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ongsang Province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31초

Genetic Traceability of Black Pig Meat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Oh, Jae-Don;Song, Ki-Duk;Seo, Joo-Hee;Kim, Duk-Kyung;Kim, Sung-Hoon;Seo, Kang-Seok;Lim, Hyun-Tae;Lee, Jae-Bong;Park, Hwa-Chun;Ryu, Youn-Chul;Kang, Min-Soo;Cho, Seoae;Kim, Eui-Soo;Choe, Ho-Sung;Kong, Hong-Sik;Lee, Hak-Ky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7호
    • /
    • pp.926-931
    • /
    • 2014
  • Pork from Jeju black pig (population J) and Berkshire (population B) has a unique market share in Korea because of their high meat quality. Due to the high demand of this pork, traceability of the pork to its origin is becoming an important part of the consumer dem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such a system, we aim to provide basic genetic information of the two black pig populations and assess the possibility of genetically distinguishing between the two breeds. Muscl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laughter houses in Jeju Island and Namwon, Chonbuk province, Korea, for populations J and B, respectively. In total 800 Jeju black pigs and 351 Berkshires were genotyped at thirteen microsatellite (MS) markers. Analyses on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two populations were carried out in the programs MS toolkit and FSTAT.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e two breeds was determined by a Bayesian clustering method implemented in structure and by a phylogenetic analysis in Phylip. Population J exhibited higher mean number of alleles, expected heterozygosity and observed heterozygosity value,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compared to population B. The $F_{IS}$ values of population J and population B were 0.03 and -0.005,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little or no inbreeding has occurred. In addition, genetic structure analysis revealed the possibility of gene flow from population B to population J. The expected probability of identify value of the 13 MS markers was $9.87{\times}10^{-14}$ in population J, $3.17{\times}10^{-9}$ in population B, and $1.03{\times}10^{-12}$ in the two popu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ful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two black pig breeds and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further development of DNA markers.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미나리 균핵병 (Sclerotinia Rot on Water Cress (Oenanthe javanic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신순선;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85-88
    • /
    • 2003
  • 2002년 12월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비닐하우스 밭미나리 재배포장에서 미나리 잎과 줄기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발생하는 이상증상이 발생했다. 균총은 무색에서 흰색을 띠면서 초코렛색으로 된다. 균핵은 병반부와 PDA 배지 모두 검은색의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이었으며, 크기는 1.0~10.7 ${\times}$1.0~7.6 mm 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으로 크기는 0.4~1.6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으로 자낭안에 자낭포자가 8개 들어있으며, 크기는 74~236 ${\times}$4.2~24.8 $\mu\textrm{m}$ 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으로 단세포이며 무색이다. 크기는 8.3~$12.4{\times}3.6$~7.2 $\mu\textrm{m}$ 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이며, 균핵형성 최적온도는 15~$20^{\circ}C$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을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미나리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천리안 GOCI영상을 이용한 남해안 적조우심해역 분석 (Analysis of Red Tide Hot Spots in the South Sea of Gyeongnam Province Using the GOCI Images of COMS)

  • 김동규;정용한;유환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3-361
    • /
    • 2015
  • 매년 적조가 발생하여 양식어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발생해역도 남해안을 중심으로 발생되던 패턴에서 전국 연안 해역으로 확대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광활한 해양에서 발생되는 적조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2010년에 발사된 천리안 위성의 GOCI(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영상을 이용한 적조 탐지기술 개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 해역에 대해 최근 3년간(2012, 2013, 2014년) 관측된 천리안 GOCI영상을 이용하여 적조해역을 탐지하고 탐지된 해역에 대한 적조발생빈도와 밀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년간 남해안을 대상으로 적조 발생 해역을 추출하고 중첩분석과 밀도분석을 통하여 적조우심해역을 추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연도별 적조발생 경향은 2012년에 적조 발생규모가 작고 산발적으로 발생하였고, 2013년은 적조 발생해역이 광범위하게 분포하면서 공간적 밀집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2014년의 경우에는 소규모의 적조가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이처럼 연도별 적조발생의 공간적 분포패턴은 불규칙한 특징을 보였으며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적조발생빈도를 기반으로 핫스팟을 분석한 결과 특정 해역에서는 발생빈도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어서 천리안 GOCI 영상과 같은 위성영상모니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적조의 움직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방재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보육교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와 수행능력 (Nursery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양윤정;권인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04-31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의 상관관계와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육교사들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220명으로 경상남도 A시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7월 1일부터 31일 까지였으며, 측정도구는 심폐소생술 지식과 태도는 Park 등(2006)의 도구, 수행능력은 Choi (2008)의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은 100점 만점에 평균 45.88점(평균 평점 0.46점)이었고,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는 5점 중 평균 평점 3.69점,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은 5점 중 평균 평점 2.65점으로 나타났다. 심폐소생술 지식과 수행능력은 교육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폐소생술 교육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태도, 지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대한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29.4%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보육교사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은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응급상황에서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수행하기에는 높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교육경험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기도폐쇄나 심정지의 상황에서 보육교사들이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적극적 태도를 가지고 심폐소생술을 올바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경남지역 청소년의 식습관, 영양 및 식이섬유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Nutrition and Dietary Fiber Intakes of Teenagers in Gyeong-Nam Areas)

