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ryongsan National Park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Examining Visitation to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 Sim, Kyu-Won;Choe, Yun-Seon;Kim, Tae-Ge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42-245
    • /
    • 2018
  • Understanding visit motivation to parks is important when attempting to improve visitor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s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not only examine the impact of visitors' motivations on their satisfaction, but also study the effect of their satisfaction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This objective will be fulfilled using regression models populated with data from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GNP). Onsite surveys were collected during April and May 2017 at the Donghaksa, Gapsa, Cheonjeong, Sinwonsa, Sangsin, and Sutonggol information centers of the GNP (N=224).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isitors' motivations influenced their visit satisfaction, which, in turn, impacte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The study's findings will help park managers and policy-makers establish effective park management strategies and enhance visitors' experiences.

계룡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in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33-644
    • /
    • 2009
  • The vascular plants in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were listed 227 taxa; 71 families, 148 genera, 196 species, 1 subspecies, 26 varieties and 4 forms, Among them, trees and herbs were 103 taxa (45.4%), 124 taxa (54.6%), respectively. The rare plants were identified 6 taxa such as Paeonia obovata (Legal protection species), Viola albida, Acanthopanax chiisanensis, Lilium distichum, Lilium callosum and Goodyera schlechtendaliana by the Korea Forest Service.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8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Pseudostellaria multiflora, Thalictrum uchiyamai, Indigofera koreana, Acanthopanax chiisanensis, Asperula lasiantha, Weigela subsessilis and Carex okamotoi.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6 taxa were recorded; Viola albida, Acanthopanax chiisanensis, Asperula lasiantha, Carex okamotoi, Lilium distichum and Lilium callosum.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9.3%); Paeonia obovata in class V, 5 taxa (Betula davurica, Acer palmatum, Asperula lasiantha, Lonicera subhispida, Phaenosperma globosa) in class III, 4 taxa (Viola orientalis, Acanthopanax chiisanensis, Ostericum melanotilingia, Lilium distichum) in class II and 11 taxa (Cephalotaxus koreana, Betula schmidtii, Quercus variabilis, Aphananthe aspera, Ilex macropoda, Meliosma oldhamii, Tilia amurensis, Lilium callosum, Erythronium japonicum, Polygonatum inflatum, Hosta capitata) in class I. It is important that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will be needed for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As well, a long time of monitering and systematical management counterplan will be required.

계룡산 국립공원 방문객의 관광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 목적을 조절효과로 - (The Effec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Visitors' Tourism Motivation 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Moderation Effect of Tourism Purpose)

  • 김효중;김시중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4-331
    • /
    • 2012
  • 국립공원 방문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방문객의 관광동기에 대해 파악하고, 관광동기가 만족 및 관광객의 행동의도 등에 대한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룡산 국립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방문 후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립공원 관광동기가 방문객의 만족 및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함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실증분석을 통하여 관광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그리고 관관광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관광 목적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결과, 국립공원 관광지 관광동기와 만족과의 관계에서 '신체적 동기' 및 '대인적 동기' 요인은 만족에 있어 영향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지 관광동기와 행동의도 관계에서 '신체적 동기'와 '대인적 동기' 요인이 행동의도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방문객 만족은 '재방문'과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관광동기와 만족 및 행동의도 간에는 관광 목적 조절변수에 의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MS 모형을 활용한 산지 소하천 유역의 유출량 산정 (Flood Runoff Computation for Mountainous Small Basins using WMS Model)

  • 장형준;이정영;이효상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9-15
    • /
    • 2021
  •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산지 지역의 돌발홍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명 및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재해저감 대책방안을 수립하고 있으나 국립공원과 같이 자연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계곡 및 하천부는 제방 증고 및 하상 정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대책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계룡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유역내 계곡 및 하천부에 대하여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침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계룡산 국립공원 중 3개 소유역(지석골, 수통골, 동학사)에서 재현빈도 50년 이상의 강우 발생 시, 침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 되었으며, 탐방객이 이용하는 탐방로 및 시설물에 위험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립공원 내 탐방로에 대한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립공원의 안전한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계룡산 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탄소축적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imation of Forest Ecosystem Carbon Storage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

