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Be Ag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2초

HBe항원 양성 산모에서 출생한 HBe항원 양성인 신생아의 추적관찰 (Sequential Analysis of Hepatitis Be Antigen Status in Infants Born to Hepatitis Be Antigen-Positive Mothers)

  • 박은숙;이해경;오창희;김성구;윤혜선;송원근;이영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6호
    • /
    • pp.727-731
    • /
    • 2002
  • 목 적 : HBsAg 양성이면서 HBeAg 양성인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에서 출생 직후 HBsAg은 음성이면서 HBeAg 양성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1996년 12월부터 1999년 3월까지 HBsAg과 HBeAg이 모두 양성인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 중에서 HBsAg 음성이면서 HBeAg 양성인 신생아 22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 1) 분만 산모의 총 수 4,338명 중 HBsAg 양성은 4.9%(213/4338), HBsAg 양성인 산모에서 HBeAg을 검사한 183례 중 HBeAg 양성은 41.5%(76/183)이었다. 2) HBeAg 양성인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에서 HBeAg 검사를 시행 받은 49례에서 HBsAg 음성이고 HBeAg 양성인 신생아는 36례로 73.5%이었다. 이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2례에서 태반을 통해 전달된 HBeAg이 2개월 내에 소실된 경우가 7례(31.3%)로 가장 많았으며 90%이상이 12개월 내에 소실되었으며 결국 22례 모두에서 소실되는 소견을 보였다. 단 1례에서 HBeAg은 소실되었으나 6개월에 HBsAg이 양성이었다. 결 론: HBeAg이 양성인 간염 보균산모에서 신생아의 HBeAg은 감염이라기 보다는 태반을 통해 전달되는 산모의 HBeAg으로 일시적인 현상이며 임상적인 문제없이 소실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B형 간염에서 HBe 항원에서 항체로의 혈청 전환 중에 불안정하게 나타나는 HBe 항원 (Unstable Data of HBe Antigen during Seroconversion from HBe Antigen to Antibody in Chronic Type B Hepatitis)

  • 신선영;민경선;노경운;김현주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78-81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제를 복용하는 만성 B형간염환자의 혈청에서 seroconversion되는 과정 중에 불안정하게 나타나는 HBeAg과 HBeAb 사례를 연구하여, 검사자가 검사결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만성 B형간염 환자로 진단을 받고 치료제를 복용하고 HBeAg 검사와 HBeAb검사를 시행한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HBeAg과 HBeAb검사는 Radioimmunoassay법과 Immunoradiometric assay법으로 실시되었다. 결과: HBeAg이 음성화되는 과정에서 결과가 양성에서 음성으로, 다시 양성으로 불안정한 결과를 보였다. HBeAb가 양성화되는 과정에서 결과가 음성에서 양성으로, 다시 음성으로 변하는 불안정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이번 사례는 seroconversion 유도를 위해 약물치료중인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볼 수 있는 불안정한 HBeAg과 HBeAb 혈액 결과이다. 불안정한 HBeAg과 HBeAb 검사 결과를 통하여 검사자는 환자가 바이러스 치료제를 복용하여 seroconversion되는 과정 중에 있을 수 있다는 것과 불안정한 결과는 치료제에 의해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임을 알 수 있다.

  • PDF

만성 B형 간질환에서 간염 B virus 표식자 발현에 따른 DNA의 검출 (Detection of Serum Hepatitis B Virus DNA According to HBV Markers in Chronic Hepatitis B Liver Disease)

