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R diagram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64초

AZ31 합금 판재의 변형모드에 따른 성형한계에 관한 연구 (Forming Limits Diagram of AZ31 Alloy Sheet with the Deformation Mode)

  • 정진호;이영선;권용남;이정환
    • 소성∙가공
    • /
    • 제17권7호
    • /
    • pp.473-480
    • /
    • 2008
  • Sheet metal forming of Mg alloy is usually performed at elevated temperature because of the low formability at room temperature. Therefore, strain rates affected with the forming temperature and speed must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 about formability. Effects of process parameters such as various temperatures and forming speeds were investigated in circular cup deep drawing.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known that LDR (Limit Drawing Ratio) increase as the strain rate increase. On the contrary, the FLD (Forming Limit Diagram) shows lower value as faster strain rate. Therefore, anisotropy values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strain rates at each forming temperature. R-values also represent higher value as faster strain rate. It is known that the formability can be different with the deformation mode on warm forming of AZ31 alloy sheet.

A Modified H-R Diagram Activity to Introduce the Nature of Science

  • Lee, Eun-Ah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9-33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dification of activities to introduce the nature of science in earth science classrooms. A small modification can turn ordinary textbook activities into the nature of science activities. Since earth science could provide a good basis for the tentative, creative, and socially and culturally embedded nature of science, as well as appropriate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methods, careful modification of earth science activities could be effective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cience. Considering which aspects of the nature of science are appropriate, along with the possible change in the activity, teachers will be able to modify textbook activities effectively. An example modification of H-R diagram activity was also suggested.

H-R DIAGRAM FOR NEARBY HIGH-VELOCITY STARS

  • Lee, Sang-Gak
    • 천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3-30
    • /
    • 1983
  • About two hundred stars within 50 pc from the sun, whose tangential velocity larger than 100 km/sec, have been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proper motions and trigonometric parallaxes. A list of them along with their photoelectric UBV data and spectral types is given. The criterion on the tangential velocity, $v_t$ > 132 km/sec, was adopted for selection of high-velocity stars. The H-R diagram of these nearby high-velocity stars resembles that of a globular cluster, with the turnoff around $B-V{\approx}0.35$ and $M_v{\approx}4.0$, and the subdwarfs among these high-velocity stars are fainter than the main-sequence stars of Hyades by the amount of $1^m.25{\pm}0^m.30$ in the region with B-V < 1.40 on the average.

  • PDF

현직 및 예비 지구과학교사의 '별의 진화'에 대한 개념 이해 분석 (Analysis of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bout 'Stellar Evolution')

  • 하민경;손정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38-547
    • /
    • 2019
  • 본 연구는 현직 및 예비 지구과학교사의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개념 이해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개념 지위 분석틀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해 가능성 영역에서 현직교사의 비과학적 용어 사용이 다수 발견되었고, 그래프작성에서 낮은 과학적 탐구 능력과 개념에 대한 비과학적 비유가 발견되어 교수 과정에서 잘못된 개념 전달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예비교사는 중등교육과정 연계 문항에서 다수의 오류를 보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이 더 잘 될 수 있도록 예비교사 교육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개연성 영역에서, 두 집단 모두 별의 진화가 갖는 우주론적 의미를 이해하고 있었으나, 예비교사의 별의 실제기작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이지 않았다. 유용성 영역에서, 현직교사는 지구과학의 학문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적 고민을 하고 있었고, 지식을 현실 문제해결에 활용, 적용하려는 경향이 높았다. 반면, 예비교사는 높은 무응답률을 보여 H-R도와 별의 진화를 실용적 개념으로 파악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두 집단 모두에서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비과학적 개념이 다수 발견되어 교사 교육 및 교수 학습 계획 수립 시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접촉쌍성(NCBs)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SURVEY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NEAR CONTACT BINARY(NCBs))

  • 오규동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233-242
    • /
    • 2005
  • 66개의 근접촉쌍성(이하 NCBb)의 절대물리량과 궤도요소를 여러 목록으로부터 수집 분석하여 여러 물리량 사이의 상관관계와 NCBs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NCBs의 질량비-광도비 관계는 $L_2/L_1{\lapprox}(M_2/M_1)^{1.45}$로 나타났으며 CE형에 더 근접한 특성을 보였다. NCBs의 여러 물리량 사이의 상관관계에 따르면 F형이 A형에 비하여 주성과 반성의 질량, 반경, 광도 및 온도의 차이가 작게 나타났다. NCBs의 H-R도에 따르면 A형이 F형에 비하여 다소 더 진화된 종년주계열(TAMS)에 가까이 나타나고 있다.

