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264 S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1초

광나무 열매 발효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or Extract of Fermented Ligustrum japonicum Fruits)

  • 김정은;김소희;김미애;고미선;신찬성;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7-12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열매 발효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비발효 추출물과 비교 분석하였다. 광나무 열매의 발효는 제주 자리돔(Chromis notata) 내장에서 분리한 Latilactobacillus curvatus (L. curvatus) 및 Weisella minor (W. minor) 균주를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발효 추출물(LJF-LC 및 LJF-WM)의 수율은 40.5 ~ 46.0%로 비발효 추출물(LJF)의 29.5% 보다 높게 나타났다. Lipopolysaccaride(LPS)로 자극된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활성 실험 결과, 발효 추출물인 LJF-WM이 세포 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 결과, 발효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비발효 추출물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발효 추출물 LJF-WM은 과산화수소(H2O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다. 광나무 열매의 주성분인 salidroside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발효 추출물 LJF-LC에서 15.6 mg/g, LJF-WM에서 13.9 mg/g으로 확인되어 비발효 추출물(12.0 mg/g) 보다 함유량이 높게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나무 열매 발효 추출물은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백산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dum palustre L.)

  • 김세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025-10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백산차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추출방법을 달리한 4가지 추출물인 열수추출물(LPW), 고온가압추출물(LPA), 초음파추출물(LPU), 70% 에탄올 추출물추출(LPE)과 LPE에 대한 4가지 용매 층 분획물인 n-hexane 층(LPE/H), ethyl acetate 층(LPE/E), n-butanol 층(LPE/B), water 층(LPE/W) 분획물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백산차 추출물의 항염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LPS로 자극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PE와 LPE/H, LPE/E, LPE/B, LPE/W의 NO, $PGE_2$,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LPE가 $1,0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2.3%와 99.8%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PE/E의 경우 $1,0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91.8%와 99.6%의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 활성 확인을 위하여 먼저 MTT assay를 수행하였으며 $25{\mu}g/mL$ 농도에서 LPE와 LPE/E 모두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이 확인되었다. NO와 $PGE_2$의 생성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 LPE와 LPE/E에서 높은 NO와 $PGE_2$ 저해 활성을 확인 하였다. LPE는 $25{\mu}g/mL$의 농도에서 각각 50%와 70%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LPE/E는 같은 농도에서 각각 57%와 73%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LPE 및 LPE/E의 농도의존적인 저해 활성을 확인 하였으며 LPE가 $25{\mu}g/mL$의 농도에서 각각 24%, 47%, 40%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LPE/E는 같은 농도에서 각각 51%, 57%, 62%의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1,000{\mu}g/mL$ 농도의 LPE 및 LPE/E는 비타민C와 유사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며 비교적 낮은 농도인, $25{\mu}g/mL$ 농도에서도 높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추후 항노화, 항균, 미백 활성 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 진행이 이루어진다면 백산차추출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기능성 식품, 화장품 분야 등에서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식용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 최세진;이연실;김진경;김진규;임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087-1096
    • /
    • 2010
  • 본 연구는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지는 버섯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버섯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polyphenol, $\beta$-glucan)과 저분자 및 고분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 면역증강 및 항염증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수율은 식용버섯이 약용버섯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beta$-glucan의 함량은 표고버섯(33.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olyphenol 함량은 약용버섯인 상황버섯(LMW)이 233.23 mg/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애느타리버섯(LMW) 12.18 mg/g, 송이버섯(LMW) 11.72 mg/g 순으로 확인되었다.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는 ascorbic acid 0.5 mg/mL에서 95.91%의 저해율을 나타낸 것에 비하여 상황버섯(LMW, 10 mg/mL)이 80.74%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에서는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의 감소에 따라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상황버섯(LMW)이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능력 측정에서 phenol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약용버섯으로 사용되는 상황버섯이 식용버섯(송이버섯, 새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애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보다 LMW 분획에서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혈전용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대부분의 LMW 분획물들은 혈전용해 활성을 갖지 않았으며, 송이 버섯(HMW, 50 mg/mL)이 60.4%의 가장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W 264.7 cell을 이용한 대식세포 활성능(NO 생성)을 측정한 결과 LMW 분획에서는 대식세포 활성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조군인 LPS 500 ng/mL를 첨가한 상태에서 $32.9\;{\mu}M$의 NO를 생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표고버섯(HMW, $500\;{\mu}g/mL$) $39.86\;{\mu}M$, 송이버섯 $35.17\;{\mu}M$의 NO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약용버섯인 상황버섯(HMW)은 NO 생성능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RAW 264.7 cell로부터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LMW) $500\;{\mu}g/mL$의 농도에서 NO의 생성을 100% 저해하였고, 새송이버섯(LMW)은 $50\;{\mu}g/mL$에서 58.14%, $500\;{\mu}g/mL$에서 67.7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henol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상황버섯(LMW)은 일반적인 식용버섯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혈전용해능력(송이버섯, I)과 면역증강(표고버섯, VII) 그리고 항염증(새송이버섯, II)에서는 식용버섯의 HMW 분획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omparing Bioavailability of Cadmium and Arsenic in Agricultural Soil Under Varied pH Condition

