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angyang Bay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3초

임해준설매립지 식물분포와 표층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Plant Distribution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psoil on the Reclaimed Dredging Area)

  • 남웅;곽영세;정인호;이덕범;이상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2-62
    • /
    • 2008
  • 본 연구는 광양제철소 임해준설매립지에 자생하는 식물분포와 토양환경요인의 특성을 규명하고, 식물분포와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향후 생태적 조경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해수변으로부터 시작하여 표고 15m에 이르는 지역으로 임해준설매립지내 조사지역 1,2,3 및 4는 전형적인 염습지의 특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총 출현종수는 1, 2, 3, 4, 5지역별로 각각 13, 15, 22, 27, 35종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생식물은 감소하고 중성식물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조사지역별 표층토양(O ~2Ocm)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지역 1 에 서 조사지역 4로 이동함에 따라 탈염이 진행되면서 토양산도 및 전기전도도는 낮아지고, 영분, 유효인산, 칼륨, 염소, 칼숨, 마그네숨 등은 함량이 감소된 반면, 전 질소, 미사, 점토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임해준설매립지에서 자연강우에 토양이 장기간 노출되면서 염분과 관련된 토양환경인자들이 변화하는 것을 잘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 염분과 관련된 인자들이 연구대상지의 식물분포의 변화를 유도한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광양만 임해매립지의 곰솔 이식 이후의 연륜생장 특성 (Tree-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Parl. after Replanting o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in Gwangyang Bay)

  • 김도균;박원규;서정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
    • /
    • 2002
  • 본 연구는 광양만 임해매립지의 곰솔 식재 이후 연륜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식재환경과 기후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임해매립지의 곰솔 식재 이후에 수목의 이식과 가뭄에 의하여 연륜생장이 급감소하였다. 수목이식에 의한 연륜생장의 급감소는 모든 지반들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가뭄에 의한 연륜생장의 감소는 토양경도가 높은 식재지반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성토지역에서는 감소 현상이 크지 않았다. 이식에 의한 연륜생장 급감소 이후에 토양경도가 높은 지반들에서는 생장회복이 저조하였으나 성토지역에서는 빠르게 생장이 회복되었다. 연륜생장의 평균민감도와 상대적 변이계수는 토양경도가 높은 지반들이 성토지반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환경이 불량한 지반일수록 외부적 환경변화에 대하여 불안정적으로 생장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곰솔의 연륜생장은 이식과 가뭄에 대하여 성토지반에서는 수목 자체적으로도 양호하게 생장을 하지만 토양경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생장이 불량하였다. 따라서. 외부적 환경변화에도 수목자체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식재 및 유지관리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계산시간절약기법이 적용된 수정 POM WAD의 수치실험 (Numerical Experiments Using Modified POM WAD with Computing Time Saving Technique)

  • 박일흠;최흥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2-8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OM(Princeton Ocean Model) WAD(Wetting and Drying) 모형을 연안역에서 조석조류의 계산에 적합하도록 개경계에서 조석조화상수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CTS(Computing Time Saving) 기법을 도입하여 계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이와 같이 수정된 모형은 장방형 내만에 하나의 절점을 갖는 정상파에 대한 해석해 실험과 유속 및 열확산에 대한 수리모형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간석지가 발달한 광양만의 현지해역에 이 CTS 기법을 적용하여 계산시간이 39.4% 단축되는 결과를 얻었다.

First Record of Six Marine Ciliate Species of Genus Strombidium (Ciliophora: Spirotricha: Oligotrichia) from Korea with Ecological Notes

  • Lee, Eun-Sun;Xu, Dapeng;Shin, Mann-Kyoon;Kim, Young-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8권3호
    • /
    • pp.192-207
    • /
    • 2012
  • To supply th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information of oligotrich ciliates in Korea, water samples were seasonally collected in Gwangyang Bay and Jinhae Bay from August, 2010 to February, 2012 and processed by quantitative protargol staining method. As a result, six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Strombidium Clapar$\grave{e}$de and Lachmann, 1859 are identified: Strombidium emergens Kahl, 1932; S. dalum Lynn et al., 1988; S. epidemum Lynn et al., 1988; S. tressum Lynn et al., 1988; S. bilobum Lynn and Gilron, 1993; S. pollostomum Lynn and Gilron, 1993. These six species were newly reported from Korean coastal waters. Strombidium emergens is a middle sized Strombidium ($20-50{\mu}m$ in length) and has open and deep oral groove to girdle portion. Strombidium dalum is a small sized Strombidium (${\geq}20{\mu}m$ in length), that has torch-like spiral anterior membranelles and an inverted triangles-shaped macronucleus on the posterior pole. The small sized S. epidemum has conspicuous trichites surrounding the girdle portion and ventral membranelles distinctly separated from anterior membranelles. The small sized S. tressum has torch-like spiral and extremely long trichites among the cilia of anterior membranelles. The middle sized S. bilobum has a bilobed macronucleus. Strombidium pollostomum is also a small sized Strombidium but its ventral membranell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with anterior membranelles. The five species except S. emergens occurred frequently over the wide range of water temperatures and salinities.