  • 이동준;최진수;김준환;이헌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55-167
    • /
    • 1997
  • 본 연구는,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표지자로 알려진 HBV DNA를 최근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CR법을 사용해 검출함으로써 기존의 dot blot법과 PCR법을 비교하고,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HBV의 e항원, 항체체계에 따른 HBV DNA의 검출율을 PCR법을 이용하여 알아봄으로써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고자 무증상 HBsAg 보유자 17명(HBeAg 양성 9명, anti-HBe 양성 8명), 만성 B형 간염 환자 91명(HBeAg 양성 50명, anti-HBe 양성 41명), 간경변증 한자 57명(HBeAg 양성 21명, anti-HBe 양성 36명),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 27명(HBeAg 양성 10명, anti­HBe 양성 17명)을 대상으로 HBV DNA의 검출빈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ot blot법의 경우 HBeAg 양성인 환자군, anti-HBe 양성인 환자군에서의 HBV DNA의 검출율은 각각 58.9%, 34.3% 이었고, PCR법에 의한 검출율은 상기군에서 각각 72.2%, 53.9%였다. HBeAg 음성인군에서의 PCR법에 의한 HBV DNA 검출율은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경우 25.0%, 만성 B형 간염 환자군의 경우 61.0%, 간병변증 환자군의 경우 52.8%,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군의 경우 52.9%였다. 무증상 HBsAg 보유자에서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은 각각 77.8%, 25.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군에서는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PCR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dot blot보다 훨씬 예민하게 HBV DNA를 검출할 수 있고, HBsAg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대부분에서는 HBeAg 및 anti-HBe 표식자 체계와는 무관하게 바이러스의 증식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PCR법이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예후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의미하나 확실한 의의를 알기 위하여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혈청 HBeAg 유무와 결핵 감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Serum HBeAg Status and Tuberculosis Infection)

  • 김장락;박정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2권1호
    • /
    • pp.65-70
    • /
    • 1989
  • B형 간염 혈청 표지자 중 HBeAg유무와 결핵 감염과의 관련성을 보기 위하여 1985년 1월 1일부터 1987년 12월 31일 사이 경북 대학교 병원 핵의학과에서 방사능 면역법으로 HBeAg 검사를 받은 입원 환자 57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HBeAg 양성군에서 결핵 환자 비율이 5.0%로 음성군에서의 9.8%보다 낮았고 교차비가 0.48(95% C.I.:0.22-1.08)이었으며, 간담도계 질환자만 보아도 HBeAg 양성군에서 결핵 환자 비율이 4.4%로 음성군의 8.1%보다 낮았고 교차비가 0.52(95% C.I.:0.17-1.35)로 B형 간염 감염과 결핵과의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어 B형 간염과 결핵은 서로 우월하게 작용한다는 선행 연구의 가설과 일치하는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5% 유의 수준에는 약간 못 미쳐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선택 편견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일단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볼 필요성이 있으며 일반 인구 집단에서 전향성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 PDF

급상승된 혈청 ALT치를 나타낸 만성 B형 간염 환자에 대한 ${\alpha}$-Interferon 2b의 치료 효과 (Effect of ${\alpha}$-Interferon 2b o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High Serum ALT)

