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Rate of Microorganisms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7초

토마토 주스의 미생물 발효 산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 Characterization for Microbial Fermentation in Tomato Juice)

  • Choi, S.M.;Supeno, D.;A., Okka;Chung, S.W.;Kim, H.S.;Kim, J.S.;Park, J.M.;Kwon, S.H.;Kwon, S.K.;Choi, Won Sik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70-17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behavior of pH behavior in the tomato juices to find out an effective medium for microbial cultivation. Bacterial culture media is a material consist a mixture of nutrients used to grow microorganisms on or in it. In addition, microbial culture media can also be used for isolation, propagation, testing the nature physiological, and calculation of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Fresh tomato juice is used for basic ingredient, therein added salt, sugar and EM (Effective Microbial). The fermented solution placed in a room with a temperature of 40oC. Data retrieval before the pH value reached a constant value is done every 12 hours, after constant rate data collection was done every 24 hours. The pH value has been steady after 372 hours of fermentation process (15.5 days). From the results obtained that the amount of additional ingredient which added into tomato juice does not affect final pH value of solution. Thereby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microbial cultivation media is treatment number four.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Enhance Sea Buckthorn Growth in Coal Mining Subsidence Areas in Northwest China

  • Zhang, Yanxu;Bi, Yinli;Shen, Huihui;Zhang, Longji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848-855
    • /
    • 2020
  • Land subsidence induced by underground coal mining leads to sever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plant growth and soil properties. We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AMF on the growth and soil properties of sea buckthorn under field conditions at different reclamation times. Inoculation with AMF significantly promoted the survival rate of sea buckthorn over a 50-month period, while also increasing plant height after 14, 26, and 50 months. Crown width after 14 months and ground diameter after 50 months of inoculation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uninoculated treatment. AMF inoculation significantly improved plant mycorrhizal colonization rate and promoted an increase in mycelial density in the rhizosphere soil. The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rhizosphere soil also increased after inoculation. Moreover, after 26 and 50 months the soil organic matter in the inoculation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The number of inoculated soil rhizosphere microorganisms, as well as acid phosphatase activity, also increased. AMF inoculation may play an active role in promoting plant growth and improving soil quality in the long term and is conducive to the rapid ecological restoration of damaged mining areas.

Effects of Genetically Different 2. 4-D-degradative Plasmids on Degradation Phenotype and Competitiveness of Soil Microorganisms

  • Hong, Seok-Myeong;Ahn, Young-Joon;Park, Yong-Keun;Min, Kyung-Hee;Kim, Chi-Kyung;Ka, Jong-O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3권3호
    • /
    • pp.208-214
    • /
    • 1995
  • The effects of various 2, 4-D-degradative plasmids on the axenic growth patterns, the degradation phenotypes, and the competitiveness of different host bacteria were evaluated in liquid cultures; the organisms and plasmids used were Alcaligenes eutrophus JMP134/pJP4, Alcaligenes paradoxus/p2811, Pseudomonas pickettii/p712, pJP4, and p712 or p 2811 exhibited very different restriction fragment profiles in restriction endonuclease digests. These plasmids were transferred to the recipients (P. cepacia and Alcaligenes JMP228) at relatively high frequencies ranging from 8.9 $\times$ 10$^3$ to 1.6 $\times$ 10$^5$ per donar cell. In the axenic liquid cultures the fast-growing strains, such as P. pseudomallei/p745 and P. cepacia/pJP4, exhibited short lag periods, high specific growth rates, and high relative fitness coefficients, while the slow-growing strains, such as P. pickettii/p712 and A. paradoxus/p2811, had long lag periods, low specific growth rates, and low relative fitness coefficients. Depending on the type of plasmid containing the genes for the 2, 4-D pathway, some transconjugants exhibited intermediate grwoth patterns between the fast-growing strains and the slow-growing strains. The plasmid and plasmid-host interactions determined specific growth rate and lag time, respectively, which were shown to be principal determinants of competitiveness among the strains, but relative fitness coefficient derived from the axenic culture was not always predictive for the mixed culture condition.