동위원소 분석에 의한 동해와 남해 연안의 상이한 해조류 군락에 서식하는 저서무척추동물 먹이원 평가 (Isotopic Determination of Food Source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Two Different Macroalgal Habitats in the Korean Coasts)

  • 강창근;최은정;송행섭;박현제;서인수;조규태;이근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4호
    • /
    • pp.380-389
    • /
    • 2007
  • 암반 해안의 해조 군락에 서식하는 저서무척추동물들에 의해서 이용되는 유기물의 기원을 밝히기 위하여 저서동물과 그들의 잠재 먹이원에 대한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delta^{13}C$$\delta^{15}N$)값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부영양화된 반폐쇄성 내만인 남해안의 광양만 연안 암반 조간대와 상대적으로 빈영양의 외양에 노출된 환경 특성을 가지는 동해안의 대진(삼척)연안의 암반 조하대를 대상으로 2005년 5월부터 6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암반에서 노출되어 서식하는 부유물 섭식자들은 다른 섭식 양식을 가지는 동물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delta^{13}C$ 값을 가져 이들이 식물플랑크톤에서 유래하는 유기물을 주로 이용하여 표영먹이망과 강한 영양연결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암반틈 속에서 서식하는 일부 부유물 섭식자를 포함한 초식동물과 퇴적물 섭식자 및 육식성 포식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delta^{13}C$ 값을 가져 해조류에서 유래한 유기물을 주로 이용하여 저서먹이망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부유물 섭식자를 제외하고 해조 군락을 서식처로 하는 대부분의 동물들이 해조류에서 유래한 유기물을 이용하는 저서먹이망으로 강한 영양연결을 가져 연안 암반 생태계에서 생물생산과 생물 다양성의 유지에 대한 해조류의 중요성을 잘 나타내었다. 또한 광양만과 같은 부영양화된 연안에서 상대적으로 빈영양인 동해 연안 조하대의 저서동물과 해조류에 비하여 높은 $\delta^{15}N$ 값 분포는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영양염이 암반 조간대의 해조류 생산에 이용되고 이어서 이 특정 연안 생태계의 먹이망으로 편입되는 경로를 가지는 것을 시사하였다.축과 높은 정밀도 및 정확도로 반복적인 유기탄소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TEX>개월의 편차를 보였다. 이처럼 연령을 모르는 우리나라의 혼합치 열기 아동에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연령 추정시 위의 방정식을 사용한다면 비교적 정확하게 연령을 추정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강도의 비교에서 컴포머가 글라스 아이어노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소아 환자의 유구치 심미 수복재료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종관 특성에 따른 지상 및 연직 관측자료 동화가 수평 및 연직 확산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rface and Vertical Observation Data Assimilation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low Fields Depending on the Upper Wind Conditions)

  • 최현정;이화운;김민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7-189
    • /
    • 2010
  • In order to incorporate correctly the large or local scale circulation in an atmospheric model, a nudging term is introduced into the equation of motion. The MM5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meteorological values differences in each case, during ozone episode days in Gwangyang ba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izontal and vertical flow fields according to the surface and vertical observation data assimilation by upper wind conditions. Therefore, we carried out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with various parameterization methods for nudging coefficient considering the upper wind conditions (synoptic or asynoptic condition). Nudging considering the synoptic and asynoptic nudging coefficient does have a clear advantage over dynamic initialization, therefore appropriate limitation of these nudging coefficient values on its upper wind conditions is necessary before making an assessment. Obviously, under the weak synoptic wind, there was apparent advantage associated with nudging coefficient by the regional difference. The accuracy for the prediction of the meteorological values has been improved by applying the appropriate PBL (Planetary Boundary Layer) limitation of circulation.

