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3

검색결과 60,684건 처리시간 0.071초

Synthesis of Alternating Head-to-Head Copolymer of Methyl $\alpha$-cyanoacrylate and 2,3-Dihydrofuran.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3-Methoxy-4-cyano-2,9-dioxabicyclo[4.3.0]non-3-ene

  • Lee, Ju-Yeon;Cho, I-Wh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3호
    • /
    • pp.176-179
    • /
    • 1988
  • 3-Methoxy-4-cyano-2,9-dioxabicyclo[4.3.0]non-3-e ne (1) was prepared by (4 + 2) cycloaddition reaction of methyl ${\alpha}$-cyanoacrylate with 2,3-dihydrofuran. Compound 1 was ring-open polymerized by cationic catalyst such as boron trifluoride etherate to obtain alternating head-to-head (H-H) copolymer (2) of methyl $\alpha$ -cyanoacrylate and 2,3-dihydrofuran. For comparison, head-to-tail (H-T) copolymer (3) was also prepared by free radical copolymerization of the corresponding monomers. The H-H copolymer exhibited minor differences in its $^1H$-NMR and IR spectra, but in the $^{13}C$-NMR spectr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H-H and H-T copolymers. All of the H-H and H-T copolymers were soluble in common solvents and the inherent viscosities were in the range 0.2-0.3 dl/g.

PTMSP/LDH 복합막의 탄화수소 기체투과 특성 (Hydrocarbon Gas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PTMSP/LDH Composite Membranes)

  • 정연임;이현경
    • 멤브레인
    • /
    • 제24권6호
    • /
    • pp.423-430
    • /
    • 2014
  • PTMSP[Poly(1-trimethylsilyl-1-propyne)]에 LDH (layered double hydroxide)의 함량을 0, 1, 3, 5 wt%로 달리하여 PTMSP/LDH 복합막을 제조하고, PTMSP/LDH 복합막의 LDH 함량에 따른 $H_2$, $N_2$, $CH_4$, $C_3H_8$, $n-C_4H_{10}$의 기체투과도와 선택도를 조사하였다. PTMSP/LDH 복합막의 LDH 함량이 0~5 wt%로 증가하면 $H_2$$N_2$의 투과도는 점차 감소하였고, $n-C_4H_{10}$의 투과도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CH_4$$C_3H_8$의 투과도는 0~3 wt% 범위에서는 감소하고 3~5 wt% 범위에서는 증가하였다. PTMSP/LDH 복합막의 LDH 함량이 5 wt%로 증가하면 $H_2$$N_2$에 대한 $H_2$, $N_2$, $CH_4$, $C_3H_8$, $n-C_4H_{10}$의 선택도는 점차 증가하였고, $CH_4$에 대한 $C_3H_8$$n-C_4H_{10}$의 선택도는 0~3 wt% 범위에서는 증가하고, 3~5 wt% 범위에서는 감소하였다. PTMSP/LDH 복합막의 $CH_4$$n-C_4H_{10}$의 투과도가 증가하면 $H_2$$N_2$에 대한 $CH_4$$n-C_4H_{10}$의 선택도는 증가하였고, $n-C_4H_{10}$의 투과도가 증가하면 $CH_4$에 대한 $n-C_4H_{10}$의 선택도는 $n-C_4H_{10}$의 투과도 182,000 barrer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C_3H_8$의 투과도가 증가하면 $H_2$$N_2$에 대한 $C_3H_8$의 선택도는 $C_3H_8$의 투과도 46,000~50,000 barrer 범위에서는 감소하고 50,000~52,300 barrer 범위에서 증가하였고 52,300~60,000 barrer 범위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C_3H_8$의 투과도가 증가하면 $CH_4$에 대한 $C_3H_8$의 선택도는 52,300 barrer까지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Nucleoside Analogues with Human Organic Anion Transporter 1 and 3