  • PDF

하수처리장의 포기조 최적 DO 농도 산정 및 공기송풍량 자동제어를 통한 에너지 절감 효과 도출 (A Study on Energy Saving Effect from Automatic Control of Air Flowrate and Estimation of Optimal DO Concentration in Oxic Reactor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 김민한;지승희;장정희
    • 에너지공학
    • /
    • 제23권2호
    • /
    • pp.49-56
    • /
    • 2014
  • 생물학적 하수처리공정에서 안정적인 방류수질 확보와 처리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유입수 유량 및 성분 농도의 변화와 미생물의 비선형적인 동특성, 기타 환경 요인에 의해서 최적의 운전 제어를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하수처리장에서는 필요한 양 이상의 폭기 및 화학물질을 과량 주입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포기조에서 미생물에 필요한 용존산 소농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과폭기로 인한 전력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최적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최적 제어를 위하여 실시간 미생물 호흡률 측정기(Oxygen uptake rate, OU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실시간 호흡률 측정값을 바탕으로 현재 미생물에 필요한 최적 DO 농도를 제안하였으며, 이에 따라 공기송풍기가 자동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최적 제어 방법을 통하여 하수처리장 포기조의 공기 송풍량에 소요되는 전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Botryococcus sp.의 성장에 미치는 광도와 영양염류의 영향

  • 오희목;김성빈;박준홍;박응로;이성택;권기석;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9-345
    • /
    • 1997
  • Under the light intensity of 25-72$\mu$E/ m$^{2}$/s Botryococcus braunii UTEX 572 grew faster than Botryococcus sp. GE 24 isolated from a freshwater lake. The specific growth rate ($\mu$) of B. braunii UTEX 572 was highest at 0.260 (1/day) on a dry weight basis in Chu 13 medium from 1 to 9 days of incubation and then continuously decreased. Carbohydrate concentration and cellular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s of B. braunii UTEX 572 gradually decreased with light intensity over a range of 25-72$\mu$E/m$^{2}$2/s, whereas the concentrations of protein and cellular N:P ratio increased with light intensity. Chlorophyll-a concentration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with light intensity. The dry weight of B. braunii UTEX 572 increased in the highest rate of 83 mg/l/day at pH 8.0. When the N: P ratio of Chu 13 medium was adjusted to 50: 1 by addition of nitrogen source, dry weight increasing rate was 115 mg/l/day between 20 and 28 days of incubation which was the highest value during the cultivation. Cell growth in an open culture of B. braunii UTEX 572 was highest with Chu 13 medium, whereas that with Chu 13 medium adjusted to pH 7.0, containing 250 mg/l penicillin, or containing 1% glucose was reduced on a large scale. However, this result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mass cultivation of B. braunii UTEX 572 in an open system competing with other microorganisms.

  • PDF

학교 급식설비 및 집기류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and Identification of Food Utensils and Food Service Facilities in School)

  • 홍승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9-19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중독으로 인한 지속적인 위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의 급식시설 및 집기류에서 미생물 오염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세균 측정용 배지에서 $12.3{\pm}2.6$건으로 가장 많은 미생물이 배양되었고, 황색포도상구균 측정용 배지에서 $10.3{\pm}3.9$건과 대장균 측정용 배지에서 $9.5{\pm}3.9$건으로 미생물이 배양되었다. 그러나 비브리오 측정용 배지에서는 $1.5{\pm}1.0$건으로 가장 적은 미생물이 배양되었다. 급식시설 및 집기류에서 미생물 오염이 심한 곳은 전처리실 바닥으로 $4.5{\pm}0.6$건으로 가장 높고, 조리실 바닥도 $4.3{\pm}1.0$건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리대가 $3.3{\pm}1.0$건으로 나타났으며, 급식식탁에서도 $3.0{\pm}0.0$건으로 상당히 높은 미생물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집기류에서는 시설들에 비하여 낮은 미생물 오염도를 보였다. 칼과 도마를 사용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생선용 칼에서 $2.0{\pm}0.8$건과 생선용 도마에서 $1.3{\pm}1.5$건으로 다른 용도에 비하여 약간 높은 미생물 오염도를 보였다. 배양된 미생물들을 동정한 결과, 다양한 미생물들이 오염되어 있으며 일부는 2번 이상씩 반복하여 검출되었다. 특히, 주요 식중독균인 Staphylococcus aureus는 조리대, 트렌치, 칼에서 3번에 걸쳐서 확인되었다. 또한 주요 식중독균에 속하는 Bacillus cereus가 칼에서 확인되었으며, 자연에 널리 분포하면서 때로는 급성폐렴을 일으키기도 하는 Klebsiella pneumoniae는 4번 반복하여 검출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황색포도상구균을 비롯한 주요 식중독균뿐만 아니라 식품의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들이 학교급식의 시설 및 집기류에 오염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학생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더욱 철저한 개인위생 및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시설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형랙배양검사 성적의 분석 -1984년에서 1987년까지 - (Analysis of the Results of Blood Cultures, 1984~1987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 김정숙;이채훈;최명숙;전창호;김경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49-60
    • /
    • 1988
  • 1984년부터 1987년까지의 최근 4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시행한 혈액배양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년간 8083검체의 혈액이 배양되어 582검체에서 균이 분리되어, 총 혈액배양 양성율은 7.2%이었고, 분리균주 중 다균성 감염증은 16예(2.8%)였다. 2) 분리균주의 분포는 그람 양성균이 189, 그람 음성균이 393이었고, 그람 양성균의 균종별 분리는 Staphylococcus aureus가 82, coagulase 음성 Staphylococcus가 73, 기타 Staphylococcus sp.가 20의 순이었다. 그람 음성균은 Escherichia coli가 75, Salmonella typhi가 80, Salmonella paratyphi A가 72이고, 그 외 Kldbsiella, Enterobacter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포도당 비발효 그람 음성균은 Pseudomonas cepacia가 46, Pseudomonas aeruginosa가 16, 그 외 Acinetobacter등이 소수 분리되었다. 3) Salmonella균종을 제외한 모든 균종에서 매년 증가되는 양상을 보이고, 병원내 감염균으로 간주되는 Serratia, Acinetobacter균종이 1984년의 6.35%에서 1987년에는 17.7%롤 증가되었다. 4) Aeromonas hydrophilia는 6~10월에 높은 분리율을 나타애고, Salmonella typhi는 1월과, 5월에서 8월사이, Salmonella paratyphi A는 1월과 6월에서 9월사이에서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다. 대개 모든 균종에서 여름철에 분리율이 높았다. 5) 분리균종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Staphylococcus aureus와 장내세균에서는 기본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나타낸 반면, 포도당 비발효 균종은 약 32%에서 기본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원성 감염의 주요 원인균은 Serratia, Acinetobacter, Pseudomonas, Enterobacter균종에서는 항생제의 내성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 PDF