  • 장지혜;이준석;정지선;송태영;이경재;서상욱;이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319-327
    • /
    • 2014
  • 지역적 규모의 탄소 축적량 자료는 지역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의 이해를 위한 필수적 요소이며 지구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생태계 중 자연성이 높은 국립공원지역 산림 생태계의 탄소축적량을 산정하여 자연군락이 축적 가능한 탄소축적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지인 계룡산 국립공원은 신갈나무류군락 1,743.5 ha (38.0%), 굴참나무류군락 1,174.0 ha (25.6%), 졸참나무류군락 971.90 ha (21.2%), 소나무류군락 695.19 ha (15.2%) 등의 순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 군락의 분포 중심으로 판단되는 지점에 정밀 조사구를 설치하여 biomass 탄소축적량 측정을 위해 매목조사를 실시하였고, 리터층 및 토양층의 탄소축적량은 조사구 내 소방형구($30cm{\times}30cm$)를 설치, 리터와 토양 (0~30 cm)을 채취하여 측정된 리터 건중량 및 토양 유기물함량을 기초로 단위 탄소값을 구한 후 해당 군락의 총 면적으로 환산하여 산정하였다. 임목 biomass 탄소축적량은 굴참나무군락이 $130.1tCha^{-1}$, 소나무군락 $111.1tCha^{-1}$, 신갈나무군락 $76.2tCha^{-1}$, 졸참나무군락 $39.0tCha^{-1}$ 순으로 산정되었다. 리터층 탄소축적량은 소나무군락이 $18.3tCha^{-1}$, 신갈나무군락 $13.4tCha^{-1}$, 졸참나무군락 $5.8tCha^{-1}$, 굴참나무군락 $5.0tCha^{-1}$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군락이 $159.7tCha^{-1}$, 졸참나무군락 $121.0tCha^{-1}$, 소나무군락 $110.5tCha^{-1}$, 굴참나무군락 $90.8tCha^{-1}$의 순으로 산정되었다. 생태계탄소축적량은 소나무군락이 $239.9tCha^{-1}$, 신갈나무군락이 $235.9tCha^{-1}$, 굴참나무군락은 $226.0tCha^{-1}$, 졸참나무군락은 $165.9tCha^{-1}$를 나타냈고 총 $867.7tCha^{-1}$로 나타났다. 각 군락의 면적 별 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신갈나무류군락에서 $411,200tCha^{-1}$, 굴참나무군락에서 $265,300tCha^{-1}$, 소나무군락에서 $166,800tCha^{-1}$, 졸참나무군락에서 $161,200tCha^{-1}$로 계룡산 국립공원에서 총 $1,045,400tCha^{-1}$로 산정되었다. 계룡산 국립공원의 생태계탄소축적량을 조사한 결과, 탄소축적량은 분포하고 있는 식생군락에 따라 다른 값을 보였으며, 이는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라 식생의 분포 유형 및 종류가 변하게 되면, 생태계 탄소축적량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한반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사찰림의 식생구조 (Templ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ite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Donghaksa, Gapsa and Sinwonsa -)

  • 송주현;권순선;김호진;이정은;윤이슬;;김현섭;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2-733
    • /
    • 2019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로 지정된 동학사, 갑사, 신원사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여 사찰림의 생태적 보전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2018년 9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총 29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느티나무-으름덩굴-황매화군락(VU1), 졸참나무-작살나무-까치박달군락(VU2), 소나무-산벚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VU3)으로 식생유형이 각각 구분되었으며, 각 식생단위별 지표종은 각각 12분류군, 8분류군,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식생단위에서 느티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다양도 분석 결과, 식생단위 3의 종다양도가 0.939으로 다른 식생단위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생유형과 무생물적입지환경, 생물적입지환경과의 상관관계분석을 CCA를 통해 분석한 결과, 무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는 식생단위 2와 해발고도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에서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계룡산 상부 지역의 산림식생 (Forest Vegetation of Upper Zone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 김효정;이미정;이규석;박관수;송호경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27-132
    • /
    • 2004
  • 본 연구는 계룡산 국립공원내 해발 650 m이상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_으로_ 산림군락을 분류하여 계룡산 국립공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계룡산 상부지역의 총 51개 조사구를 분석한 결과, 산림군락은 신갈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및 굴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은 29개 조사구에서 나타났으며, 군락 구분종은 신갈나무, 좁은단풍, 천남성, 용수염, 은분취이다. 서어나무군락은 10개 조사구에서 나타났으며, 군락 구분종은 서어나무, 까치박달, 층층나무, 대사초, 산수국이다. 소나무군락은 7개 조사구에서 나타났으며, 군락 구분종은 소나무, 조록싸리, 산딸기, 참억새, 이삭여러, 맑은대쑥, 큰기름새 이다. 굴참나무군락은 5개 조사구에서 나타났으며, 군락 구분종은 굴참나무이다.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에 따른 탐방수요예측 및 관리비용 분석 (Estimating Demand and Additional Management Cost of National Park Considering Abolition of Entrance Fee)

  • 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393-400
    • /
    • 2007
  • 본 연구는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에 따른 탐방 증가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이선선택형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하여 수요함수를 개발하고 탐방증가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탐방증가에 따른 추가적인 관리비용도 함께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입장료 폐지에 따른 국립공원의 탐방수요 증가량은 현재 탐방수요 수준보다 약 5.8%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국립공원별로는 북한산 9.0%, 계룡산 8.5%, 덕유산 8.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악산은 3.0%로 증가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18개 국립공원의 추가적인 총관리비용은 약 56억원으로 나타났고, 공원별로는 북한산이 약 14억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리산 7억원, 다도해해상 5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일원의 식물상 조사연구 (Flora of Dongwol Valley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고성철;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3-239
    • /
    • 2005
  • 동월계곡의 소산관속식물은 재배종을 포함하여 1문 4강 3아강 34목 84과 178속 210종 1아종 33변종 4품종으로 총 248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과 우리나라의 남부${\cdot}$중부${\cdot}$북부${\cdot}$울릉도${\cdot}$제주도의 식물대와 공통분포 하는 분류군의 수를 비교하여 보면 남부와는 $90.3\%$, 중부와는 $98.0\%$, 북부와는 $79.0\%$ 울릉도와는 $62.1\%$, 제주도와는 $73.8\%$로 각각 나타났다. 한반도의 북부고유분자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중부고유분자식물은 3 분류군. 남부고유분자식물 1 분류군, 중북부고유분자식물 5 분류군. 남중부고유분자로는 23 분류군이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원식물은 식용 118 분류군, 약용 78 분류군, 공업용 46 분류군, 관상용 39 분류군, 목재용 14 분류군 그리고 섬유용 9 분류군과 한국특산식물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전반적인 식생은 참나무류와 철쭉류가 혼생하는 혼효림이라 할 수 있고, 한반도의 식물구계로 볼 때 온대 중부와 남부의 경계지역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