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BsAg positive carrier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 산모로부터 분만된 신생아의 B형 간염 백신의 면역반응 및 방어효과 (The Immune Response and Protective Efficacy of Hepatitis B Vaccine in Neonates Born from Hepatitis B Carrier Mothers)

  • 김종현;강진한;허재균;고대균;오창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5권1호
    • /
    • pp.96-103
    • /
    • 1998
  • 목 적 :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보유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의 수직감염 양상을 관찰하고 HBV 백신의 면역반응 및 방어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18개월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을 방문한 HBV 보유 산모와 이들로부터 분만된 신생아중 12개월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78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HBV 보유 산모의 신생아에게 출생 직후부터 HBV 면역 글로불린(HBIG)과 가열 불활성화 혈장 백신을 접종한 후 4, 8, 12개월시에 검체를 채취하여 일반표지자의 양상을 면역효소법 및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한 후 HBV 보유 산모와 그 신생아의 각 표지자간의 관계 및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연구 대상 산모 중 HBV 보유자는 5.0%(106/2,117), HBeAg 양성 및 음성의 비율은 38.5%(37/96)와 61.5%(59/96)이었다. 2) HBV 보유 산모로부터 출생한 영아에 있어서 백신에 대한 anti-HBs 양전율은 4, 8, 12개월 시 각각 85.9%(67/78), 75.6%(59/78), 73.1%(57/7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산모의 HBeAg 유무와는 관련이 없었다. 형성된 anti-HBs의 기하 항체가는 4개월에 비하여 8개월, 12개월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HBV 백신과 HBIG 투여의 HBV 보유자 이행에 대한 12개월시의 방어 효과는 HBeAg 양성 및 음성 산모로부터 분만된 영아에서 각각 89.8%와 100%이었다. 3) 12개월의 관찰 기간동안 산모로부터 감염이 있었던 경우는 78명 중 5명으로 모두 HBeAg 양성 산모에서 분만된 영아이었고 이 중 3명에서 HBV 보유자로 이행되었다. 출생 직후 HBeAg 양성 및 음성 산모의 신생아에서 HBsAg 양성이었던 경우는 각각 4명으로 HBeAg 양성 산모의 신생아 4명 중 3명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 결 론 : 국내에서 개발된 백신의 하나인 가열 불활성화 B형 간염 혈장 백신의 항체 양전률은 85.9%이었으며, HBIG과 동시 투여하였을 때 12개월간의 HBV 보유자 이행에 대한 방어효과는 HBeAg 양성 산모에서 출생한 경우 89.8%인 반면 HBeAg 음성 산모에서 출생한 경우는 100%이었다.

  • PDF

B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감염 소아의 추적 관찰 (Follow-up of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 황성현;김종현;강진한;허재균;이경일;오진희;이승희;고대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73-80
    • /
    • 2004
  • 목 적 : 소아 HBV 만성 감염 환자들에 대한 연속적인 임상적 소견, 생화학 검사 및 혈청학적 표지자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들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1995년 7월 1일부터 2000년 6월 30일까지 5년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6개월 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HBV 만성감염 소아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모두는 HBV 표지자인 HBsAg, anti-HBs, HBeAg, anti-HBe, anti-HBc IgG와 간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첫 내원시 대상 모두가 무증상이었고 HBV 만성 감염의 가족력이 83%에서 있었다. HBeAg 양성이 81%, HBeAg 음성, anti-HBe 양성이 16%, HBeAg, anti-HBe 모두 음성인 경우가 3%로 성별간의 차이는 없었고, 대상군의 연령을 0~5, 6~10, 11~15세로 나누었을 때 HBeAg 양성은 각각 90%, 96%, 61%로 10세 이하의 양성률이 11~15세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P=0.001). 혈청 ALT치는 40 IU/L 이하, 41~80 IU/L, 81~200 IU/L, 201 IU 이상인 경우가 각각 64%, 17%, 10%, 9%이었고 HBeAg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ALT의 비정상인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다(P=0.036). HBeAg에서 anti-HBe로 전환된 경우가 73명 중 11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 모두에서 anti-HBe의 전환 전에 ALT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HBeAg 및 HBsAg의 연간 자연소실율은 각각 9.7%, 0.6%이었다. 결 론 : HBV 표지자 및 생화학적 검사치의 변화양상을 숙지하는 것은 이와 관련된 연구를 시행할 때 대상을 선정하고 또한 질환에 대한 치료 여부, 치료제의 선택 및 효과를 검토할 때 필요한 사항이며 각 개인의 HBV 만성 감염의 악화 예후인자를 찾기 위하여 증상이 없더라도 보유자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소독액의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에 대한 억제효과 (ANTIVIRAL EFFECT OF SEVERAL DISINFECTANT SOLUTIONS)

