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ide Sig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선개념 중심의 교통안내표지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Guide Sign Systems Based on Lines and Points)

  • 김동녕;이석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D호
    • /
    • pp.393-400
    • /
    • 2006
  • 가로체계 중심의 교통안내체계의 선 개념을 위주로 한 안내표지를 소개하고 기존의 단순지명표기의 교통안내체계의 점 개념과 비교함으로서 두 가지 방법의 특성과 장단점을 명시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교통안내체계의 근본적인 속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점 개념과 선 개념의 특성을 비교하고 두 가지 안내체계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기존의 국내외 현황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졌다. 점 개념인 지명과 선 개념인 가로명의 속성이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정보의 질적인 차이를 연구자의 입장에서 분석하고 종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가지 방식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을 조사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과정에 포함된 주요내용은 첫째, 교통안내체의 구성요소를 파악, 둘째, 국내외 교통안내지도의 특성 비교, 셋째, 점 개념과 선 개념의 특성을 비교하고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지명중심의 점 개념이 가지는 속성과 한계점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였고 선 개념이 가지는 장점을 논리적으로 증명하였다. 교통안내지도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안내지도 제작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를 보면 위치 탐색의 정확성에서 가로명을 이용할 경우 지명보다 약 3배정도 위치를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현 위치 탐색시간에서는 지명위주 방향표지의 경우 가로명위주 보다 약 3배정도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위치탐색의 난이도는 지명위주 방향표지의 경우는 '보통'으로, 가로명위주 방향표지의 경우 '아주 쉬움'으로 평가하였다.

노선중심의 고속도로 안내표지 개선 효과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of Enhanced Expressway Guide Signs with Route Numbers)

  • 이재영;최기주;김동녕;이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D호
    • /
    • pp.199-204
    • /
    • 2010
  • 본 연구는 고속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표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고속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표지는 지점중심 안내체계, 과도한 정보량, 출구번호 이용률 저조, 차로지정 안내의 미비에 따라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3개의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선호도 조사와 판독시간 검증을 통해 최적안을 선정하였다. 최적안은 기존표지에 비해 판독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표지는 원거리에서는 출구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데 비해, 근거리에서 오히려 적은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데 비해, 개선 표지는 원거리에서는 개략적인 정보를, 근거리에서는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0m 지점에서는 운전자가 목적지에 따른 노선을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차로지정 표지를 문형식으로 설치하여 안내하도록 하였다.

도로표지에 대한 고령운전자의 인간공학적 특성과 적정 안내지명 개수에 대한 연구 (Older Drivers' Characteristics and Optimal Number of Guide Names on Road Signs)

  • 노관섭;이종학;김종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2D호
    • /
    • pp.235-242
    • /
    • 2008
  • 고령인구의 운전참여 비율이 급증하는 시점에서 시력 및 운전판단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운전자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령운전자를 위한 도로교통환경의 정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로교통 안전시설물 중에서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도로표지로, 고령운전자가 도로표지를 잘 알아볼 수 있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운전자가 도로표지판의 지명개수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또한 연령대별로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를 실험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령층(20대~70대)을 확보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된 장비는 표지판의 내용을 완벽하게 주시했는지를 알 수 있는 안구운동분석기와 도로현실을 최대한 반영한 가상 도로주행시뮬레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내용은 고령운전자에 대한 속도변화, 판독소요시간 분석, 오독률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구간에서 연령대별 판독과정에 따른 속도변화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속도는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연령대별 평균 판독소요시간 분석에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표준화계수를 살펴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판독소요시간이 0.106초씩 증가하였다. 그리고 Logistic Model을 이용하여 연령별 지명개수에 따른 오독률을 분석한 결과, 5% 미만의 오독률을 고려하였을 때 고령자의 경우에는 지명개수가 4개 이하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로교통환경에서 보호받아야할 고령자에게 도로표지판의 적정 지명개수를 제시함으로써 도로교통안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또한 향후 각종 도로교통표지 설계시 안전성을 제고하는 기법 개발에 활용 및 기여할 것이다.

LoRa 기반 피난 유도 체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Ra-based Emergency Exit Guide System)

  • 신재준;은성배;소선섭;김병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69-57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동적으로 설정되는 피난 유도 표지에 실시간 화재 상황을 반영한 최적의 피난 경로를 제시하는 LoRa 기반 피난 유도 체계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각 피난 유도 표지는 전후좌우를 나타내는 4개의 LED 지시등으로 구성되고 화재 발생 시 실시간으로 계산된 최적의 대피 경로를 화살표로 표시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동적인 화재 상황을 모의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다양한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각각의 피난 유도 표지가 정확한 피난 경로를 안내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또한 LoRa 기반 무선통신의 성능 확인을 위해 실내, 실내 대 실외, 실외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측정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수의 피난 유도 표지 설치 외에는 시스템 운영을 위한 추가 설비가 필요 없다는 측면에서 대형 건물은 물론 중소형 건물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시 철도역의 효과적인 안내사인 전달을 위한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Guidance Design for the Metro Station's Effective Sign Awareness)

  • 양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96-403
    • /
    • 2019
  • 도시철도역은 많은 이들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이다. 철도역을 자주 이용하면 길을 찾거나 가는 곳에 어려움이 없지만 처음 방문하는 여행객이나 외국인들은 복잡한 사인과 정보 등의 오류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역의 안내 사인시스템의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시철도역의 안내사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디자인 개선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1차 조사로 도시철도역 사인시스템의 개념과 문헌에 대하여 조사하고, 2차 조사로 도시철도역 이용자의 문제점 니즈조사, 3차 조사는 안내사인 개선을 위해 부산도시철도역의 문제점과 디자인 개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도시철도역의 안내 사인은 늘어나는 정보량과 체계적으로 갖추어지지 않는 사인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정보를 찾는 데 어려움이 많다. 무분별한 상업광고의 사인으로 찾고자 하는 정보를 찾지 못하고 통일되지 않는 사인계획으로 인하여 잘못된 정보를 얻기가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업광고의 자제와 알기 쉽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디자인 그리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디자인 개선이 필요하다.