  • Choi, Jun-Shik;Cheon, Eun-Pa;Han, Hyo-Kyung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4호
    • /
    • pp.283-286
    • /
    • 2006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nucleoside analogs with human organic anion transporter 1 and 3(hOAT1 and hOAT3) that play a primary role in the tubular uptake of endogenous and exogenous organic anions in the kidney. The interactions of ddC, ara-C, ara-A and ara-U with hOAT1 and hOAT3 were examined using MDCK cells stably overexpressing hOAT1 or hOAT3. Among the tested drugs, ddC showed the highest affinity to hOAT1 with $IC_{50}$ values of 5.2 mM, while ara-A, ara-C and ara-U weakly inhibited the cellular uptake of $[^3H]-PAH$ in MDCK-hOAT1 cells at 1 mM. In contrast, all the tested drugs did not have any inhibition effect on the cellular uptake of $[^3H]-estrone$ sulfate in MDCK-hOAT3 cells over the drug concentration of 0.01-2 mM, implying that they might not interact with hOAT3. Taken all together,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hOAT1 could weakly interact with nucleoside analogues such as ddC, ara-C, ara-A and ara-U but the interaction with hOAT3 during the urinary excretion of these nucleoside analogues may be negligible in the kidney.

The Ir(PPh$_3)_2\;(CO)OClO_3\;and\;Ir(PPh_3)_3N_2Cl$ Mediated Activation of Aldehyde C-H Bonds via Chelate-Assisted Oxidative Addition

  • Ko, Jae-Jung;Joo, Wan-Chul;Kong, Young-K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5호
    • /
    • pp.338-341
    • /
    • 1986
  • Hydrocarbon solution of $Ir(PPh_3)_2(CO)OClO_3$ reacts with $Ph_2PC_6H_4$-o-CHO and 3-methyl-2-aminopyridinyl aldimine to yield ${\bar{Ir(Ph_2PC_6H_4-o-CO)}}\;(PPh_3)_2(CO)(H)ClO_4$(1) and ${\bar{Ir(NC_6H_6NC}}C_6H_5)(PPh_3)_2(CO)(H)ClO_4$(2), respectively. The compound $Ir(PPh_3)_2N_2Cl$ also reacts with $Ph_2PC_6H_4$-o-CHO and 3-methyl-2-aminopyridinyl aldimine to give ${\bar{Ir(Ph_2PC_6H_4-o-C}}O)(PPh_3)_2(H)Cl(3)$ and $Ir(NC_6H_5NCC_6H_5(PPh_3)_2(H)Cl(4)$, respectively. Compounds 1, 2, 3, and 4 were characterized by infrared, $^1H$ NMR, $^{31}p$ NMR, UV spectra, and conductivity measurements.

The [M(cod)(PPh$_3)_2] PF_6$ (M = Rh, Ir; cod = 1,5-cyclooctadiene) Mediated Activiation of Aldehyde C-H Bond

  • Ko, Jae-Jung;Joo, Wan-Chu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8권5호
    • /
    • pp.372-376
    • /
    • 1987
  • Acetone solution of quinoline-8-carbaldehyde reacts with $[Rh(cod)(PPh_3)_2] PF_6$and $[Ir(cod)(PPh_3)_2] PF_6$ to yield $[Rh(NC_9H_6CO)(H)(PPh_3)_2(CH_3COCH_3)] PF_6$ (1) and $[Ir(NC_9H_6CO)(H)(PPh_3)_2(CH_3COCH_3)] PF_6$ (2), respectively. The compound $[Ir(cod)(PPh_3)_2] PF_6$ also reacts with $Ph_2PC_6H_4-o-CHO$ in the acetone / $H_2O$ mixture to give $[Ir(Ph_2PC_6H_4-o-CO)(H)(PPh_3)_2(CH_3COCH_3)] PF_6$ (3). Compounds 1, 2, and 3 were characterized by infrared, $^1H$ NMR, $^{31}P$ NMR spectra and conductivity measurement. The $^1H$ NMR spectra of 1, 2, and 3 support the presence of a terminal hydride that is cis to the phosphine. The IR band of 3 at 2185 $cm^{-1}$, which is assigned to $\nu$(Ir-H), and the hydride cleavage reaction of 3 with $CCl_4$, provide evidence for the Ir-H bond.

