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157 cell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4초

Recombination and Expression of eaeA Gene in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 Kim, Hong;Kim, Jong-B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07-113
    • /
    • 2002
  •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strains of serotype O157:H7 have been shown to colonize the intestinal epithelial cell by the attaching and effacing (AE) mechanism. The AE lesion is mediated by an intimin, of which production and expression are controlled by a 3-Kb eaeA gene located EHEC chromosomal DNA. If the eaeA gene is mutated, EHEC O157:H7 strains lose capacity of adhesion to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 this study, a 891 bp of the 3'-end region of a gamma intimin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PCR product was inserted into pSTBlue-1 cloning vector and transformed into DE3 (BL21) competent cell. After plasmid mini-preparation and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of eaeA/891-pSTBlue-1 vector, target eaeA gene was re-inserted into pET-28a expression vector and was transformed. Then the expression of recombinant eaeA/891 (891 bp) gene was induced by isopropyl-$\beta$-D-thiogalactopyranoside (IPTG). The expression of the 40-KDa recombinant protein was identified in SDS-PAGE and confirmed by immunoblotting using the His.Tag$^{\circledR}$ and T$_{7}$.Tag$^{\circledR}$ monoclonal antibody. This recombinant protein expressed by eaeA gene could be applied in further studies on the mechanisms of E. coli O157:H7 inf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combinant vaccine.

  • PDF

전자선 조사에 의한 동결육에 오염된 Escherichia coli O157:H7 의 제거 (Elimin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Contaminated in Frozen Beef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권오진;양재승;임성일;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71-775
    • /
    • 1997
  • 본 연구는 병원성 Escherichia coli O157:H7 균주에 의한 식중독을 미연에 예방하고자 우육에 본 균주를 오염, 동결시켜 전자선에 의한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37^{\circ}C$에서는 배양 16시간째에 최대균수를 나타내었고 $4^{\circ}C$에서는 균주의 증식이 거의 없었다. E. coli O157:H7 균주는 대수기나 정지기 모두가 $0^{\circ}C$ (chilled)와 $-18^{\circ}C$ (frozen)에서 배양시 약 $10^{7}\;CFU/mL$의 균수를 나타내었고 $-18^{\circ}C$에서는 $20^{\circ}C$ 보다 균주의 사멸율이 높았다. 동결육에 오염된 E. coli O157:H7 균주의 방사선 감수성은 $D_{(10)}$ 값이 0.45 kGy, 불활성화계수가 $3{\sim}5\;kGy$에서 $6.67{\sim}11.11$로 각각 나타났다. 본 결과로서 전자선 조사는 동결육에 오염된 E. coli O157:H7 균주의 제거방법으로 매우 효과가 있었다.

  • PDF

폐 상피세포에서 NF-${\kappa}B/I{\kappa}B$ 경로에 의한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Through NF-${\kappa}B/I{\kappa}B$ Pathway in Lung Epithelial Cells)

  • 박계영;이승희;황보빈;임재준;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332-342
    • /
    • 2000
  • 연구배경 :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은 염증성 폐질환의 중요한 매개물질이다. 폐 상피세포는 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interleukin, chemokines, colony stimulating factors와 growth factor등을 생산 및 분비함으로써 국소 염증 부위에서의 사이토카인 network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폐 상피세포에서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 기전에 대한 이해는 염증성 폐질환의 기전규명과 이에 기초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에 생각된다. 대부분의 사이토카인은 NF-${\kappa}B$전사인자에 의해 발현되는데 폐 상피세포에서 염증매개 사이토키인의 발현과 NF-${\kappa}B/I{\kappa}B$ 경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방법 : BEAS-2B, A549, NCI-H157, NCI-H719 세포에서 IL-1$\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IL-8과 TNF-$\alpha$ mRNA의 발현 양상을 평가하였고 이들의 발현과 관찰하였고 NF-${\kappa}B/I{\kappa}B$ 경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IL-l$\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 및 $I{\kappa}B{\alpha}$$I{\kappa}B{\beta}$의 분해 양상을 관찰하였다. 폐 상피세포의 종류에 따른 NF-${\kappa}B/I{\kappa}B$ 경로 조절의 기전을 규명하고자 IL-1$\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I{\kappa}B{\alpha}$의 인산화와 기저상태에서 IKK$\alpha$의 발현을 평가하였다. 결과 : BEAS-2B, A549, NCI-H157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I{\kappa}B{\alpha}$$I{\kappa}B{\beta}$가 분해되었고 NF-${\kappa}B$의 활성화가 관찰되었으며 IL-8과 TNF-$\alpha$mRNA의 발현이 유도되었다. NCI-H719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I{\kappa}B$ 분해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 및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BEAS-2B, A549, NCI-H157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kappa}B$의 인산화가 관찰되었지만 NCI-H719 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기저상태의 IKK$\alpha$ 발현은 세포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폐 상피세포에서 NF-${\kappa}B/I{\kappa}B$ 경로는 염증매개 사이토카인 발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일부 세포에서는 NF-${\kappa}B/I{\kappa}B$ 경로 조절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IKK보다 상위 단계의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의 이상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양배추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의 저해 및 화학적 손상세포 생성에 있어서의 화학적 살균소독제의 효과 (Efficacy of Chemical Sanitizers in Reducing Levels of Foodborne Pathogens and Formation of Chemically Injured Cells on Cabbage)