  • 이헌주;송영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37-245
    • /
    • 1998
  •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Interferon (IFN) 치료 후 혈청 HBeAg 소실 및 anti-HBe의 양전율을 높이고 효율적인 치료의 근거를 알기 위하여 치료 전 간기능검사상 갑자기 상승한 혈청 ALT치를 나타낸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IFN을 투여한 군과 IFN 치료없이 정상 HBeAg의 자연 소실을 보인 환자군을 임상적으로 장기간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4배 이상 높이 증가되어 3개월 이상 왕복을 보인 40명의 환자(A군)와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3배 이하로 증가된 10명(B군)에게 ${\alpha}$-IFN 2b를 매일 300만 단위 피하주사로 3~12개월 주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LT치가 A군처럼 장승한 45명 (C군)이었으며, IFN 치료없이 평균 2.9년을 관찰하였다. HBeAg/anti-HBe 혈청 양전율은 A군 68%, B군 20%, C군 13%이었으며 IFN 치료 중단 후 1년까지의 HBeAg 재양성율은 A군에서 29%였고 HBeAg이 소실된 A와 B군의 38명중에서 6명에서 HBV DNA가 양성이었다. 6명중 4명은 HBeAg/anti-HBe 양전을 보였으나 HBV DNA 양성이었고 나머지 2명은 HBeAg, anti-HBe 및 HBV DNA (hybridization) 모두 음성이었으나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상 HBV DNA 양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비록 IFN 치료 후에 HBeAg이 소실되었다가 다시 양성화되더라도 IFN은 단기간내에 혈중 HBeAg이나 DNA가 자연적으로 감소가 될 환자나 그렇지 않은 환자에게도 HBV의 비증식화를 유발하여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IFN 투여 후에도 혈중 HBeAg과 DNA 소실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환자 및 HBV 증식 억제효과가 기대되는 HBV 간질환 환자의 조건, IFN 투여량, 기간 등에 대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더 나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B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감염 소아의 추적 관찰 (Follow-up of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 황성현;김종현;강진한;허재균;이경일;오진희;이승희;고대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73-80
    • /
    • 2004
  • 목 적 : 소아 HBV 만성 감염 환자들에 대한 연속적인 임상적 소견, 생화학 검사 및 혈청학적 표지자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들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1995년 7월 1일부터 2000년 6월 30일까지 5년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6개월 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HBV 만성감염 소아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모두는 HBV 표지자인 HBsAg, anti-HBs, HBeAg, anti-HBe, anti-HBc IgG와 간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첫 내원시 대상 모두가 무증상이었고 HBV 만성 감염의 가족력이 83%에서 있었다. HBeAg 양성이 81%, HBeAg 음성, anti-HBe 양성이 16%, HBeAg, anti-HBe 모두 음성인 경우가 3%로 성별간의 차이는 없었고, 대상군의 연령을 0~5, 6~10, 11~15세로 나누었을 때 HBeAg 양성은 각각 90%, 96%, 61%로 10세 이하의 양성률이 11~15세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P=0.001). 혈청 ALT치는 40 IU/L 이하, 41~80 IU/L, 81~200 IU/L, 201 IU 이상인 경우가 각각 64%, 17%, 10%, 9%이었고 HBeAg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ALT의 비정상인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다(P=0.036). HBeAg에서 anti-HBe로 전환된 경우가 73명 중 11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 모두에서 anti-HBe의 전환 전에 ALT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HBeAg 및 HBsAg의 연간 자연소실율은 각각 9.7%, 0.6%이었다. 결 론 : HBV 표지자 및 생화학적 검사치의 변화양상을 숙지하는 것은 이와 관련된 연구를 시행할 때 대상을 선정하고 또한 질환에 대한 치료 여부, 치료제의 선택 및 효과를 검토할 때 필요한 사항이며 각 개인의 HBV 만성 감염의 악화 예후인자를 찾기 위하여 증상이 없더라도 보유자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만삭임부 및 신생아의 혈청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rum HBV Markers in Term Pregnant Women and Their Neonates)

  • 이태형;박완석;김성림;이강원;이승호;정원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21-129
    • /
    • 1987
  • 만삭 임부 및 신생아에서의 B형간염 감염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1986년 1월 1일부터 1987년 6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을 위해 입원한 임부 2,032명중 1,276명에 대하여 HBsAg 혈증 여부을 검사하고 혈청 HBsAg 양성으로 확인된 임부 74명중 66명과 그 신생아에서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 검사와 함께 SGOT 및 SGPT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만삭 임부의 혈청 HBsAg 양성율은 4.7%(53/1,279) 이었다. 2. HBsAg 혈증 임부의 신생아에서의 혈청 HBsAg과 anti-HBs 양성율은 각각 12.1%(8/66)와 9.1%(6/66)이었다. 3. HBsAg 혈증 만삭 임부에서의 혈청 anti-HBc, HBeAg, 및 anti-HBe 양성율은 각각 94.0%(62/66), 45.5%(30/66), 및 50%(33/66)이었으며, 혈청 anti-HBc, HBeAg, 및 anti-HBe의 모체 - 신생아 전파율은 각각 85.5%(53/62), 90%(27/30), 및 87.9%(29/33)이었다. 혈청 anti-HBc와 anti-HBe가 신생아에서만 검출된 경우는 각각 1예와 2예가 있었으며 anti-HBe가 검출된 신생아 2명중 1예에서만 혈청 anti-HBs도 동시에 검출되었다. 4. HBsAg 혈증 만삭 임부에서 모체가 혈청 HBeAg를 보유한 경우와 혈청 anti-HBe를 보유한 경우의 신생아 혈청 HBsAg 양성율은 각각 13.3%(4/30)와 9.1%(3/33)이었으며, 모체에서 혈청 HBeAg과 anti-HBe가 모두 검출되지 않은 경우, 신생아 혈청 HBsAg 양성율은 33.3%(1/3)이었다. 이상의 검사성적으로 미루어 한국인 임부에서도 임신말기에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검사가 routine screening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B형간염 바이러스의 산전 태반을 통한 신생아 전파율이 본 연구에서는 24.2%로 추정되었다.