다양한 산화반응을 조합한 고급산화공정의 아세트산 분해에 관한 연구 (Destruction of Acetic Acid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Oxidants by an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 권태옥;박보배;문장수;문일식
    • 공업화학
    • /
    • 제18권4호
    • /
    • pp.314-319
    • /
    • 2007
  • UV, $O_3$, $H_2O_2$, $Fe^{2+}$ 등의 산화반응을 조합한 고급산화 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을 이용하여 아세트산 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적용된 고급산화 공정은 $UV/H_2O_2$, $UV/H_2O_2/Fe^{2+}$, $O_3$, $O_3/H_2O_2$, $UV/O_3/H_2O_2$$UV/O_3/H_2O_2/Fe^{2+}$ 공정이었다. 낮은 pH (3.5)에서의 아세트산 분해율은 $UV/H_2O_2/Fe^{2+}$, $O_3/H_2O_2$, $UV/O_3/H_2O_2$$UV/O_3/H_2O_2/Fe^{2+}$ 공정은 비교적 높고, $UV/H_2O_2$$O_3$ 공정은 2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O_3/H_2O_2$, $UV/O_3/H_2O_2$ 공정의 아세트산 분해율은 반응시간 180 min까지 반응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UV/H_2O_2/Fe^{2+}$, $UV/O_3/H_2O_2/Fe^{2+}$ 공정에서는 반응시간 90 min까지 아세트산 분해율이 급격히 증가한 후 그 이후에는 분해율의 증가가 미미하였다. 고급산화 공정별 아세트산 분해율은$UV/H_2O_2/Fe^{2+}$ 공정은 55%, $O_3/H_2O_2$ 공정 및 $UV/O_3/H_2O_2$ 공정은 66%, $UV/O_3/H_2O_2/Fe^{2+}$ 공정은 64%이었다.

들깨종실단백질 중의 phytate 제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moval of Phytate from Korean Perilla (Perilla ocimoides, L.) Protein)

  • 박진희;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3-349
    • /
    • 1990
  • pH를 달리한 수용액 및 농도를 달리한 염류수용액에서 들깨종실의 단백질과 phytate의 용해도를 측정하여 단백질로부터 phytate를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검토하였다. 들깨종실단백질의 용해도는 pH4.0에서 가장 낮은 9.5%로 등전점을 보였고, 그보다 산성 또는 알칼리성쪽으로 갈수록 증가되었다. 반면에 phytate의 용해도는 pH5.0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보다 산성 또는 알칼리성쪽으로 갈수록 감소되었다. NaCl 수용액을 처리하였을 때 단백질의 용해도는 pH $3.0{\sim}4.0$ 범위에서 가장 낮았고 pH 6.0 이상에서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Phytate의 용해도는 pH$2.0{\sim}5.0$ 범위에서는 약 90%내외로 높았으나 pH6.0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Na_2SO_3$ 수용액처리에서는 단백질 용해도가 $pH2.0{\sim}3.0$ 범위에서 가장 낮았고 phytate의 용해도는 $pH5.0{\sim}6.0$에서 최대치를 보였고, 3%의 경우는 전 pH 구간에 걸쳐서 낮았으나 5%와 7%에서는 전 구간에서 높았다. $CaCl_2$ 수용액처리에서는 단백질 용해도가 3% 수용액에서는 전 pH 구간에서 낮았으나 5%와 7%에서는 $pH5.0{\sim}10.0$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phytate의 용해도는 $pH2.0{\sim}3.0$ 사이에서 최대값을 나타내고 pH4.0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3% NaCl 용액을 사용하여 pH9.0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고 pH4.0에서 침전시켰을 때 단백질 수율이 좋고 phytate 잔존량이 가장 적어, 저(低)phytate 분리단백질을 만드는 가장 좋은 조건이었다..

  • PDF

추출 pH가 분리대두단백질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xtraction pH on the Functionality of Soybean Protein Isolate)

