 폴리머
    • /
    • 제33권1호
    • /
    • pp.19-25
    • /
    • 2009
  • 내수성 감습막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온넨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반응성 올리고머(PIDM)로부터 새로운 종류의 전해질 고분자를 제조하였다. PIDM, hexamethylene dimethacrylate(HDM), pentaerythritol triacrylate dimer(SP1013) 및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전극에 광개시 라디칼 중합과 동시에 도포하였다. 또한, 센서의 내수성 그리고 고온/고습에서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전극 기판에 비닐기를 가지는 실란 카플링제를 사용하여 전처리 하였다. 가교화된 이온넨으로 이루어진 습도센서의 상대습도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였을 때, 저항은 20%$\sim$90%RH 상대습도 영역에서 $10^3$의 값이 변화하였으며 이것은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데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다. 그 밖에 온도의존성, 히스테리시스 응답 및 회복속도, 내수성 그리고 고온/고습에서 장기 안정성을 측정하여 습도센서로서 특성을 평가하였다.

Decreased CRTH2 Expression and Response to Allergen Re-stimulation on Innate Lymphoid Cells in Patients With Allergen-Specific Immunotherapy

  • Mitthamsiri, Wat;Pradubpongsa, Panitan;Sangasapaviliya, Atik;Boonpiyathad, Tadech
    •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662-674
    • /
    • 2018
  • Purpose: Group 2 innate lymphoid cells (ILC2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allergic disease. However, the effect of allergen-specific immunotherapy (AIT) on ILCs remains to be clarifi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s of ILC subsets in allergic rhinitis (AR) patients in response to house dust mite (HDM)-specific immunotherapy. Methods: We enrolled 37 AR patients undergoing AIT (16 responders and 11 non-responders) for 2 years, 35 HDM AR patients and 28 healthy subjects.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were analyzed by flow cytometry to identify ILC subsets. Stimulation of ILC2s with recombinant allergen-specific protein was used to determine ILC2's activation (CD69 expression). Results: Responder AIT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had a decreased frequency of circulating ILC2s compared to non-responder AIT and AR patients. Conversely, ILC1s from responder AIT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showed increased frequency compared to non-responder AIT and AR patients. The frequency of ILC3s natural cytotoxicity receptor $(NCR)^+$ and $NCR^-$ in responder AIT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AR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The ILC1: ILC2 proportion in responder AIT patients was similar to that of healthy subjects. PBMCs from patients who were responders to AIT had a significantly lower expression of the activation marker CD69 on ILC2s in response to allergen re-stimulation compared to AR patients, but no difference compared to non-responder AIT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Conclusions: We propose that AIT might affect ILC responses. The activation of ILC2s was reduced in AR patients treated with AIT. Our results indicate that a relative ILC1/ILC2 skewed response is a possible key to successful AIT.

개수로에서 이차원 모델의 이차류 유속분포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ransverse Flow Profile to Two Dimensional Models in Open Channels)

  • 서일원;신재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68-68
    • /
    • 2016
  • 하천의 사행 및 합류 형상은 복잡한 나선 흐름을 발생시킨다. 그 중 이차류는 사행에 의한 편수위 형성과 횡단 압력의 불균형, 그리고 수심에 따라서 변화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흐름은 주로 3차원 모형으로 재현할 수 있으며 이에 관련된 연구는 계속 이루어졌으나 3차원 모형의 구성과 사용에는 상당한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차류의 영향을 수심적분된 2차원 모형으로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이차류 연직 분포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확인하고, 이러한 연직 분포를 표현할 수 있는 경험식을 3차원 모형인 FLOW3D를 통해 모의하고 개발하였다. 3차원 모형을 다양한 사행반경을 갖는 실험 사행수로에 적용하여 사행도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고 경험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식은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인 RAMS(River Analysis and Modeling System)에 적용되었다. RAMS는 수심 적분된 2차원 천수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는 수리해석모형인 HDM-2D를 해석엔진으로 사용하며, 이차류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개발한 수직분포 경험식을 분산 응력항 형태로 적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확인을 위하여 사행 실험수로 및 합류수로에 모의를 수행하였다. 사행수로 및 합류수로는 실험 경계조건과 동일한 상류 입력 유량과 하류 경계조건을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사행수로 모의 결과 유속분포의 거동이 실험수로의 사행으로 인하여 2차류 효과로 주 흐름이 바깥쪽으로 기울어짐을 일부 재현하였다. 합류수로의 경우 기존 모형에 비하여 분산 응력항이 포함된 본 모형이 실측값에 근접하였는데 이는 이차류가 발생하는 영향으로 하류에 유속편차가 줄어드는 영향을 더 정확히 묘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잔사유의 수소화처리 촉매공정에 대한 화학적 고찰 (The Chemical Aspects on Hydrotreating Catalysis for Residue)

  • 전민석;이영진;정회경;김현종;윤성호;김태곤;박주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455-460
    • /
    • 2019
  • 수소화 처리 촉매공정은 정유공정에서 다양한 유분 내 황, 질소, 산소 및 미량 금속성분들의 헤테로 원자를 제거함과 동시에 불포화 탄화수소의 포화를 목적으로 진행되는 수소화공정이다. 대부분의 정유 공정은 납사, 중간유분, 가스오일을 포함하여 중질 잔사유의 업그레이드용 수소화 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언급된 유종 중, 잔사유의 수소화 처리 촉매공정은 원료자체의 복잡성으로 인해 정유공정의 핵심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만큼 기타 유종에 대한 업그레이드 공정 대비 상당히 비중 있게 다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총설은 수소화 처리에 의한 잔사유의 업그레이드 공정 중, 중요한 이슈의 최근 동향을 수첨탈금속 (Hydrodemetallization, HDM) 및 수첨탈황(Hydrodesulfurization, HDS) 공정에 대해 화학적 관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더불어, 수소화 처리용 촉매의 기능과 조성은 물론, 개선방향도 살펴보았다.

