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CHO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37초

EOF와 SVD을 이용한 아프리카 지역에서 관측된 OMI HCHO 자료의 검증 (Validation of OMI HCHO with EOF and SVD over Tropical Africa)

  • 김재환;백강현;김소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7-430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NASA에서 제공되는 operational OMI HCHO 관측 값에서 에러를 발견하여, 월평균 HCHO 자료의 시계열에 4 차 다항식을 피팅함으로써 구한 배경 모수화(parameterization)값을 이용하여 OMI HCHO 자료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보정후의 OMI HCHO는 동태평양과 서태평양 지역에서 -1.48%, 0.65%/year 경향성을 보였으며 이 수치는 GOME(-0.99%, 1.1%/year)과 SCAIMACHY(-0.92%, 0.03%/year)의 경향성과 유사한 결과이며 적절하게 비정상적인 배경 HCHO 농도의 증가가 제거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자료의 검증과 분석은 EOF와 SVD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아프리카 지역에서 다양한 위성 관측 값과의 (HCHO, CO, $NO_2$ 그리고 firecount) 시공간 변동성의 일치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아프리카에서 MOPITT CO, OMI $NO_2$, SCIAMAHCY 그리고 OMI HCHO의 EOF와 SVD 분석 결과는 생태계화재(biomass burning)의 시공간 변동성 분포와 매우 높은 일치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OMI HCHO 관측 값은 화재가 가장 강하게 발생하는 지역의 풍하측에서 최대 값이 보이며, 화재 발생이 가장 높은 1월에 다소 낮은 HCHO 값이 보이는 등 시공간적으로 생태계 화제 분포와 차이를 보인다. 이것의 원인으로 우리는 이 지역의 열대우림의 식물활동(biogenic activity)영향으로는 설명할 수 없고, biomass burning 에어로졸에 의한 잘못된 AMF 계산이 OMI HCHO 산출에 사용됨으로써 발생한 오차라는 것을 밝혔다. AMF와 관련된 오차가 적절하게 보정된다면, 아프리카 지역의 HCHO 시공간 변동성은 생태계 화제의 변동성을 따를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계적 기법이 위성 자료를 평가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방법임을 제안한다.

Estimation of HCHO Column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ethod with OMI and MODIS Data

  • Hong, Hyunkee;Yang, Jiwon;Kang, Hyeongwoo;Kim, Daewon;Lee, Hanlim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03-516
    • /
    • 2019
  • We have estimated the vertical column density (VCD) of formaldehyde (HCHO) on a global scale us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MRM) with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and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data. HCHO VCDs were estimated in regions of biogenic, pyrogenic, and anthropogenic emissions using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NO_2$ VCD,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an enhanced vegetation index (EVI), and the mean fire radiative power (MFRP), which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HCHO. To evaluate the HCHO estimates obtained using the MRM, we compared estimates of HCHO VCD data measured by OMI ($HCHO_{OMI}$) with those estimated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MRE) ($HCHO_{MRE}$). Good MRM performances were found, having the average statistical values (R = 0.91, slope = 1.03, mean bias = $-0.12{\times}10^{15}molecules\;cm^{-2}$, percent difference = 11.27%) between $HCHO_{MRE}$ and $HCHO_{OMI}$ in our study regions where high HCHO levels are present.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RM can be a useful tool for estimating atmospheric HCHO levels.

폼알데하이드 흡착능에 대한 커피부산물의 열처리 조건 영향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of Coffee Waste on The Adsorptivity of Formaldehyde)

