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3K4me3

Search Result 62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사료의 에너지 및 조단백질 함량이 토종오리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etabolizable Energy and Crude Protein Concentration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Ducks)

  • 김홍래;권형주;오성택;윤정근;최영인;추연경;강보석;김학규;홍의철;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7-175
    • /
    • 2012
  • 본 실험은 대사 에너지와 조단백질 수준이 토종오리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성 전기는 토종오리 828수를 9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고, 육성 후기는 육성 전기를 거친 토종오리 중 720수를 9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의 실험 사료는 ME 3,000, 2,900 및 2,800 kcal/kg, CP 23, 22 및 21%이었으며, 육성 후기에는 ME 3,100, 3,000 및 2,900 kcal/kg, CP 19, 18 및 17%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 실험 결과는 CP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지만(Linear effect, P<0.01), ME 수준과 $ME{\times}CP$ interaction에 의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균일도는 ME, CP 수준과 $ME{\times}CP$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성 후기 실험 결과는 체중,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및 균일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도체율에서는 ME 3,000 kcal/kg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Quadratic effect, P<0.01), ME와 CP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간의 상대적 중량이 유의적으로 각각 작아지는 결과(Linear effect, P<0.01)가 나타났다. 가슴육, 넓적다리 및 북채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수준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종오리 고기의 화학 및 물리적 특성인 육색, pH, 가열 감량 및 전단력가에서는 ME 및 CP 수준과 $ME{\times}CP$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히스톤 H3K4 메칠화효소 SET1A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촉진 (Histone H3K4 Methyltransferase SET1A Stimulates the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 김선후;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04-1110
    • /
    • 2017
  • 히스톤 H3K4의 메칠화는 3T3-L1의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히스톤 H3K4 메칠화 효소인 SET1A가 지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지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SET1A의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조절과 기전을 연구하였다. SET1A의 발현은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siRNA을 이용하여 SET1A의 발현을 감소시키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가 억제됨을 관찰하여 SET1A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조절기전을 알기 위해, SET1A의 발현을 감소시킨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증식을 측정한 결과, 분화 초기 단계인 분화 후 2일 동안 3T3-L1 지방세포의 증식이 감소하였다. 또한 분화 후 7일 동안 지방세포세포 분화 조절인자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SET1A의 발현을 감소시킨 3T3-L1 지방세포에서 $PPAR{\gamma}$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SET1A는 분화초기단계에서는 mitotic clonal expansion 단계를 촉진하고, 분화후기단계에서는 $PPAR{\gamma}$의 발현을 증가시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Methyl jasmonate가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l.)하배축 절편과 열매에서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 Jasmonate on Ethylene Producton i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Hypocotyl Segments and Fruits)

  • June Seung Lee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3호
    • /
    • pp.235-242
    • /
    • 1995
  • Effects of methyl jasmonate (MeJA) on ethylene production in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hypocotyl segments and fruits were studied. Ethylene production in tomato hypocotyl segments was inhibited by the increasing concentratons of MeJA, and 450 $\mu$M of MeJA showed 50% inhibitory effect. Time course data indicate that this inhibitory effect of MeJA appeared after 3 h of incubation period and continued until 24 h. Inhibition of ethylene producton by MeJA was due to the decrease in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ACC) synthase activity. However, MeJA treatment had no effect on ACC oxidase activity and the accumulaton of ACC oxidase mRNAs. MeJA also inhibited auxin-induced ethylene production by decreasing in ACC synthase activity. In contrast, MeJA stimulated ethylene production in tomato fruits. When 30 $\mu$L/mL MeJA was treated in a gaseous state, ethylene production doubled and this stimulating effect continued until 4 day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of MeJA on ethylene production, ACC synthase and ACC oxidase activities were examined after MeJA treatment. MeJA increased the activities of both ACC synthase and ACC oxidase, and induced ACC oxidase mRNA accumulation. These data suggest that MeJA plays distinct roles in the ethylene production in different tomato tissues. It is possible that MeJA affects differently the mechanisms of signal transuction leading to the ethylene biosynthesis.