  • 손연;김행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26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식습관, 영양 및 식이섬유 섭취현황을 성별, 도시와 농촌 지역별로 조사하여 식생활 현황과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청소년들에게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시키며 올바른 영양교육 및 개선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 남$\cdot$여학생의 $80\%\~90\%$는 정상 또는 여윔상태였으며 지역간에는 식생활비에 차이가 보였다. 식생활운영에는 어머니의 연령, 학력, 가족수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식사패턴은 $60\%$이상이 불규칙하며 약 $40\%,\;50\%$의 청소년이 편식을 하고 있었다. 에너지섭취량과 3대 영양소 섭취율은 1일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미달되었다. 식이섬유의 1일 평균 섭취량은 권장량에 크게 미달되는데 특히 농촌 청소년의 경우가 더 낮았다. 식이섬유 섭취량과 식물성 음식의 기호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의 영양교육 지도는 지역별, 성별 요인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영양교육 시에는 청소년들이 매스컴의 영향으로 마른 체형을 선호하여 건강을 위협받고 있으므로 이들의 자아정체감 및 가치관 형성을 위한 교육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청소년에게 필요한 각종 영양소와 식이섬유 섭취를 위한 잡곡밥, 생선류, 채소류, 김치류 등을 주로 한 단체급식 구성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며, 식습관, 각종 영양소 및 식이섬유 섭취에 대한 학교차원, 사회차원에서의 평생교육이 요망된다.

  • PDF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형태적 특성에 의한 분류와 형질간 상관 (Classification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2005
  • 경남지역의 자생 둥굴레속 47개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종의 생장 몇 형태 관련 형질, 잎마름병 감염정도, 이들 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산둥굴레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짧았다. 한편 줄기의 생장형태는 직립형을 포함한 3개군으로, 줄기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하였다. 2. 염의 형태로는 타원형을 포함한 5개군으로, 엽병은 존재 유무로부터 2개군으로, 엽병의 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 특이하게 피침 형태로 엽연이 자색인 1개종이 수집되었다. 3. 꽃은 화형이 항아리형, 통형, 조롱박형의 3개군으로, 화색은 흰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특별하게 조롱박형인 1개 수집종은 연녹색을 띄고 있었다. 화사는 실린더형과 편평형으로, 화경의 색깔은 자색을 포함한 4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포의 존재 유무와 형태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4. 과실은 둥근형 등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백과중은 둥굴레에서 가장 무거웠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가벼웠다. 5. 둥굴레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강한 것은 2종, 이병율이 7% 이하인 것은 7개종으로 조사되어서 근경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저항성 유전자원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제형질의 상관관계에서 근경수량과 관련된 근경중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엽폭, 지하경 직경과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근경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마름병 이병율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백립중, 근경중, 지하경 직경과 부의상관을 보였다.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Cluster 분석에 의한 종간 유연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Using Cluster Analysis)

