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27초

인도네시아 아동들의 아침식사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하여-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reakfast Eating Behavior of Children in Indonesia: An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 강란이;이수진;류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consuming breakfa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Malang, East Java, Indonesia,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breakfast behavior. Methods: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as per the health belief model, and slightly modified by adding the subjective normative facto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7 to August 15, 2017 using a questionnaire, after receiving the permission PNU IRB (2017_60_HR). Results: The subjects were 77 boys (49.4%) and 79 girls (50.6%) suffering from malnutrition with anemia (21.2%) and stunting ratio of Height for Age Z Score (HAZ) (11.5%). Furthermore, moderate weakness (14.8%) and overweight and obesity (12.3%) by Body Mass Index for Age Z Score (BMIZ) were coexist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or breakfast, 21.8% did not eat breakfast before school, with 18.8% of the reasons for skipping breakfast being attributed to lack of food. Even for subjects partaking breakfast, only about 10% had a good balanced diet. The average score of behavioral intention on eating breakfast was 2.60 ± 0.58. The perceived sensitiv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of the health belief model correlated with breakfast behavior. Of these, self-efficacy (β=0.447, R2=0.200) and perceived sensitivity (β=0.373, R2=0.139) had the greatest effect on breakfast behavior. Mother was the largest impact person among children.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breakfast behavior intention among children surveyed in Indonesia, we determined the effectiveness by focus on education which helps the children recognize to be more likely to get sick when they don't have breakfast, and increase their confidence in ability to have breakfast on their own. We believe there is a necessity to seek ways to provide indirect intervention through mothers, as well as impart direct nutrition education to children.

용접방법에 따른 구조용강 용접 접합부의 저온 충격인성 특성 (Effects of Welding Processes on the Low Temperature Impact Toughness of Structural Steel Welded Joints)

  • 이진형;신현섭;박기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93-70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용접방법 및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강구조물 용접부 및 열영향부에 대하여 샤르피 충격시험 (Charpy Impact Test) 및 조직검사를 통한 저온에서의 충격인성 평가를 실시하여, 극지 및 시베리아와 같은 저온환경에 노출된 강구조물 용접 접합부의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용접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된 용접방법은 강구조물 제작시 널리 쓰이는 SMAW (Shielded Metal Arc Welding)와 FCAW (Flux Cored Arc Welding)이며, 각 용접방법에 따른 저온강용 용접봉을 사용하여 시험판을 제작하였다. 서로 다른 용접방법으로 제작된 시험판의 용접부 및 열영향부에 대하여 샤르피 충격시험을 통한 저온에서의 충격흡수에너지 값과 미세조직 분석을 통하여 용접방법에 따른 구조용강 용접 접합부의 저온 충격인성을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극한지에 강구조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저입열 용접인 SMAW 용접방법 및 그에 따른 저온강용 용접봉을 사용하는 것이 충격인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넬(Monel)-Clad 파이프의 오버레이 용접 적층수가 용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Number of Layers by Overlay Welding of Monel-Clad Pipe on Weldability)

  • 최혁;박준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2-50
    • /
    • 2016
  • 오버레이 용접은 희석율에 의해 적층 두께에 따라 화학성분 함량과 용접부의 경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파이프 제품의 표면성질을 결정한다. 이로 인해 오버레이 용접은 적층의 수를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강 모재에 내부식성 소재인 모넬 소재를 오버레이 용접하여 적층수에 따른 Fe함량, 모재와 모넬 소재와의 용접성, 부위별 경도와 표면 평탄도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각각의 평가는 평판의 모재와 파이프 모재에 3개의 층으로 오버레이 용접 후 실시하였다. Fe함량은 각 층별 시료를 채취하여 성분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3Layer에서 만족하는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적층별 시편을 밴딩 시험하여 용접성을 평가하였다. 적층별 경도와 비드 평탄도는 Micro Vickers와 3차원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경도는 1Layer에서 발생하는 HAZ부에 의해 가장 높은 경도 값을 보였으며, 적층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감소하였다. 비드 평탄도의 경우 적층수 증가에 따라 편차가 급격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경도와 함께 사용 목적의 측면에서 주의 깊게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실험적 결과는 목적에 따른 용접 파이프 적층수의 결정 방법을 나타내었다.