  • PDF

(${\eta}^5-Cp^*$)(Ir-B3)(1,2-S,S($CH_2SiMe_3$)-o-carborane) ($C_{16}H_{35}B_{10}IrS_2Si$)의 합성 및 결정구조 (The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eta}^5-Cp^*$)(Ir-B3)(1,2-S,S($CH_2SiMe_3$)-o-carborane)($C_{16}H_{35}B_{10}IrS_2Si$))

  • 조성일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1-6
    • /
    • 2007
  • 유기금속 화합물 $C_{16}H_{35}B_{10}IrS_2Si$를 o-carborane으로 출발하여 $Cp^*Ir(S_2C_2B{10}H_{10})$을 합성하고, $Me_3SiCHN_2$를 가하여 합성하였다.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C_{16}H_{35}B_{10}IrS_2Si$ 화합물의 분자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화합물의 결정학적 자료는 monoclinic, space group $P2_1/n$, $a=10.1986(12)\;{\AA}$, $b=14.834(5)\;{\AA}$, $c=17.139\;{\AA}$, ${\beta}=92.24(2)^{\circ}$, Z=4, $V=2591.0(14)\;{\AA}^3$이다. 결정 구조는 직접법으로 해석하였으며, 완전행렬최소자승법을 정밀화 하였으며 5080개의 회절 반점에 대하여 최종 신뢰도 인자 R=0.053인 분자모형을 구하였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XXII. 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 뿌리로부터 인돌 화합물의 분리 및 hACAT 저해 활성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XII. Isolation of Indoles from the Roots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and their hACAT Inhibitory Activity)

  • 방면호;이대영;오영준;한민우;양혜정;정해곤;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65-69
    • /
    • 2008
  • 순무 뿌리로부터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를 여과, 감압 농축하여 MeOH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EtOAc 분획, n-BuOH분획, $H_2O$분획으로 나누었으며, EtOAc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3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1H-NMR$, $^{13}C-NMR$, DEPT 스펙트럼 및 Mass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caulilexin C (1), indoleacetonitrile (2) 및 arvelexin (3)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화합물 3는 순무에서는 이번에 처음 분리, 보고되었다. 또한 화합물 1, 2, 및 3은 100 ${\mu}g/ml$의 농도에서 hACATl의 활성을 각각 $54.6{\pm}6.0%$, $69.2{\pm}4.7%$$68.6{\pm}3.7%$ 억제하였고, hACAT2의 활성을 각각 $4.8{\pm}13.4%$, $45.6{\pm}4.8%$$39.5{\pm}4.3%$ 억제하였다.

출아효모에서 Paf1 복합체의 구성원들이 H3의 네번째 라이신의 메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f1 complex components on H3K4 methylation in budding yeast)

  • 오준수;이정신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87-494
    • /
    • 2016
  • 출아 효모에서의 Paf1 복합체는 총5개의 단백질로 구성되어있고, 구성성분들은 출아효모, 초파리, 식물들, 그리고 인간에 이르기까지 구조적으로, 기능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다. RNA 중합효소 II와 결합한 상태로 전사 개시부위부터 종결부위까지 함께 이동하며, 여러 전사인자들의 유입을 위한 매개체로 작용하여, 유전자 발현 조절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Paf1 복합체는 H2BK123 monoubiquitination에 기여하고, histone crosstalk에 의해 간접적으로 H3K4의 di-, tri-methylation에 기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지만, Paf1 복합체 구성요소들의 개별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연구가 되어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Paf1 복합체 구성요소들의 단일 결핍 돌연변이 균주를 만든 후, 이들의 H2BK123 monoubiquitination 및 H3K4 mono-, di-, tri-methylation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놀랍게도, ${\Delta}paf1$, ${\Delta}rtf1$, ${\Delta}ctr9$ 돌연변이 균주에서는 H2Bub에 영향을 받는 H3K4me2와 H3K4me3뿐 아니라, H2B monoubiquitination에 영향을 받지 않는 H3K4 monomethylation의 심각한 감소를 관찰했다. 그러나, methyl기 전달 효소인 Set1의 발현 정도는 이 돌연변이 균주들에서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af1 복합체가 Set1의 활성이나 Set1 복합체의 안정성을 직접 조절함으로써 H3K4 methylation을 조절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Eliminations from (E)-2,4-Dinitrobenzaldehyde O-Aryloximes Promoted by R3N in MeCN. Effects of β-Aryl Group and Base-Solvent on the Nitrile-Forming Transition-State

  • Cho, Bong-Rae;Ryu, Eun-Mi;Pyun, Sang-Y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9호
    • /
    • pp.2976-2980
    • /
    • 2012
  • Nitrile-forming eliminations from (E)-2,4-$(NO_2)_2C_6H_2CH=NOC_6H_4-2-X-4-NO_2$ (1a-e) promoted by $R_3N$ in MeCN have been studied kinetically. The reactions are second-order and exhibit Br$\ddot{o}$nsted ${\beta}$ = 0.83-1.0 and ${\mid}{\beta}_{lg}{\mid}$ = 0.41-0.46. The results have been interpreted in terms of highly E1cb-like transition state with extensive $C_{\beta}$-H bond cleavage and limited $N_{\alpha}$-OAr bond cleavage. Comparison with existing data reveals that the structure of the transition state changes from E2-central to highly E1cb-like either by the change of the ${\beta}$-aryl group from Ph to 2,4-dinitrophenyl under the same condition or by the base-solvent system variation from $EtO^-$-EtOH to $Et_3N$-MeCN for a given substrate (1a-e).