연직관측자료를 통한 복잡 연안지역의 오존 이류특성 (Characteristics of Ozone Advection in Vertical Observation Analysis Around Complex Coastal Area)

  • 이화운;박순영;이순환;임헌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7-74
    • /
    • 2009
  • In order to clarify the vertical ozone distribution in planetary boundary layer of coastal area with complex terrain, an observation campaign was carried out around Gwangyang Bay with dense pollutant emission sources during two days from June, 4 2007. For this observation are Radiosonde, SODAR(SOnic Detection And Ranging) and Tethered ozone sonde were employed. The surface meteorological and photochemical observation data provided by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and AQMS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were also applied for analysis. Synoptic condit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lower level ozone distribution in complex terrain coastal area. Since mesoscale circulation induced by difference of characteristics of land and sea and orographic forcing is predominant under calm synoptic condition, vertical distribution of ozone is complicate and vertical ozone concentration greatly fluctuated. However in second day when synoptic influence become strong, ozone concentration in lower levels is vertically uniform regardless of observation level. This results in vertical observation indicates that vertical ozone distribution is often determined by synoptic condition and also affects surface ozone concentration.

광양만 내만해역에서 저질 중금속 및 PAHs 농도의 분포특성 (Heavy metals and PAHs in sediment of Gwangyang Bay)

  • 조천래;박정채;유영석;조현서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83-86
    • /
    • 2007
  • 광양만권 개발에 따른 광양만의 매립과 준설로 인해 광양만의 급격한 지형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어 해양수산부에서는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광양만 중앙의 묘도를 중심으로 5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2005년 겨울부터 2007년 8월까지 총 8차례에 걸친 조사를 통해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환경변화에 따른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광양만의 중금속의 경우 농도의 변동양상으로 볼 때 오염원의 증가에 의한 변동보다는 계절적인 영향에 의한 변동양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광양만에서 검출되는 중금속의 농도수준은 As를 제외한 전 항목이 US EPA 의 ERL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층퇴적물 중 PAHs의 분석결과를 비교해 보면 지점별 농도변동양상이 뚜렷하지 않으며, 지점별 농도변화도 미약하다. PAHs 오염원의 추정의 결과 조사시기별 전 지점에서 분석한 결과, 몇 지점에서는 유류기원에 의한 오염의 경향이 보이는 반면 그 외의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는 연소기원에 의한 PAHs 물질의 분포를 보였다.

  • PDF

광양만 임해 매립지 느티나무 이식 이후의 연륜생장 특성 (Tree-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Zelkova serrata Makino after Replanting o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in Gwangyang Bay)

  • 김도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0-50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tree-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Zelkova serrata Makino after replanting, for the built-up planting founds for stability of landscaped trees i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the factors, many affecting the growths of Zelkova serrata Makino, were the replanting stress and drought. The growth reduction due to replanting and drought occurred in the replanting year and the following year. The mean sensitivity(year-to-year variation)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tree-to-tree variation in a certain year) in tree rings of Zelkova serrate Makino, were higher in the poor soil sites than in the favourable soil ones. And the poor soil sites were the filled ground of improve soil and the covered ground of improve soil and the top ground of big mounding than mounding ground sites, especially soil hardness, alkali soil, high $Na^+\;and\;K^+,\;low\;Ca^{++}\;and\;Mg^{++}$ and T-C were the most crucial. We suggest technique development of the built-up planting ground for stability i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The built-up planting grounds in reclaimed land from the sea,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use of fair soil with the physical and chemical soil properties, -high level foundation of planting ground, and the prevention of disturbed soil-.

Secondary Production of Monocorophium acherusicum (Amphipoda, Corophiidae) in a Seagrass Bed (Zostera marina)

  • Jeong Seung-Jin;Yu Ok-Hwan;Suh Hae-Lip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236-241
    • /
    • 2006
  • We measured the secondary production of the amphipod Monocorophium acherusicum Costa in a seagrass bed (Zostera marina L.) in Gwangyang Bay, southern Korea. M. acherusicum biomass was positively correlated (P<0.05) with seagrass standing crop, suggesting that there were bi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species. M. acherusicum displays two main breeding periods per year: spring (March to April) and fall (October to November). M. acherusicum biomass in the spring breeding periods was higher than in the fall. Annual secondary production of M. acherusicum was 3.54 g DW/$m^2$/yr with an annual P/B ratio of 3.48. Secondary production and the P/B ratio of M. acherusicum were lower than those observed for other amphipods inhabiting seagrass b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M. acherusicum and seagrass, as well as dietary competition with other amphipods can potentially cause declines in secondary production and the P/B r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