교량용 강재 박스의 현장 제조시 셀프실드 플럭스코어드 아크용접의 적용 타당성에 대한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lf-Shielded Flux Cored Arc Welding Process for the On-Site Steel Bridge Box Fabrication)

  • 황용화;고진현;오세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22-12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강 SM520을 사용하여 교량용 박스 제작시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법에서 가스실드방식과 셀프실드방식의 두 공정으로 제작된 용접부를 건전성, 기계적 성질 및 미세조직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용접 프로세스에 의해 제작된 용접부들은 매크로 조직 및 비파괴 검사 결과 건전성이 입증되었고, 항복 및 인장강도가 각각 $462{\sim}549\;MPa$$548{\sim}640\;MPa$였고, CVN 충격치는 $-20^{\circ}C$에서 요구값인 40J을 충족하였다. 결과적으로, 고속철도나 고속도로 건설시 사용되는 교량용 SM520강 박스 제조시 고소 및 강풍 조건하에서 용접할 때 셀프실드 아크용접법은 기존의 가스실드 아크 용접법과 비교하여 대등한 용접 특성들을 보였기 때문에 현장 시공시 적용 타당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 PDF

핫스탬핑강의 너트 프로젝션 용접시 너트 재질이 용접부 파단모드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mical Composition of Nut Material on the Fracture Behavior in Nut Projection Welding of Hot-Stamped Steel Sheet)

  • 임성상;김영태;천은준;남기성;박영환;김재완;이선영;최일동;박영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4권2호
    • /
    • pp.1-10
    • /
    • 2016
  • The use of materials for modern lightweight auto-bodies is becoming more complex than hitherto assemblies. The high strength materials nowadays frequently used for more specific fields such as the front and rear sub frames, seat belts and seats are mounted to the assembled body structure using bolt joints. It is desirable to use nuts attached to the assembled sheets by projection welding to decrease the number of loose parts which improves the quality. In this study, nut projection welding was carried out between a nut of both boron steel and carbon steel and ultra-high strength hot-stamped steel sheets. Then, the joints were characterized by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joints were evaluated by microhardness measurements and pullout tests. An indigenously designed sample fixture set-up was used for the pull-out tests to induce a tensile load in the weld. The fractography analysis revealed the dominant interfacial fracture between boron steel nut weld which is related to the shrinkage cavity and small size fusion zone. A non-interfacial fracture was observed in carbon steel nut weld, the lower hardness of HAZ caused the initiation of failure and allowed the pull-out failure which have higher in tensile strengths and superior weldability. Hence, the fracture load and failure mode characteristics can be considered as an indication of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in nut projection welding.

멀티패스 레이저 클래딩에 있어서 중첩률의 기준에 따른 클래드 층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lad layer characteristics with overlapping criterion in multi pass laser cladding)

  • 김종도;이은진;황준구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9호
    • /
    • pp.768-773
    • /
    • 2016
  • 엔진 밸브 시트와 페이스는 엔진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내마모성, 내열성 및 내식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표면층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PTA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있지만 넓은 열 영향부와 높은 모재 희석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레이저 클래딩은 희석률이 낮고 열 영향 및 열 변형을 최소화하므로 더욱 우수한 클래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레이저 빔의 특성상 넓은 면적을 클래딩 할 경우, 1 패스 클래드 층의 중첩이 불가피하다. 중첩률 기준을 빔 사이즈와 클래드 층 폭으로 나누어 멀티패스 클래드 층을 형성한 결과, 기준에 관계없이 중첩률이 증가할수록 클래드 층의 폭이 감소하고 높이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빔 사이즈 기준 중첩률 조건으로 형성된 멀티패스 클래드 층이 다른 기준보다 모재 희석이 감소하여 더욱 높은 경도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중첩률 기준을 클래드 층 폭으로 할 경우, 클래드 층 형상에 영향을 주는 공정변수가 변할 때 마다 폭의 길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빔 사이즈를 중심으로 중첩률을 정의하였다.