  • 안세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90-399
    • /
    • 2015
  • 본 연구는 커피부산물(이하 CW)의 재자원화 방안으로 여러 조건에서 열처리한 CW를 폼알데하이드(이하 HCHO)와 함께 데시케이터에 방치한 후, CW에 흡착된 HCHO 양을 아세틸아세톤법과 dinitrophenylhydrazine (이하 DNPH)법으로 측정 및 비교하여 섬유판 제조에 있어 흡착제로서 CW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데시케이터 내의 증류수에 흡착된 HCHO 양을 아세틸아세톤법으로 측정한 결과 열처리하지 않은 CW에서 가장 낮았고 $100^{\circ}C$의 열처리 온도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1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CW에 직접 흡착된 HCHO양은 $100^{\circ}C$에서 열처리한 CW에서 가장 높았으며, $50^{\circ}C$, $150^{\circ}C$, $0^{\circ}C$, $250^{\circ}C$ 그리고 $200^{\circ}C$ 순으로 측정되었다. DNPH법으로 측정한 CW의 HCHO 흡착능 결과는 데시케이터 내에 HCHO와 함께 방치시킨 무열처리 CW의 증류수에 교반시킨 용액에서는 HCHO가 검출되지 않은 반면, 열처리 CW 교반액에서는 일정량의 HCHO가 검출되었다. 그 검출량은 $10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시킨 CW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HCHO가 흡착된 CW 자체의 HCHO 양은 열처리 시간과 상관없이 $100^{\circ}C$의 열처리 온도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열처리 온도에서는 HCHO 검출량의 증가폭이 줄거나 검출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최대 HCHO 흡착을 위한 CW의 열처리 조건으로 기술적 그리고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100{\sim}1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10분으로 판단되며, 이 열처리 CW를 섬유판 제조에 있어 흡착제로 일정량 첨가한다면 기존 섬유판의 HCHO 방산량을 낮출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환경 위성관측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한 동아시아 대기오염특성 연구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Over Asia with Satellite-derived $NO_2$ and HCHO using Statistical Methods)

  • 백강현;김재환
    • 대기
    • /
    • 제20권4호
    • /
    • pp.495-503
    • /
    • 2010
  • Satellite data have an intrinsic problem due to a number of various physical parameters, which can have a similar effect on measured radiance. Most evaluations of satellite performance have relied on comparisons with limited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of ground-based measurements such as soundings and in-situ measurement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new way of satellite data evaluation is suggested with statistical tools such as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EOF), an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SVD). The EOF analyses with OMI and OMI HCHO over northeast Asia show that the spatial pattern show high correlation with population density. This suggests that human activity is a major source of as well as HCHO over this region. However, this analysis is contradictory to the previous finding with GOME HCHO that biogenic activity is the main driving mechanism(Fu et al., 2007). To verify the source of HCHO over this region, we performed the EOF analyses with vegetation and HCHO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no coherence in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 between two factors. Rather, the additional SVD analysis between $NO_2$ and HCHO shows consistency in spatial and temporal coherence. This outcome suggests that the anthropogenic emission is the main source of HCHO over the region. We speculate that the previous study appears to be due to low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of GOME measurements or uncertainty in model input data.

위성자료와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한 아시아 주요도시의 포름알데하이드 칼럼농도 추정연구 (First-time estimation of HCHO column in major cities over Asia using multiple regression with satellite data)

  • 최원이;홍현기;박준성;이한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23-53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법과 Ozone Monitoring Instrument(OMI),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자료를 이용하여 2005년 1월부터 2008년 7월 사이 아시아 주요도시 지역의 포름알데하이드 층적분농도를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3개도시(베이징, 서울, 도쿄)와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3개도시(뉴델리, 다카, 방콕)에서 처음으로 추정하였다. 동북아시아의 3개 도시에서는 OMI로 측정된 포름알데하이드의 층적분농도($HCHO_{OMI}$)와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추정된 포름알데하이드의 층적분농도($HCHO_{MRM}$) 사이의 높은 상관성(0.78 < $R^2$ < 0.82)을 보였다. 동남아시아의 주요도시에서는 동북아시아 지역에 비해 $HCHO_{OMI}$$HCHO_{MRM}$사이의 낮은 상관성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다중회귀분석법의 편중되지 않은 평가를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식을 도출해내기 위한 모델링 그룹과 다중회귀분석법의 성능을 보여줄 검증그룹으로 나누어 다중회귀분석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다중회귀 분석법이 포름알데하이드 칼럼농도 추정에 있어 위성 관측이 어려울 경우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초음파 조직생검 시 실내의 포름알데히드(HCHO) 농도 변화 관찰 (Observation of Changes in Indoor Formaldehyde(HCHO) Concentration during Ultrasound Guided Biopsy)