  • PD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of Interferon Lambda-4 Gene is not Associated with Treatment Response to Pegylated Interferon in Thai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 Limothai, Umaporn;Wasitthankasem, Rujipat;Poovorawan, Yong;Tangkijvanich, Pisi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515-5519
    • /
    • 2015
  •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ss469415590 in the interferon lambda-4 (IFNL4) gene has recently been reported to have an association with treatment response in chronic hepatitis C. However, any importance of the SNP in association with response to pegylated interferon (PEG-IFN)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CHB) is unclear.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for Thai patients with CHB treated with PEG-IFN for 48 weeks. Virological response (VR) for HBeAg-positive CHB was defined as HBeAg seroconversion plus HBV DNA level <2,000 IU/mL at 24 weeks post-treatment. VR for HBeAg-negative CHB was defined as an HBV DNA level <2,000 IU/mL at 48 weeks. The SNP was identified by real time PCR using the TaqMan genotyping assay with MGB probes. A total 254 patients (107 HBeAg-positive and 147 HBeAg-negative)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distribution of TT/TT, ${\Delta}G/TT$ and ${\Delta}G/{\Delta}G$ genotypes was 221 (87.0%), 32 (12.6%) and 1 (0.4%), respectively. Patients with non-TT/TT genotypes had significantly higher baseline HBV DNA levels than patients with the TT/TT genotype. In HBeAg-positive CHB, 41.2% of patients with TT/TT genotype versus 50.0% with non-TT/TT genotype achieved VR (P=0.593). In HBeAg-negative CHB, the corresponding figures were 40.3% and 43.5%, respectively (P=0.777).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NP genotypes and HBsAg clearance in both groups of patients. In summary, ss469415590 genotypes were not associated with response to PEG-IFN in Thai patients with HBeAg-positive and HBeAg-negative CHB.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환자에서 HBeAg이 혈청전환된 1례 (A Case Report of HBeAg Seroconversion in Chronic Viral Hepatitis B)

  • 최은솔;김하연;배정한;장은경;김영철;이장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29-53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report the efficacy and safety of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of a patient with HBeAg-positive chronic viral hepatitis B.Methods: The patient took Korean medicine (mainly Injinchunggan-tang-gamibang) from July 20th, 2010, to March 14th, 2016, without any antiviral or interferon therapy. Changes to laboratory records, abdomen ultrasonography, and clinical symptoms were reviewed.Results: The laboratory records showed that AST, ALT, and HBV DNA had decreased to normal ranges, and HBeAg showed seroconversion. Clinical symptoms also improved after taking Korean medicine.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and without antiviral or interferon therapy could be effective for HBeAg-positive chronic hepatitis B.

직장(職場) 채용(採用) 신체검사(身體檢査)에서 나타난 B형(型) 바이러스 간염(肝炎) 검사성적(檢査成績)에 관(關)한 고찰(考察) (Study on the prevalence of HBV Ag and HBV markers revealed through preemployment examination in asymptomatic healthy persons)

  • 김주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7권1호
    • /
    • pp.203-210
    • /
    • 1984
  • Primary screening test for serum HBsAg by RPHA from 4,805 persons who were clinically well through preemployment examination for the period of one calendar year of 1983 revealed 476 (9.9%) positive individual carri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positives of serum HBsAg by age group, profession, or province area. Among positives of serum HBsAg, 356 (74.8%) showed normal findings and 120 (25.2%) showed abnormal findings in liver function test, respectively. Radioimmunoassay was done in 169 positives of HBsAg and RIA detected 10 negative persons who were positive by RPHA revealing 5.9% of false positive rate and 94.1% of sensitivity of RPHA. In RIA profile of HBV markers, pattern I (HBsAg+, Anti-HBe+) was 46.6%, pattern II (HBsAg+, HBeAg+) was 33.3%, pattern III (HBsAg+only) was 18.3%, pattern IV (HBsAg+, HBeAg+, Anti-HBs+) was 1.3%, pattern V (HBsAg+, HBeAg+, Anti-HBe+) was 0.6%, respectively. There were no positives of HBsAg among 10 persons who were negatives of HBsAg by R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