Variations in Neural Correlates of Human Decision Making - a Case of Book Recommender Systems

  • Naveen Z. Quazilbash;Zaheeruddin Asif;Saman Rizv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3호
    • /
    • pp.775-793
    • /
    • 2023
  • Human decision-making is a complex behavior. A replication of human decision making offers a potential to enhance the capacity of intelligent systems by providing additional user assistance in decision making. By reducing the effort and task complexity on behalf of the user, such replication would improve the overall user experience, and affect the degree of intelligence exhibited by the system. This paper explores individuals' decision-making processes when using recommender systems, and its related outcomes. In this study, human decision-making (HDM) refers to the selection of an item from a given set of options that are shown as recommendations to a user. The goal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IS constructs that contribute towards such decision-making, thereby contributing towards creating a mental model of HDM. This was achieved through recording Electroencephalographic (EEG) readings of subjects while they performed a decision-making activity. Readings from 16 righthanded healthy avid readers reflect that reward, theory of mind, risk, calculation, task intention, emotion, sense of touch, ambiguity and decision making are the primary constructs that users employ while deciding from a given set of recommendations in an online bookstore. In all 10 distinct brain areas were identified. These brain areas that lead to their respective constructs were found to be cingulate gyrus, precentral gyrus, inferior parietal lobule, posterior cingulate, medial frontal gyrus, anterior cingulate, postcentral gyrus, superior frontal gyrus, inferior frontal gyrus, and middle frontal gyrus (also referred to as dorsolateral prefrontal gyrus (DLPFC)). The identified constructs would help in developing a design theory for enhancing user assistanc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recommender systems.

동수역학 모델을 이용한 굴착공사 현장 침수 양상 해석 (Analysis of Inundation Pattern of Excavation Site Using Hydrodynamic Model)

  • 유동현;이가영;심예진;송창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0-300
    • /
    • 2020
  • 최근 전체 산업재해율은 계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건설업의 재해율은 증가하는 추세를 내타내고 있다. 이러한 건설업 공종별 재해유형은 임시구조물과 관련된 가설공, 굴착공, 철근콘크리트공의 재해율이 타 공종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이는 공종 진행에 따라 변화되는 건설현장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인지하여 제어·관리할 수 있는 사고예측 기술 및 대응 기술의 부재로 안전사고가 높게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건설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재해 상황에 대하여 공사별, 규모별, 공정별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굴착공사 중 침수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긴급대응 방안을 확보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공사 현장 재해 상황 중 침수는 태풍 또는 집중호우 시 공사구간이 침수되어 근로자 수몰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절토면이 붕괴되는 등 2차적인 피해로 이어진다. 이러한 침수의 원인은 공사 현장의 저지대 위치, 집중호우 시 최대 강우량에 대한 대비 소홀, 양수기 부족 및 고장, 인접 배수로 배수기능 불량 등의 복합적인 원인들로 인하여 발생한다. 또한 굴착공사 현장의 침수는 공사기간 동안 개별 공종에 따라 침수발생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 공종별 발생 가능한 침수 양상에 대한 예방/대응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HDM-2D 수리 동역학 모델은 2차원 흐름해석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하천지형이나 공사현장과 같은 불연속면에서 유속 및 수심 등을 계산한다. 또한 마름/젖음 현상 등 복잡한 수리현상에 대한 정교한 모의 기능 및 침수해석 등 어떠한 계산영역이나 흐름조건에서도 정확하고 안정적인 모의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현장과 같은 불연속면에서 각 공종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침수양상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고 각 공종별 침수양상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서 굴착공사 현장 침수피해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개발된 기술을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 증가와 이에 따른 수재해로 인한 건설현장 침수 발생 및 인명,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 PDF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LDM 기반 도로·교통정보 활성화 구간 변화에 따른 정보 이용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Road and Traffic Information Use Efficiency on Changes in LDM-based Electronic Horizon through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 김회경;정연식;박재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2호
    • /
    • pp.231-238
    • /
    • 2023
  •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들이 인지할 수 있는 공간적 영역은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을 위해 LDM (Local Dynamic Map)과 같은 디지털 도로·교통정보의 보완적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비록 자율주행 차량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량에 비해 이러한 도로·교통정보의 양은 상대적으로 미미할 수 있지만, 자율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 AV)의 효율적 정보처리를 위해 도로·교통 정보의 효율적 관리는 불가피하다. 본 연구는 LDM 기반 정적 도로·교통정보의 활성화 구간(electronic horizon 혹은 e-horizon)의 확장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정보 이용과 정보처리 시간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델인 VISSIM과 VISSIMCOM을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이질적 교통류(연속류, 단속류)는 물론 다양한 도로 기하구조가 포함된 부산광역시 주요 구들을 포함한 약 9 km × 13 km 영역을 선정하였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에서 활용되는 LDM 정보는 ISO 22726-1 기반으로 구축된 자율주행 전용 정밀 지도(High-definition Map, HDM)를 참고하였다. 분석 결과, e-horizon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단속류 도로에서 짧은 링크들이 집중적으로 인식되고 링크 길이의 합이 증가하는 반면, 연속류 도로에서는 인식되는 링크의 개수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소수의 긴 링크들이 인식됨에 따라 링크 길이의 합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속의 단속류 도로에서는 12개 링크를 기준으로, 그리고 고속의 연속류 도로에서는 링크 길이의 합 10 km를 기준으로 HDM 데이터의 수집, 가공, 처리를 위한 e-horizon의 영역은 각각 600 m와 700 m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