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CT-116 세포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2초

재배 방식에 따른 고추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변화 (Changes in Selecte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s Depending on Cultivation)

  • 윤재민;지재준;임상철;이경희;김흥태;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31-7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재배 방식(비가림과 노지재배)에 따른 대표적인 고추 11개 품종 간의 일부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능성 성분은 capsaicinoids, polyphenol 및 vitamin C를 분석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ABTS radical 제거능, 환원력, 금속이온 제거능을 이용해 평가하였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능은 유방암, 대장암 및 폐암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노지 재배한 11개 품종의 capsaicin, dihydrocapsaicin, polyphenolics 및 vitamin C 함량은 각각 0.0~268.3 mg/100 g, 0~55.1 mg/100 g, 635~878 mg/100 g 및 4.1~8.2 mg/g으로 품종 간 차이를 보였으나 재배방식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기능성 성분 결과와 비슷하게, 품종에 따른 활성의 차이는 있었으나 재배 방식 간 활성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재배 방식과 고추 품종에 대한 일부 기능성 성분과 활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 간암 세포주인 HepG2에 대한 인진호탕(茵陳蒿湯)의 항암 효과 (Herbal medicine In-Jin-Ho-Tang as a potential anti-cancer drug by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hepatoma HepG2 cells.)

  • 윤현정;김병완;이창현;정재하;허숙경;박원환;박선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37
    • /
    • 2007
  • Objectives: Hepatocellular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tumor of the liver worldwide. In-Jin-Ho-Tang(IJH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since ancient time. and today it is widely applied as a medication for jaundice which i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in liver.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whether methanol extract of IJHT induced HepG2 cancer cell death. Methods: Cytotoxic activity of IJHT on HepG2 cells was using XTT assay. Apoptosis induction by Ros A in HCT116 cells was verified by the induction of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activation of caspase-3, -8 and -9. The release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to cytosol. the level of Bcl-2 and Bax and the expression of p53 and p21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Furthermore, MAPKs activation was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IJHT induced apoptosis in HepG2 cells. And treatment of IJHT resulted in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sol, decreased anti-apoptotic Bcl-2, and increased pri-apoptotic Bax expression. IJHT markedly inactiv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1/2), and activated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 Sodium orthovanadate (SOV), a phosphatase inhibitor, to reverse IJHT-induced ERK1/2 inactivation and SB203580, a specific p38 MAP Kinase inhibitor efficiently blocked apoptosis of HepG2. Thus, IJHT induces apoptosis in HepG2 cells via MAP kinase modul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JHT has some potential for use as an anti-cancer agent.

  • PDF

대장암 세포가 이식된 동물모델에서 사리장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 (Anti-cancer effect of Sarijang on colorectal cancer cells in a xenograft nude mouse model)

  • 이태희;송현경;김동윤;이이삭;서형호;최지영;김홍근;최은아;한범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51-456
    • /
    • 2018
  • 본 연구는 사람유래 대장암세포가 이식된 동물모델을 사용하여 사리장의 항암효과를 확인하기 이하여 수행하였다. 사리장은 죽염과 서목태, 마늘과 유근피를 혼합 추출한 물질로써 아이소플라본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염, 항산화 등의 효능이 보고된 물질이다. 이러한 사리장을 종양이 이식된 동물모델에 4주간 투여하면서 종양 크기의 변화, 종양 성장인자의 변화와 사리장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사리장은 종양의 크기를 감소시켰으며, 종양 성장과 관련된 ERK와 p16의 발현량을 조절함으로써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사리장을 투여한 시험군에서는 체중, 장기무게, 혈청생화학적검사와 조직학적 검사에서 독성으로 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리장이 장기복용이 가능한 항암 보조식품의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유자씨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Citron Seed Extracts on Cancer Cells)