  • Oh, Se Jin;Kim, Sung Chul;Ok, Yong Sik;Oh, Seung Min;Lee, Bup Yeol;Lee, Sang Hwan;Yang, Jae 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7-63
    • /
    • 2015
  • Bioavailability of cadmium (Cd) and arsenic (A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soil pH. For this reason,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bioavailability of Cd and As in agricultural field under varied soil pH and different extractants. Bioavailable fraction of Cd and As in soil was extracted with $CaCl_2$, $NaNO_3$, DTPA, EDTA, and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acids (LMWOAs). Soil samples and cultivated crops were collected at the range of soil pH 4.5-8.5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bioavailable fraction of Cd and As in soil and total concentration of Cd and As in crops. Results showed that concentration of Cd and As in acidic soil was ranged $0.002-0.462mg\;kg^{-1}$ and $0.041-4.903mg\;kg^{-1}$ respectively. In alkaline condition, concentration of Cd and As were ranged $0.006-0.351mg\;kg^{-1}$ and $0.039-2.807mg\;kg^{-1}$ respectively. Comparing bioavailable fraction of Cd and As in acidic and alkaline soil condition, higher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acidic condition. Similarly, higher average concentration of Cd and Asin crops was observed in acidic condition (0.398 and $0.751mg\;kg^{-1}$ respectively) than alkaline condition (0.248 and $0.264mg\;kg^{-1}$). Among different extractants, LMWOAs method showed higher correlation ($r^2=0.545$) for Cd in acidic condition indicating that LMWOAs method could be applied for evaluating bioavailability of Cd in acidic soil. However, no high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As in both acidic and alkaline condition. Overall, bioavailable fraction of Cd and As can be higher in acidic condition of soil than alkaline condition resulting higher uptake of Cd and As from soil to crops. Therefore, efficient best management practice (BMPs) for Cd and As in acidic soil should be conducted for minimizing uptake of Cd and As into crops.

금은화 수용성 추출물의 LPS 유도 염증매개물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Lonicera japonica Flower on LPS-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 264.7 Macrophages.)

  • 윤용갑;김규민;이성준;유승훈;장선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7-125
    • /
    • 2007
  • Objective : Lonicera japonica (Caprifoliaceae) has long been used for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in oriental countr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ive the effect by which the aqueous extract from flower of L. japonica (LJFAE) inhibited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in murine macrophages, RAW 264.7 cells Methods : The dried flowers of L. japonica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t $100^{\circ}C$ for 7 h. The extract was filtered through 0.45 ${\mu}m$ filter, freeze-dried. The dried extract was dissolved in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and filtered through 0.22 ${\mu}m$ filter before use. Accumulated nitrite, an oxidative product of nitric oxide (NO), was measured in the culture medium by the Griess reaction. The levels of prostaglandin E2 (PGE2),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L-6 producti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LJFAE (10-400 ${\mu}g$/ml) per se had no cytotoxic effect in unstimulated macrophages, but LJFAE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ed NO, PGE2, TNF-, IL-l, and IL-6 production and COX-2 activity caused by stimulation of LPS. The levels of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s were markedly suppressed by the treatment with LJFA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JFAE suppress the NO and PGE2production in macrophages by inhibiting iNOS and COX-2 expression and these properties may contribute to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onicera japonica.

  • PDF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의 실시간 스케일러빌리티 변환 (Dynamic Full-Scalability-Conversion in SVC)

  • 이동수;배태면;노용만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3권6호
    • /
    • pp.60-70
    • /
    • 2006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비디오 적응 변환을 위하여 현재 MPEG-4 AVC/SE SVC에서는 공간적, 시간적, 품질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스케일러빌리티의 변환은 가변적인 대역폭을 가지는 네트워크 특성에 따라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SVC에서는 품질적 스케일러빌리티에 대해서는 실시간으로 스케일러빌리티를 변환할 수 잇지만 공간적, 시간적 스케일러빌리티에 대해서는 이를 제대로 지원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자세히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부호시에는 주기적으로 IDR NAL을 삽입하였다. 추출시에는 실시간 추출에 필요한 정보들을 미리 분석한 후 실제 추출시에 활용하여 실시간 추출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복호시에는 실시간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정의하였다. 이를 JSVM4.0에 구현하였고 주어진 네트워크 대역폭에 스케일러빌리티를 통하여 적응된 비트스트림의 비트레이트, PSNR, 스케일러빌리티를 측정하여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The PKA/CREB Pathway Is Closely Involved in VEGF Expression in Mouse Macrophages