  • 배송환;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7-56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산성(pH 2.0, 3.0), 중성(pH 7.0) 및 알칼리성(pH 10.0, 12.0)영역에서 각각 추출된 SPI들의 기능성을 상호비교하였다. pH 3.0에서 추출된 SPI의 단백질함량은 93.31%로 최고값을, pH 7.0에서 추출된 SPI의 단백질함량은 73.93%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pH 3.0에서 추출된 SPI의 추출수율은 0.36%로 최소값을, pH 12.0에서 추출된 SPI의 추출수율은 47.54%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SPI의 기능성(용해도, 수분흡수력, 유지흡수력, 기포형성력, 기포안정성, 유화형성력 및 겔형성력)은 대두단백질 추출시 추출용액의 pH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 pH 2.0과 3.0에서 추출된 SPI의 용해도는 산성영역에서 크게 나타났고 pH 3.0과 7.0에서 추출된 SPI는 중성 영역에서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나 pH 2.0, 3.0, 7.0, 10.0 및 12.0에서 추출된 SPI는 모두 알칼리성 영역(pH 9.0-10.0)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H 2.0과 pH 12.0에서 추출된 SPI의 수분흡수력, 유지흡수력, 기포형성력 및 기포안정성은 다른 pH에서 추출된 SPI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유화력의 경우 추출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유화력이 증가하였다.

  • PDF

($C_6CH_2NH_3)_2CUCl_4와 \;(NH_3C_6C_4C_2H_4C_6NH_3)CUCl_4$의 합성과 구조 (Synthesis and structure of ($C_6CH_2NH_3)_2CUCl_4and \;(NH_3C_6C_4C_2H_4C_6NH_3)CUCl_4$)

  • 김지현;권석순;현준원;허영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35-139
    • /
    • 2004
  • 층상 구조인 유기-무기 혼성 화합물인 ($C_6H_5CH_2NH_3)_2CuCl_4$ 와($NH_3C_6/H_4C_2H_4_6/H_4NH_3)CuCl_4$를 직접 합성하였다. X-선 회절 데이터와 유기분자의 길이로부터 층간 삽입된 유기화합물인 아민의 배열을 결정하였다. 무기화합물 층은 정육면체 구석을 공유하고 있는 염화구리의 $CuCl_4^{2-}$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C_6/H_5/CH_2NH_3)_2CuCl_4$의 경우는 양성자화 된 유기화합물 아민이 $CuCl_4^{2-}$ 층 안에 이중 층 구조로 삽입되어 있고, ($NH_3C_6/H_4C_2H_4C_6H_4NH_3)CuCl_4$의 경우는 단일 층 구조로 삽입되어있다.

마우스 선조체에서 Opioid 수용체 결합에 대한 Neuroleptics의 영향 (Effects of Neuroleptics on the Opioid Receptor Binding in the Mouse Striatum)

  • 김수경;이성룡;박창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1-297
    • /
    • 1994
  • 이 연구에서는 선조체에서 opioid 신경계와 dopamine 신경계의 상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morphine을 5m/kg, 20 mg/kg로 10일간 복강내 투여한 후 chlorpromazine, thioridazine, haloperidol, sulpiride, pimozide를 투여하였다. Opioid ${\mu},\;{\delta},\;{\kappa}$ 수용체의 binding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3H]\;DAGO$, $[^3H]\;DPDPE$, 및 $[^3H]\;DPN$ binding assay를 하였으며, 그 결과 morphine (20 mg/kg) 장기 투여된 실험군에서 $[^3H]\;DAGO$, $[^3H]\;DPDPE$, 및 $[^3H]\;DPN$ 결합이 감소되었다. Morphine 20 mg/kg 장기 투여군에 chlorpromazine, thioridazine 주사시에는 morphine 5mg/kg 투여군에 비하여 $[^3H]\;DAGO$ 결합의 감소와, $[^3H]\;DPDPE$, 및 $[^3H]\;DPN$ 결합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haloperidol 주사군은 $[^3H]\;DAGO$, $[^3H]\;DPN$ 결합의 감소, 및 $[^3H]\;DPDPE$ 결합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Sulpiride, pimozide 주사군은 morphine 5 m/kg 투여군에 비하여 20m/kg 투여군에서 $[^3H]\;DAGO$, $[^3H]\;DPDPE$, 및 $[^3H]\;DPN$ 결합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각 약물간의 opioid 결합에 대한 차이점은 있었으나, morphine 5mg/kg 투여군보다 20m/kg 투여군에서 $[^3H]\;DPDPE$$[^3H]\;DPN$의 결합이 증가의 경향을 보임으로써, 다량의 morphine을 투여했을 때 ${\mu}\;opioid$ 수용체에 비하여 ${\delta}${\kappa}\;opioid$ 수용체가 더 활성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