양성자 유발 감마선 발생법에 의한 경원소 분석 (Analysis of Light Elements by PIGE)

  • 김영석;최한우;김덕경;우형주;김낙배;박긍식
    • 분석과학
    • /
    • 제13권1호
    • /
    • pp.12-21
    • /
    • 2000
  • PIGE(양성자유발 감마선발생) 분석법을 이용하여 Li~K에 이르는 경원소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각 원소별로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지질 및 생체, 환경, 소재 등 다양한 시료를 시험분석하였다. 양성자 에너지 2.4 MeV와 3.4 MeV에 대하여 측정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다중원소 검출시 3.4 MeV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표준치와 최대 15%내로 일치하였다. 검출한계는 Li, B, F, Na의 경우 100 ppm 이내, 기타 원소들은 수백 ppm ~ 수%로 계산되었다.

  • PDF

침엽수와 활엽수 산림에서 산불 후 토양화학적 및 토양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f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Soils after Forest Fires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 김종갑;오기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1호
    • /
    • pp.1-7
    • /
    • 2001
  •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산불지역에서 토양환경의 회복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산불발생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토양화학적 성질과 토양미생물 변화를 조사하였다. 활엽수림인 삼신봉 지역 산화지에서의 산불직후 토양의 화학적 성질은 pH 5.8, 유기물량 7.42%, 전질소량 0.37%, 유효인산량 28.5 mg/kg, 치환성양이온인 $K^{+}$이 1.3 me/100g, $Ca^{++}$이 13.3 me/100g, $Mg^{++}$이 2.2 me/100g로 나타났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비산화지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폭이 적었다. 침엽수림인 촛대산 산불지역에서 산불직후 토양의 화학적 성질은 pH 5.3, 유기물량 6.42%, 전질소량 0.25%, 유효인산량 24.4 mg/kg, 치환성양이온인 $K^{+}$이 0.7 me/100g, $Ca^{++}$이 3.7 me/100g, $Mg^{++}$이 2.1 me/100g로 각각 나타났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역시 감소하는 경향 이었다. 활엽수림 인 삼신봉 산불지역의 토양미생물은 호기성균 291$\times$$10^4$ CFU균, 방선균 523$\times$$10^4$ CFU균, 진균 691$\times$$10^4$ CFU균으로 진균의 개체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비산불지역에서는 호기성균 160$\times$$10^4$ CFU균, 방선균 745$\times$$10^4$ CFU균, 진균 594$\times$$10^4$ CFU균으로 방선균의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다. 침엽수림인 촛대산 산불지역에서는 호기성균 350$\times$$10^4$ CFU균, 방선균 434$\times$$10^4$ CFU균, 진균 676$\times$$10^4$ CFU균으로 진균의 개체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비산불지역에서는 호기성균 328$\times$$10^4$ CFU균, 방선균 319$\times$$10^4$ CFU균, 진균 461$\times$$10^4$ CFU균으로 진균의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다. 토양미생물은 호기성균, 방선균, 진균 모두 비산불지역 보다 산불지역에서 많이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에서 호기성균은 활엽수림보다 침엽수림에서 많게 나타났으며, 방선균과 진균은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에서 많이 나타났다.

  • PDF

알칼리 리치움 몰리브덴산염과 알칼리 리치움 텅그스텐산염의 합성과 결정구조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s of Alkali Lithium Molybdates and Alkali Lithium Tungstates)

  • 정수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2-76
    • /
    • 1985
  • Single crystals of the compound MeI $(LiMoO_4)$ and $Me^I(LiWO_4)$ ($Me^I=K$, Rb, Cs) were synthesized by slow evaporation from aqueous solution and bycooling from melt. The compounds of potassium or rubidium are hygroscopic and they form easily hydrated crystals $Me^I LiMoO_4$.$H_2O$ or $Me^ILiMoO_4$.$H_2O$ or $Me^ILiWO_4$.$H_2O$ from aqueous solution. The structures of these hydrated crystals are each other isotypic and they are built up of distorted layers of $(LiMoO_5)$ or $(LiWO_5)$. There exist two types of tetrahedral framework structures in this group of anhydrous molybdates and tung-states ; tridymite-type and cristobalite-type. $KLiMoO_4$ and $KLiWO_4$ have two types of polymorphic structures where as only the cristobalite-type is found in the Rb-and Cs-compounds. The system $KLiSO_4-KLiMoO_4$ was studied. Two components are almost immiscible but there eixst a narrow area of solid solution on the side of sulfate in th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