  • 최미란;오세욱;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37-1342
    • /
    • 2008
  • 이산화염소는 식품과 식품가공을 위한 시설 및 설비 등을 살균소독 하는데 상업적 염소소독제보다 효과적이므로 새로운 살균소독처리 방법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배추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을 감소시키기 위해 액체형태의 상업적 염소소독제와 이산화염소를 농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하였고, 살균소독을 실시했을 때 형성될 수 있는 화학적 손상세포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업적 염소소독제보다 이산화염소에서 세 가지의 병원성미생물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200 ppm 이산화염소로 10분 동안 처리했을 때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에 대해 각각 1.98, 1.91, 1.92 log 감소수준을 나타내 모든 처리 구간 중에서 가장 높은 살균소독력을 나타냈다. 또한 세 가지 병원성 미생물 모두 처리시간보다 처리농도의 차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세 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상업적 염소소독제와 이산화염소는 화학적 손상세포를 형성하지 않았다. 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업적 염소계소독제 처리방법에 비하여 이산화염소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이산화염소 응용 시에 처리시간보다 처리농도를 높이는 방법이 병원성 미생물을 저해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산화염소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해효과는 미생물 및 오염된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1299 인체폐암세포주에서 활성산소종 생성에 의한 황기와 사삼의 항암 시너지 작용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Contributes to the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and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n H1299 Human Lung Carcinoma Cells)

  • 민태린;박현지;박신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7-164
    • /
    • 201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the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AM) and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AT) in H1299 human lung carcinoma cells. A combined treatment of ethanol extract of AM (EAM) and AT (EAT) explosively increased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 H1299 cells compared to the single treatment of each of them. Co-treatment of N-acetyl-L-cysteine (NAC) with EAM and EAT markedly enhanced the cell viability and suppressed apoptosis in H1299 cells, suggesting that ROS generation contributed to the anticancer effect of EAM and EAT. Interestingly, the combined treatment of EAM and EAT down-regulated p-AKT in H1299 cells, which was abrogated by NAC treatment.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ROS generation mediated the inactivation of AKT. Co-treatment of LY294002 with EAM and EAT significantly reduced the cell viability at a concentration which EAM and EAT didn't show any cytotoxicity. In addition, the recovery of cell viability by co-treatment of NAC with EAM and EAT was quite reversed by LY294002 treatment, which confirmed that the inactivation of AKT played a pivotal role in ROS-mediated apoptosis.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of EAM and EAT was mediated by ROS generation and inactivation of AKT. We provide a valuable preclin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combination of AM and AT to treat lung cancer.

Detection of viability Change of Escherichia coli O157:H7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 박광원;이우창;이원홍;최정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635-638
    • /
    • 2003
  • For the acute assessment on biological toxicity of wastewater, surface plasmon resonance(SPR) based cell viability detection was performed using gold surface-confined cell as a result of adhesion-modifying chemicals. Escherichia coli O157:H7 (E. coli O157:H7) was investigated after exposure to EDTA. Cells were immobilized on gold coated slide glass for SPR analysis by the method of cross-linking carboxyl group on the bacterial surface with amine group of poly-L-lysine that had been coupled to the gold surface modified by a self-assembled monolayer of 11-mercaptounde canoic acid (11-(MUA)). Reflective intensity of each flow step was changed with respect to confect of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disodium salt and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solution. The proposed detection technique can be used for biological toxicity test.