  • Jeon, Seong-Hyun;Chae, Byung-Chul;Kim, Hyun-A;Seo, Goo-Young;Seo, Dong-Wan;Chun, Gie-Taek;Yie, Se-Won;Eom, Seok-Hyun;Kim, Pyeung-Hye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1호
    • /
    • pp.23-29
    • /
    • 2007
  • Cyclic AMP-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ngi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role of CREB in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by mouse macrophages. Over-expression of CREB increased VEGF secretion by cells of the RAW264.7 mouse macrophage cell line. It also increased the promoter activity of a mouse reporter driven by the VEGF promoter, while a dominant negative CREB (DN-CREB) abrogated the activity, suggesting that CREB mediates VEGF transcription. Forskolin, an adenylyl cyclase activator, stimulated VEGF transcription, and the PKA inhibitor H89 abolished this effect. IFN-${\gamma}$, a potent cytokine, stimulated VEGF expression only in part through the PKA-CREB pathw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KA phosphorylates CREB and so induces VEGF gene expression. An analysis of mutant promoters revealed that one of the putative CREB responsive elements (CREs), at -399 ~ -388 in the promoter, is critical for CREB-mediated VEGF promoter activity,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CRE was confirmed by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assays.

스케일러블 동영상 부호화를 위한 적응적 GOP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aptive GOP Structure for SVC)

  • 정세윤;박민우;박광훈;김규헌;홍진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통권29호
    • /
    • pp.463-47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JVT에서 표준화가 진행중인 스케일러블 동영상 부호화의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영상 시퀀스의 시간적변환 특성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GOP의 크기를 선택하여 부호화를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SVC에서는 한 영상 시퀀스에 대해서 GOP의 크기를 고정하여 부호화를 하는데, GOP의 크기와 영상 시퀀스의 시간적 특성에 따라 부호화 효율이 변하게 된다. 이에 비디오 시퀀스의 지역적인 시간적 특성에 따라 GOP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가변 하여 부호화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적응적 GOP 구조 (Adaptive GOP Structure) 부호화 방법의 부호화 효율이 개선되었으며, Crew 시퀀스에서는 0.63dB 가 향상되었다.

오미자 추출물의 Schizandrin 함량 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 (Analysis of Schizandrin Content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 이정호;정경옥;임소연;진다몬;이세원;임정묵
    • 생약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13-225
    • /
    • 2022
  • Schisandra chinensis is widely known to regulate fatigue recovery, lowering blood pressure, and contains several bioactive compounds such as schizadran. In this study, we obtain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 by measuring the schizandrin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ctivity, and enzyme activity of the hot water extract (SCW) and 40% ethanol extract (SCE) of S. chinensis grown in Sunchang-gun, Korea. Schizandrin content was measured as 7.87 ± 0.01 mg/g for SCW and 10.38 ± 0.05 mg/g for SCE. SCE had higher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SCW, an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also higher. Both SCW and SCE (500 ㎍/mL) exhibited more than 55%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 lines. Anti-inflammatory efficacy was assessed using RAW 264.7 and Caco-2 cells and both SCW and SCE do not have cytotoxic effects. Anti-inflammatory results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NO activity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IL-6) inhibiti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dose concentrations of SCW and SCE, and the MIC was 25 mg/mL for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 and 75 mg/mL for H. pylori. In addition, amylase and protease enzyme activity was observed in both SCW and SCE.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Priming of Mesenchymal Stem Cells Ameliorate Acute Lung Injury by Inducing Regulatory T Cells

  • Jooyeon Lee;Jimin Jang;Sang-Ryul Cha;Se Bi Lee;Seok-Ho Hong;Han-Sol Bae;Young Jin Lee;Se-Ran Yang
    • IMMUNE NETWORK
    • /
    • 제23권6호
    • /
    • pp.48.1-48.21
    • /
    • 2023
  • Mesenchymal stromal/stem cells (MSCs) possess immunoregulatory properties and their regulatory functions represent a potential therapy for acute lung injury (ALI). However, uncertainties remain with respect to defining MSCs-derived immunomodulatory pathway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enhanced effect of human recombinant bone morphogenic protein-2 (rhBMP-2) primed ES-MSCs (MSCBMP2) in promoting Tregs in ALI mice. MSC were preconditioned with 100 ng/ml rhBMP-2 for 24 h, and then administrated to mice by intravenous injection after intratracheal injection of 1 mg/kg LPS. Treating MSCs with rhBMP-2 significantly increased cellular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nd cytokines array reveled that cytokines release by MSCBMP2 were associated with migration and growth. MSCBMP2 ameliorated LPS induced lung injury and reduced myeloperoxidase activity and permeability in mice exposed to LPS.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were decreased while levels of total glutathion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ere further increased via inhibition of phosphorylated STAT1 in ALI mice treated with MSCBMP2. MSCBMP2 treatment increased the protein level of IDO1, indicating an increase in Treg cells, and Foxp3+CD25+ Treg of CD4+ cells were further increased in ALI mice treated with MSCBMP2. In co-culture assays with MSCs and RAW264.7 cells, the protein level of IDO1 was further induced in MSCBMP2. Additionally, cytokine release of IL-10 was enhanced while both IL-6 and TNF-α were further inhibited.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SCBMP2 has therapeutic potential to reduce massive inflammation of respiratory diseases by promoting Treg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