  • 이윤정;황인국;정은미;김현영;박의석;우관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72-1678
    • /
    • 2009
  • 유자씨 종피와 배유부분에 대한 n-hexane 및 ethanol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ACE 저해활성,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및 항암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활성은 종피 nhexane 추출물(CSH1), 배유 n-hexane 추출물(CSH2), 종피 70% ethanol 추출물(CSE1) 및 배유 70% ethanol 추출물(CSE2) 가운데 CSE1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SE1의 용매분획물 가운데 ethylacetate 층이 2 mg/mL의 농도에서 라디칼소거능이 73.81% 그리고 총항산화력이 56.64 mg AA eq/g으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CE 저해활성과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도 CSE1이 각각 31.63% 및 45.1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유방암, 간암, 폐암, 대장암 및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는 모든 암세포에 대하여 5mg/mL의 농도에서 종피 ethanol 추출물(CSE1)이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보였다.

인간 대장암 세포에 대한 먹넌출 추출물의 GSK3β 의존성 threonine-286 인산화를 통한 Cyclin D1 분해 (Berchemia floribunda-mediated Proteasomal Degradation of CyclinD1 via GKS3β-dependent Threonine-286 Phosphorylat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강연경;어현지;김다솜;박영기;송정호;박광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1-278
    • /
    • 2020
  • 이상의 연구 결과로 먹넌출 열매 추출물은 GSK3β 의존성 Cyclin D1 단백질의 분해를 통해 대장암세포의 생육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결과는 대장암의 항암제 개발을 위한 소재로 먹넌출 열매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련(Magnolia denudata Desr.)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agnolia denudata Desr. Flower Extracts)

  • 노진우;황인국;정은미;김현영;장성준;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478-1484
    • /
    • 2009
  • 목련 꽃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항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련꽃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6.14 및 86.93 mg/g이었고,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값은 0.232 mg/mL이었으며,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IC_{50}$: 0.197 mg/mL, AEAC: 0.90 mg AA eq/100 mg). 또한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은 대장암, 폐암 그리고 간암세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유도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효과를 보였다($IC_{50}$: 49.5 $\mu$g/mL).

LncRNA H19/miR-29b-3p/PGRN Axis Promote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of Colorectal Cancer Cells by Acting on Wnt Signaling

  • Ding, Dayong;Li, Changfeng;Zhao, Tiancheng;Li, Dandan;Yang, Lei;Zhang, B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5호
    • /
    • pp.423-435
    • /
    • 2018
  •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at working out the combined role of lncRNA H19, miR-29b and Wnt signaling in the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CRC). In the aggregate, 185 CRC tissues and corresponding para-carcinoma tissues were gathered. The human CRC cell lines (i.e. HT29, HCT116, SW480 and SW620) and normal colorectal mucosa cell line (NCM460) were also purchased. Si-H19, si-NC, miR-29b-3p mimics, miR-29b-3p inhibitor, si-PGRN and negative control (NC) were, respectively, transfected into the CRC cells. Luciferase reporter plasmids were prepared to evaluate the transduction activity of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and dual-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was arranged to confirm the targeted relationship between H19 and miR-29b-3p, as well as between miR-29b-3p and PGRN. Finally, the proliferative and invasive capacities of CRC cells were appraised through transwell, MTT and scratch assays. As a result, overexpressed H19 and down-expressed miR-29b-3p displayed close associations with the CRC patients' poor prognosis (P < 0.05). Besides, transfection with si-H19, miR-29b-3p mimic or si-PGRN were correlated with elevated E-cadherin expression, decreased snail and vimentin expressions, as well as less-motivated cell proliferation and cell metastasis (P < 0.05). Moreover, H19 was verified to directly target miR-29b-3p based on the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P < 0.05), and miR-29b-3p also bound to PGRN in a direct manner (P < 0.05). Finally, addition of LiCl ($Wnt/{\beta}-catenin$ pathway activator) or XAV93920 ($Wnt/{\beta}-catenin$ pathway inhibitor) would cause remarkably altered E-cadherin, c-Myc, vimentin and snail expressions, as well as significantly changed transcriptional activity of ${\beta}-catenin/Tcf$ reporter plasmid (P < 0.05). In conclusion, the lncRNA H19/miR-29b-3p/PGRN/Wnt axis counted a great deal for seeking appropriate diagnostic biomarkers and treatment targets for C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