  • 이훈정;강성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57-1064
    • /
    • 2021
  • 본 연구는 초음파 조직검사 시에 실내 공기 중 HCHO 농도변화를 관찰하고자 실제 조직검사와 동일한 환경조건을 모사하여 진행하였다. 초음파 검사실의 밀폐, 환기, 포르말린 용기 개봉, 포르말린 용기 밀봉, 재환기의 다섯 단계를 연속적으로 진행하며 실내의 HCHO 농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HCHO 농도변화는 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였다. 3회에 걸쳐 측정된 농도 변화값의 일치도를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 값이 0.98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상의학적 검사 분야에서 HCHO의 노출 환경 내에 근무하고 있는 의료종사자들 스스로 업무 중 노출 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개선과 더불어 노출 관리를 위한 환경구축 및 대책 마련에 대하여 적극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귀금속계 촉매를 이용한 HCHO 상온 산화 반응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HCHO Oxidation Using Nobel Metal Catalysts at Room Temperature)

  • 김거종;서필원;강연석;홍성창
    • 공업화학
    • /
    • 제25권3호
    • /
    • pp.300-3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HCHO를 상온에서 제거하기 위한 귀금속계열의 촉매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조된 촉매들은 XRD, FT-IR, CO-chemisorption을 이용하여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t와 Pd를 활성금속으로 하여 제조한 환원촉매가 상온조건에서 우수한 HCHO 산화 능력을 보였으며, 지지체의 경우 환원성지지체로 잘 알려진 $TiO_2$를 이용하여 촉매를 제조하였을 때 높은 반응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환원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활성금속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반응활성의 저하를 나타내었으며 환원촉매의 경우 상온조건에서 HCHO 흡착 및 탈착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2001년 서울시 오존 집중 측정 시기 HCHO의 측정 (Measurements of HCHO during ozone intensive study in Seoul, 2001)

  • 홍상범;김규수;이재훈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9-320
    • /
    • 2002
  • 포름알데하이드(HCHO)는 보건학적인 영향과 광화학 스모그 형성과정의 중요한 역할로 인해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포름알데하이드(HCHO)의 도심지 대기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인위적인 발생원은 산업활동 및 자동차의 배기가스이며 식물의 연소과정(biomass burning)에서도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기환경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들과 OHㆍ과의 광 화학적 산화과정을 통하여 2차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주요 소멸과정으로는 광분해(photolysis) 과정과 OHㆍ과의 반응이다. (중략)

  • PDF

중소도시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새집증후군) 실측에 관한 연구 (Field Measurements of Indoor Air Quality in Apartment Units at Medium-size Cities)

  • 윤재옥
    • KIEAE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81-86
    • /
    • 2010
  • The main sources of the new house syndrome(sometimes it called sick building syndrome) are a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HCHO) and a concentration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 I had field measurements of indoor air quality in the apartment unit at medium-size cities(Y city, C city). I measured indoor air temperature, HCHO concentration in 16 units, TVOC concentration in 6 units and air tightness in 7 units. And I measured outdoor air quality, HCHO concentration and TVOC concentration. Mean concentration of HCHO was $357{\mu}g/m^3$(2006 standard=$120{\mu}g/m^3$), mean concentration of TVOC was $3,092{\mu}g/m^3$ and mean effective air leakage area was 193 cm2. There was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and HCHO concentration,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and TVOC concentration. Air tightness also had relation.

입주전 신축공동주택의 봄철 TVOC, HCHO농도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measurement of the TVOC and HCHO concentration in the newly constructed apartment houses in spring seasons)

  • 최승혁;김건우;이종식;박진철;김신도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6-131
    • /
    • 2007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undament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Indoor Air Quality(IAQ) in newly-constructed apartment building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HCHO and VOCs and the field measurement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eld measurement of 60 new houses in spring season, the concentration of HCHO in about 20% were higher the IAQ standar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