SKH51/SM45C의 마찰용접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Friction Weldability of SKH51 and SM45C)

  • 이세경;민병훈;최수현;심도기;민택기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5권6호
    • /
    • pp.53-58
    • /
    • 2007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riction welding of shaft made of SKH51 and SM45C, of which the diameter is 12mm. Friction welding was done at welding conditions of 2,000rpm, friction pressure of 104MPa, upset pressure of 134MPa, friction time of 0.5sec to 2.5sec by increasing 0.5sec, upset time of 2 seconds. Under these conditions, a tensile test, a bending test, a shear test, a hardness test and a microstructure of weld interface were studied. When the friction time was 1.0 second under the conditions, the maximum tensile strength of the friction weld observed to be 963MPa, which is 89% the tensile strength of SKH51 base metal and 101% of the tensile strength of SM45C base metal. When the friction time was 1.0 seconds under the conditions, the maximum bending strength of the friction weld happened to be 1,647MPa, which is 78% the bending strength of SKH51 base metal(2,113MPa) and 87% of the bending strength of SM45C base metal(1,889MPa). When the friction time was 1.0 seconds under conditions, the maximum shear strength of the friction weld was observed to be 755MPa, which is 92% the shear strength of SKH51 base metal and 122% of the shear strength of SM45C base metal. According to the hardness test, the hardness distribution of the weld interface varied from Hv282 to Hv327. HAZ was formed from the weld interface to 1.2mm of SKH51 and 1.6mm of SM45C. Upon examination it was found that the microstructure became finer along with increase of friction revolution radius.

선박용 강판의 수중 용접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for Underwater Welding of Marine Steel Plates)

  • 오세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0권1호
    • /
    • pp.49-59
    • /
    • 1984
  • 선박용 강판(KR Grade A-1, SWS41A, SWS41B)의 수중용접 최적화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산 라임티타니아계 용접봉 피복제의 흡수속도는 약 60분에서 일정하게 되고, 침수시간 8분까지의 흡수속도는 약 0.15%/min 였으므로 40cm 용접기간중의 정미 흡수량은 약 0.22%미만에 불과하였다. 2. 위의 이유와 건조, 직접, 침수용접봉에 의한 대기중, 수상, 수중용접과 모재의 인장강도 및 미시조직 비교실험결과에 의하면, 수중용접시간이 8분이내의 충분히 짧은 때에는 강도상 건조된 직접용접봉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3. 용접조건이 수중용접비이드에 미치는 영향을 KR Grade A-1강판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용접각도는 60$^{\circ}$, 용접전류는 160A정도, 용접봉지름은 4mm인 경우가 적합하며, 또한 비이드외관과 X-선검사에 의하면 일미나이트, 라임티타니아, 고산화티탄계 용접봉이 가장 적합하였다. 4. 위의 용접봉 종류와 각 지름에 대해 비이드외 관검사에 의한 적정 수중용접전류의 범위는 어느 일정 범위내에 제한되며, 용접봉지름의 증가에 따라 전류는 증가하는 경향이다. 5. 수중용접부의 용착금속부에 관한 기계적특성조사에 의하면, 인장강도와 항복강도는 입열량과 이차함수적 관계가 성립되고, 이음효율이 100% 이상의 범위가 존재하며, 충격치와 스트레인은 모재의 경우보다 낮으나 그 증가현상이 고입열량 범위에서 존재하므로, SWS41A에 대한 수중용접 최적입열량범위는 약 13~15KJ/cm이다. 한편, 인장-인장 편진 피로한도가 모재의 경우보다 높고, 충격치와 연신율을 고려하여 구한 최적입열량의 범위는 약 16~19KJ/cm로서, 피로강도를 높이기 위한 입열량은 정적 인장강도때보다 고입열량으로 수중용접해야 한다. 이때 모든 실험식의 신뢰성은 95%수준이다. 6. 수중용접부에 대한 X-선검사와 미시조직검사 및 경도분포조사에 의하면 용접결함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특히, 깊이 1mm 표층부의 모재측 열영향부와 본드(bond)와의 경계부근에 경도 Hv400 max으로서 미세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 퍼얼라이트와 소량의 조대한 입계페라이트 조직이며 그 외의 부위는 퍼얼라이트와 페라이트 조직으로서, 수소취성영향의 극심한 경도증가 및 조직은 발견되지 않았다. 7. 위에서 구한 입열량의 최적범위 내에서의 제어에 의하여 수중용접 할 경우, 신뢰성 있는 용접품질의 최적화가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