국가수치기본도를 활용한 도로안내표지판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oad Guide Sign Management System Based on National Digital Base Maps)

  • 김시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5-44
    • /
    • 1998
  • 도로안내표지판은 도로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길을 안내하는 중요한 교통시설물이다. 대도시의 경우 도로가 신설되거나 일시 중단되는 경우가 허다한 바, 이러한 각종 교통상황변화에 따라 도로안내표지판의 내용 또한 적시에 수정 보완되지 않으면 운전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와 교통흔잡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도로안내표지판의 관리는 종이도면으로 수작업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방대한 도로안내표지판의 정보를 시기적절하게 관리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GIS개념을 도입하여 도로안내표지판을 효율적으로 관리학 수 있는 도로표지판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특히,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기본계획 하에서 범부처적으로 구축하고 있는 국가수치기본도를 활용하는 전제하에서 출발하였다. 동 시스템은 도로안내표지판과 관련된 각종 통계처리, 임의로 지정하는 교통축에 대한 지명의 연계성 확인, 문안자동화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로안내표지판관리시스템을 시범적으로 서울시 강남구에 적용해 보았다.

  • PDF

그래프이론을 이용한 도로표지의 혼란정도 평가 (An Extent Estimation Caused by Road Sign Using Graphic Theory)

  • 정규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57-164
    • /
    • 2012
  • 도로표지는 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운전자에게 안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설물로써, 설치 및 관리기준은 도로법 제57조 및 국토해양부장관령인 도로표지규칙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도로표지규칙에서 정하는 사항에 대해 준수하지 않은 경우와 예외사항을 과다 적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를 야기하게 된다. 이를 포함하여, 도로명 안내표지, 출구중심 도로표지 등 다양한 도로표지는 운전자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것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혼란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 중 도시지역의 방향표지를 대상으로 하여 혼란정도를 유발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의 요소를 제시하고, 정보표기 한정 개수를 산출하였으며, 혼란정도 인자를 그래프 이론을 통해 모형화하였다. 또한, 그에 따른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를 예측하였다. 교차로별 혼란정도의 값과 3년간 교통사고 통계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도로표지의 혼란정도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안내표지의 국·영문 문안 배치 연구 (A Study on Korean-English Legend Configuration for Guide Signs)

  • 이재영;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17-24
    • /
    • 2011
  • 최근 고속도로의 안내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기존 안내표지에 2개의 지명이 표기될 때는 국문과 영문의 배치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었으나, 개선안으로 제시된 표지에서는 국문과 영문을 좌우로 배치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국문과 영문의 배치에 대한 검증이 심도 있게 다루어 지지 못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 영문 배치에 따른 표지안을 작성하고 이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실험을 실시한 후 어떻게 국문과 영문을 배치하는 것이 가장 빠른 시간 내에 판독이 가능한 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국 영문의 배치의 변경만으로도 판독소요시간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기존 도로표지규칙에 의해 고속도로 안내표지의 문안 중 국문과 영문을 일렬의 행으로 상하로 배치하는 것보다 고속도로 표지개선안과 같이 한 지명에 대한 국문과 영문을 좌우로 배치하고, 두 번째 지명에 대한 국문과 영문을 그 하단부에 좌우로 배치하는 것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판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Sign System: Focusing o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최만호;김태경;김보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73-93
    • /
    • 2017
  • 국립중앙도서관은 이용자의 효율적인 이용과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각종 사인(sign)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기존 사인에 대한 현황 분석과 이용자 및 직원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용자의 효율적 도서관 이용 안내와 국립중앙도서관 사인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운영방안으로 시각적 연속성의 개선, 설치 위치의 변경, 과다한 사인물의 축소, 임시 부착 사인물의 제한, 알아보기 쉬운 내용 등을 제언하였다.

Environment Adaptive Emergency Evacuation Route GUIDE through Digital Signage Systems

  • Lee, Dongwoo;Kim, Daehyun;Lee, Junghoon;Lee, Seungyoun;Hwang, Hyunsuk;Mariappan, Vinayagam;Lee, Minwoo;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90-97
    • /
    • 2017
  • Nowadays, the most of commercial buildings are build-out with complex architecture and decorated with more complicated interiors of buildings so establishing intelligible escape routes becomes an important case of fire or other emergency in a limited time. The commercial buildings are already equipped with multiple exit signs and these exit signs may create confusion and leads the people into different directions under emergency. This can jeopardize the emergency situation into a chaotic state, especially in a complex layout buildings. There are many research focused on implementing different approached to improve the exit sign system with better visual navigating effects, such as the use of laser beams, the combination of audio and video cues, etc. However the digital signage system based emergency exit sign management is one of the best solution to guide people under emergency situations to escape. This research paper, propose an intelligent evacuation route GUIDE that uses the combination centralized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and digital signage for people safety and avoids dangers from emergency conditions. This proposed system applies WSN to detect the environment condition in the building and uses an evacuation algorithm to estimate the safe route to escape using the sensor information and then activates the signage system to display the safe evacuation route instruction GUIDE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 signage system is installed. This paper presented the prototype of the proposed signage system and execution time to find the route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a natural intelligent evacuation route interface for self or remote operation in facility management to efficiently GUIDE people to the safe exit under emergency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