  • 임미경;이세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1호
    • /
    • pp.106-113
    • /
    • 1994
  • Dental professions are considered high risk for contracting hepatitis infection. In Korea, many patients are hepatitis B virus carriers. HBV are most efficiently transmitted by blood. Root canal treatment, as in cases of acute pulpitis always accompanied by contaminated blood.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use irrigation solutions having strong antiviral effect for prophylaxis both dental personnel and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viral effect of seven root canal irrigation solutions by radioimmunometric test. The solutions were 5% sodium phyochlorite, 5% cresol, 2% glutaraldehyde, 3% hydrogen peroxide, 0.05% chlorohexidine, 10% iodine, and 70% isoprophyl alcohol. Each irrigation solutions was mixed with serum preparated from HBsAg positive patients and sera were diluted to 1:1. 1:4. 1:20 and 1:100. Percentage of radioactivity was assayed with AUK(Sorbin biomedica, Italy) and COBRA(Packwood Instrument company, USA). Sodium hypochlorite and glutaraldehyde showed most strong antivral activity against HBsAg. Isoprophyl alcohol had moderate antiviral effect and the effect and the effect was increased especially in 1:4 solution. Hydrogen peroxide exihibited very weak aintivral activity. Cresol, chlorohexidine, and iodine exhibited little antiviral activity.

  • PDF

Does HBV Infection Increase Risk of Endometrial Carcinoma?

  • Jiang, Xue-Feng;Tang, Qiong-Lan;Zou, Yuan;Xu, Ling;Zeng, Hua;Chi, Cong;Jiang, Jing-Ru;Zhang, Bin-Zh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713-716
    • /
    • 2014
  • Objective: Connections between chronic inflammation and tumo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are now generally accepted. Recent evidence indicates that hepatitis B is associated with several types of cancer, but whether endometrial carcinoma (EC) is included has not been reported. Methods: We analyzed HBV serum marker status in 398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comparing them to 788 control women undergoing health examination. Results: The total prevalence of HBsAg tested positive in canc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12.8% vs 6.0%, P=0.001), while positive HBsAb was significantly lower (41.2% vs 68.5%, P=0.001). Hepatitis B carriers in endometrial cancer group were also more frequent than in the control group (9.3% vs 5.5%, P=0.013). Interestingly, in the endometrial cancer group, 147 cases were HBV serum marker negative, which was also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36.9% vs 15.6%, P=0.001). Conclusion: There may be a correlation between HBV infection and endometrial carcinoma.

Low Frequency of Precore Mutants in Anti-Hepatitis B e Antigen Positive Subject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 Chennai, Southern India

  • Shanmugam, Saravanan;Velu, Vijayakumar;Nandakumar, Subhadra;Madhavan, Vidya;Shanmugasundaram, Uma;Shankar, Esaki Muthu;Murugavel, Kailapuri G.;Balakrishnan, Pachamuthu;Kumarasamy, Nagalingeswaran;Solomon, Suniti;Thyagarajan, Sadras Panchatchar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0호
    • /
    • pp.1722-1728
    • /
    • 2008
  • The natural course of chronic hepatitis B (CH-B) virus infection is reportedly variable, and the long-term outcomes in hepatitis B e antigen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are distinct from HBeAg-positive chronic hepatitis. However, the molecular virologic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progression of liver disease in the south Indian setting remain largely unclear. We prospectively studied 679 consecutive patients for HBsAg, HBeAg, anti-HBe, and HBV DNA by qualitative PCR. Randomly selected samples were subjected to bidirectional sequencing to reveal core/precore variants. Of the total 679 chronic HBV cases investigated, 23% (154/679) were replicative HBV carriers. Furthermore, amongst the 560 HBV DNA samples analyzed, 26% (146/560) were viremic. Among the 154 HBeAg positive cases, HBV DNA was positive in 118 cases (77%),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e anti-HBe positive (7%) (28/406) cases. Significant increase in liver disease (p<0.01) with ALT enzyme elevation (p<0.001) was observed in both HBe and anti-HBe viremic cases. Interestingly, low frequencies of mutations were seen in the precore region of the HBV strains studied. HBV precore and core promoter variants were less often detected in subjects with "e" negative chronic HBV infection and, therefore, may not have a prognostic role in determining liver disease sequelae in this part of tropical India.