300 m3 h-1급 수소 생산을 위한 글리세롤 수증기 개질반응의 기술·경제성 분석 (Techno-economic Analysis of Glycerol Steam Reforming for H2 Production Capacity of 300 m3 h-1)

  • 허주헌;임한권
    • 공업화학
    • /
    • 제29권2호
    • /
    • pp.209-21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300m^3\;h^{-1}$급 수소 생산을 위한 글리세롤 수증기 개질반응에 대해 기술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상업용 공정 설계 프로그램인 Aspen $HYSYS^{(R)}$를 이용하여 글리세롤 수증기 개질반응에 대한 공정을 설계하였으며, 반응온도에 따른 수소 생산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항목별 경제성 평가, 민감도 분석, 현금흐름도를 통하여 경제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300m^3\;h^{-1}$급 글리세롤 수증기 개질반응에서의 수소 생산 단가는 5.10 $ ${kgH_2}^{-1}$로 계산되었다. 수소 생산 단가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소 판매 단가에 따른 현금흐름도 분석을 통해 순현재가치, 할인회수기간, 현재가치율과 같은 다양한 경제성 인자를 파악하였다.

미세균열의 간격 분포를 이용한 결의 평가 (III) (Evaluation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of Microcrack Spacings (III))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1-324
    • /
    • 2016
  • 거창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서 발달하는 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3개 면 및 3개 결에 대한 평가는 (1) 간격의 값 그리고 길이의 값 사이의 감소비율, (2) 미세균열의 간격의 빈도수(N), (3) 총 간격($1mm{\geq}$), (4) 지수의 상수(a), (5) 지수(${\lambda}$)의 크기, (6) 평균 간격($S_{mean}$), (7) 평균 간격과 중앙 간격($S_{median}$) 사이의 차이 값($S_{mean}-S_{median}$) 및 (8) 간격의 밀도(${\rho}$)와 같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특히 상기 간격의 파라미터 그리고 간격-누적빈도 도표에서 도출한 파라미터 사이의 밀접한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3개 채석면 그리고 3개 결을 대변하는 판별요소들은 이러한 상호 대비를 통하여 획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개 결에 대한 빈도수, 평균값, 중앙값, 상기 차이값($S_{mean}-S_{median}$) 및 밀도의 감소비율은 G(2번 결, (G1 + G2)/2) < H(3번 결, (H1 + H2)/2) $\ll$ R(1번 결, (R1 + R2)/2), H < G $\ll$ R, H < G $\ll$ R, H < G < R 및 H < G $\ll$ R의 순이다. 3개 면에 대한 상기 5개 파라미터의 값은 R'(1번 면) $\ll$ H'(3번 면) < G'(2번 면), R' $\ll$ G'< H', R' < H' < G', R' < G' < H' 및 R' $\ll$ H' < G'의 다양한 순을 각각 보여준다. 둘째, (I) 파라미터(2, 3, 4 및 5) 및 (II) 파라미터(6, 7 및 8)의 값은 (I) H < G < R 및 (II) R < G < H의 순서이다. 반면에 3개 면에 대한 상기 두 그룹(I~II)의 파라미터의 값은 역순을 보여준다. 셋째, 여섯도표 사이의 전체적인 배열 특성을 살펴보면, 이들 도표들은 관계도에서 R2 < R1 < G2 < G1 < H2 < H1의 순을 보여 준다. 즉, 상기 여섯 도표는 1번 결(R1 + R2) < 2번 결(G1 + G2) < 3번 결(H1 + H2)의 순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미세균열의 간격과 관련된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지시한다. 특히 각 도표의 두 파라미터, 상기 차이값($S_{mean}-S_{median}$) 그리고 평균 간격은 도표 사이의 배열 순위의 예측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개 면 그리고 3개 결의 종합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3개 결에 대한 3개 지수 직선의 순서는 R(R1 + R2) < G(G1 + G2) < H(H1 + H2)의 순을 보여준다. 반면에, 3개 면에 대한 3개 지수 직선은 H'(R2 + G2) < G'(R1 + H2) < R'(G1 + H1)의 순을 보여준다. 따라서 관계도로 부터 3개 면 및 3개 결 사이의 상호 역순의 상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