  • PDF

양상추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Chlorine Dioxide 및 상업적 Chlorine 살균소독제의 저해효과 평가 (Inhibitory Effects of Chlorine Dioxide and a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Against Foodborne Pathogens on Lettuce)

  • 최미란;이선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5-451
    • /
    • 2008
  •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chlorine dioxide and a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for inhibiting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O157 : H7, on lettuce leaves. The lettuce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each cocktail of the three strains, and were then treated with chemical sanitizers [distilled water, 100 ppm commercial chlorine and 50 ppm, 100 ppm, 200 ppm chlorine dioxide ($ClO_2$)] for 1 min, 5 min, and 10 min at room temperature($22{\pm}2^{\circ}C$). Following inoculation of the leaves, initial populations of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were approximately 5.54, 4.47, and 5.12 log CFU/g, respectively thes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treatment with water,whereas the 100 ppm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treatment and $ClO_2$ (at all tested concentrations) were effective at reducing levels of all three pathogens. The treatment of 200 ppm $ClO_2$ for 10 min was most effective at inhibiting the three pathogens, and reduction levels of E. coli O157 : H7,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were 2.28, 1.95, 1.76 log,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ClO_2$ increased with increasing treatment concentration of $ClO_2$,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reatment times. When chemically injured cells of E. coli O157 : H7 and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were examined by SPRAB and selective overlay methods,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that the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generated greater numbers of injured L. monocytogenes than the $ClO_2$ treatment. From the overall results, $ClO_2$ was more effective at inhibiting pathogenic bacteria compared to the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therefore, it has potential to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sanitizer to increase the microbial safety of fresh produce.

Capsaicin-induced apoptosis in H-ras MCF10A cells involves activation of MAPkinases

  • Kang, Hye-Jung;Yunjo Soh;Lee, Eun-Jung;Kim, Mi-Sung;Surh, Young-Joon;Aree Moo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Signal transduction in Toxicology
    • /
    • pp.157-157
    • /
    • 2001
  • Capsaicin (8-methyl-N-vanillyl-6-nonenamide), the principal pugent ingredient found in hot red pepper, has been recently known to have anticarcinogenic or chemopreventive properties. In the previous study, we showed that capsaicin selectively induces apoptosis in H-ras MCF10A cells.(omitted)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장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력 및 장 출혈성 대장균의 부착 억제 능력 (Adhesion Ability and Inhibition of Enterohemorrhagic E. coli O157:H7 Adhesion to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 Lactobacillus acidophilus)

  • 김영훈;박순옥;한경식;오세종;유승권;김세헌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1
    • /
    • 2004
  •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건강증진과 관련된 많은 probiotics 균주들의 선별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L. acidophilus를 포함하는 probiotics 중 장 상피세포에 부착력이 우수한 균종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은 병원성 미생물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HT-29 cell을 대상으로 다양한 근원으로부터 분리된 L. acidophilus의 부착능력을 측정하였다. 부착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된 LGG를 대조구로 부착능력을 평가하였을 때 5종의 L. acidophilus 모두 LGG와 유사한 부착능력을 나타내었으며 L. acidophilus A4의 경우 가장 높은 1.2${\times}$$10^{7}$ cfu/ml의 부착능력을 보였다. 따라서 장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력이 host에 대한 특이성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부착된 유산균을 3분씩 3회 연속 wash-out을 실시하였을 때 모두 $10^{5}$ cfu/mL 이상의 부착능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probiotics의 부착능력과 세포표면 소수성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였을 때 어떠한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사용된 5종의 L. acidophilus의 경우 세포표면 소수성에 의해 부착능력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작에 의해 부착능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5종의 L. acidophilus를 대상으로 EHEC ATCC 43889의 장 상피세포 부착억제능력을 측정하였을 때 5종 모두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EHEC의 부착을 2 log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는 일부 유산균주의 부착능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유산균이 생성하는 발효산물이나 세포표면 단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