극소 저출생체중아의 영아기 B형 간염 항체 생성률 조사 (Immune responses of hepatitis B vaccination among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 김영득;한명기;김애란;김기수;피수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8호
    • /
    • pp.857-863
    • /
    • 2006
  • 목 적 : 의료기술과 신생아학의 발전으로 생존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질병에 대한 관리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영아기 B형 간염 항체 생성률과 항체 생성 실패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과 강릉아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1,500 g 미만의 극소저출생 체중아 중에서 영아기에 B형 간염 항체에 대해 검사받은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들은 역 연령 약 40주경에 첫 간염 예방접종시행 받았으며 1개월 후, 6개월 후에 간염 예방접종을 시행 받았다. 그러나 모체의 B형 간염 항원이 양성인 13명의 영아들은 출생 시에 임신주수와 출생체중과 관계없이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과 B형 간염 예방접종을 1회 더 시행 받았다. 항체검사는 마지막 간염 예방접종 3-4개월 후에 시행하였고 B형 감염 예방접종후의 항체 양전은 항체의 역가가 ${\geq_-}10mIU/mL$로 정의하였다. 결 과 : 총 243명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들의 B형 간염 예방접종 후 항체 양전율은 84.4%(205/243명)였다. 항체가 음성인 38명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 중에서 재접종이 가능하였던 28명 중 17명(60.7%)에서 항체가 양성으로 전환되었다. 총 243명 중 34.6%(84/243명)을 차지한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의 항체 양전율은 84.5%(71/84명)이었다. 13명의 항체 음성인 초극소 저출생체중아 중 재접종이 가능하였던 10명의 항체 양전율은 80%(8/10명)로 재접종 후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와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항체 양전율은 각각 95.3%, 97.5%으로 향상되었다. 출생시 임신주수별 항체 양전율은 $28^{+0}$주 미만과 $28^{+0}-36^{+6}$주인 영아들에서 각각 83.5%(66/79), 84.8%(139/164명)이었다. 이들 중 항체가 생기지 않았던 영아에서 재접종 후 각 군에서의 항체 양전율은 각각 96%, 94.9%로 향상되었다. B형 간염 보유자에게 태어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항체 양전율은 76.9%(10/13명)였고 모두에게서 B형 간염의 항원은 음성이였다. 항체 양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첫 B형 간염 예방접종시의 체중이 작을수록 항체 양전율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세 번의 B형 간염 예방접종 후 항체 생성이 되지 않은 극소 저출생 체중아들에서의 재접종은 항체 양전율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저자들은 극소 저출생 체중아들에게 아직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실시되고 있지 않는 예방접종 후 항체검사를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바이다.

Evaluation of DNA Repair Gene XRCC1 Polymorphism in Prediction and Progno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Risk

  • Li, Qiu-Wen;Lu, Can-Rong;Ye, Ming;Xiao, Wen-Hua;Liang, J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191-194
    • /
    • 2012
  • We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in China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XRCC1-Arg399Gln polymorphism and HCC risk. A total of 150 cases and 158 controls were selected from the the Affiliated Hospital of Qingdao University from May 2008 to May 2010. XRCC1-Arg399Gln polymorphism was based upon duplex polymerase-chain-reaction with the confronting-two-pairprimer (PCR-CTPP) method.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A statistical package.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was associated with the Arg/Gln genotype (adjusted OR 1.78, 95%CI=1.13-2.79) compared with genotype Arg/Arg. In contrast, the Gln/Gln genotype had non-significant increased risk of HCC with adjusted OR (95%CI) of 1.69 (0.93-2.66).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positive HBsAg and Arg/Gln, with an OR of 3.43 (95% CI=1.45-8.13). Patients carrying Gln/Gln genotyp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median survival than Arg/Arg genotypes (HR=1.38, 95% CI=1.04-1.84). Further Kaplan-Meier analysis showed decreased median survival in Arg/Gln+Gln/Gln genotype carriers in comparison to Arg/Arg carriers (HR=1.33, 95% CI=1.02-1.76). In conclusion, we observed that XRCC1-Arg399Cln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HCC, and XRCC1 Gln allele genotype showed significant prognostic associ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