  •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34
    • /
    • 2005
  • 경남지역 자생 둥글레속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규명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할용하고자 47개 수집종의 12개 형질을 대상으로 주성분 분석 및 average linkage cluster 방법으로 군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성분 분석에서 줄기형태, 줄기색깔, 엽색, 포의 형태, 화색, 화형 등 12개 주요 형질의 주성분의 고유치에 기여율은 제3주성분까지 분석하여도 전체의 79%정도 설명할 수 있어서 47개 수집종의 분류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2. 47개 수집종의 12개 주요형질을 대상으로 average linkage cluster 방법에 의한 분석치으 거리 0.7을 기준으로 군을 분류한 결과 5개군으로 분류되었다. I군은 둥굴레, II군은 용둥글레, III군은 산둥굴레 및 퉁둥굴레 특성의 중간형태를 각각 지닌 p28과 p29였으며, 제V군은 죽대로 분류되었다. 3. 경남일대 둥굴레의 특성조사와 수집종 분류결과 둥굴레와 죽대는 종간 변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용둥굴레, 퉁둥굴레와 산둥굴레는 다양한 변이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慶北) 문경지역 폐탄광지(廢炭鑛地)의 식생구조(植生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Vegetation Structure of Some Abandoned Coal Mine Lands in Mungyeong Area)

  • 민재기;박은희;우수영;김종갑;문현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1호
    • /
    • pp.23-31
    • /
    • 2006
  • 폐탄광지역의 식생복원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삼창탄광, 봉명탄광, 갑정탄광, 단봉탄광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중층과 하층의 출현종수는 삼창탄광이 각각 3종과 10종, 봉명탄광이 2종과 5종, 갑정탄광이 7종과 11종, 단봉탄광 9종과 12종, 그리고 대조구는 중층과 하층에 각각 15종과 17종이 출현하였다. 하층의 중요치는 삼창탄광은 참싸리, 그 외 조사지에서는 산딸기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본층의 중요치는 삼창탄광은 새, 봉명탄광은 수까치깨, 갑정탄광은 참억새, 단봉탄광은 쑥과 그늘사초가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서는 실새풀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개 폐탄광지역의 중층과 하층의 종다양도는 각각 0.201-0.666과 0.612-0.895로 분석되었다. 하층의 균재도는 폐탄광지역이 0.683-0.875의 범위였으며 대조구는 0.990의 균재도를 나타내었다.

수세 횟수가 계육 수리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hing Tim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Surimi)

  • 진상근;김일석;박기훈;하지희;강석모;김인진;최영준;김진수;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5-270
    • /
    • 2005
  • 본 연구는 수세 횟수가 계육 수리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닭 가슴살을 6배수의 증류수로 2(C), 4(T1) 및 6회(T2) 수세한 후 단백질을 회수하여 수리미를 준비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C보다 T1 및 T2가 높았다. 근원섬유 단백질과 수율은 C가 T1 및 T2보다 높았다(p<0.05). pH는 C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으며(p<0.05), 보수력은 처리구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전단력은 수세 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파괴 강도와 변형값은 T2가 낮았다. 명도($L^{\ast}$)는 C가, 황색도($b^{*}$)는 T1이 처리구 간에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경도와 검성은 T1이 T2에 비해 높았으며(p<0.05), 수세 횟수가 증가할수록 탄력성은 높은 경향이었다. 수세 횟수는 관능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이상에서 수세 횟수를 달리하여 제조한 수리미 간에 일반성분, 염용성 단백질, 수율,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감에서 차이를 보였고, 수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리미의 색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곡점을 이용한 영농형태별 토양 인산 유출 잠재력 평가 (Evaluation of Phosphorus Release Potential in Arable land with Different Landuse by Phosphorus Threshold)

  • 이슬비;이창훈;홍창오;이용복;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43-347
    • /
    • 2010
  • 우리나라 농경지 이용형태에 따라서 인산유출 잠재력과 합리적인 농경지 인산관리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 경남 통영시, 창녕시 및 진주시의 논, 밭, 시설재배지 토양을 각각 100, 100, 75 곳에서 채취하여 인산유출 변곡점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역의 논, 밭, 시설재배지의 평균 유효인산 함량은 각각 86, 619, 796 mg $P_2O_5$/kg로 농경지 이용형태에 따라 토양의 인산함량은 큰 차이를 보였다. 논 토양에서는 유효인 산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0.01M $CaCl_2$ 함량도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변곡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밭과 시설재배지에서는 토양 유효 인산 함량이 약 520 mg $P_2O_5$/kg에서 0.01M $CaCl_2$ 가용성 인산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변곡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밭과 시설재배지에서 주변 수계로 인산 유출량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농경지 유효인산 함량을 520 mg $P_2O_5$/kg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