연속배양 체제에서의 침출수 미생물에 의한 6가 크롬이온의 환원 (Reduction of Hexavalent Chromium by Leachate Microorganisms in a Continuous Suspended Growth Culture)

  • 김현영;오영숙;김영관;최성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26-131
    • /
    • 1998
  • 침출수 미생물에 의한 크롬 6가이온의 3가이온으로의 환원을 회분식 배양 및 실험실 규모의 연속배양체제에서 연구하였다. 회분식 배양에 있어서 다양한 범위는 침출수 (10~60%)와 glucose (50~200 mM)를 첨가한 최소배지에서 초기 농도 $20mg\;L^{-1}$의 크롬(VI)을 첨가한 경우 72시간내에 최대 90%의 크롬(VI)이 침출수 미생물에 의하여 환원되었다. 이때 glucose의 첨가는 크롬환원을 촉진시켰으나, 배지내 침출수 비율의 증가는 오히려 크롬환원을 저해하였다. 후자의 경우는 침출수에 존재하는 황산이온이 크롬이온과 경쟁적 저해를 일으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연속배양 실험은 124일간 상온에서 크롬(VI)의 농도를 $5{\sim}65mg\;L^{-1}$로 증가시키면서 수행하였으며,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36시간일 때 $5{\sim}50mg\;L^{-1}$의 크롬농도 범위에서의 환원은 거의 10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81.2%의 환원효율을 보인 101~124일 구간에서 계산된 specific reduction rate는 $3.492mg\;g^{-1}\;protein\;h^{-1}$였다. 이상의 결과는 침출수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크롬은 함유한 다양한 침출수 또는 피혁폐수의 크롬 무독화과정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 PDF

호기성 생물막을 이용한 HRT 변화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 (Pollutant Removal in Variable HRT Using the Aerobic Biofilm)

  • 안광호;고광백;김이태;김광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495-1501
    • /
    • 2012
  •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influent water with low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such as river water or secondary treatment water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HRT changes by using aerobic biofilm. In the biofilm process, as the biofilm increases in thickness, the inner membrane can be low in oxygen transfer rate and become anaerobic conditions, while the detachment of biomass from biofilm occur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e detachment of microorganisms in biofilm, the yarn, which was made from poly propylene(PP), was weaved and manufactured into a tube. Then, a test was carried out by injecting air so that the interior of the biofilm could create aerobic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TCOD_{cr}$ reached 66.1~81.2% by HRT 2hr, and 50.9 ~61.8% after HRT 1 hr. The removal efficiency of $SCOD_{cr}$ was 45.9 to 55.1% by HRT 1hr, and 26.1% in HRT 0.5hr, showing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in HRT 1hr. The SS removal efficiency was at 81.8 to 94.6%, and the effluent SS concentration was very low, indicating less than 2.2 mg/L in all HRT's. As a result, the $SCOD_{cr}$ and $NH_4{^+}$-N that were removed per specific surface area and attached to microbial biofilm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in HRT 1hr with 8.37 $gSCOD_{cr}/m^2{\cdot}d$, 2.93 $gNH_4{^+}-N/m^2{\cdot}d$. From the result of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biofilm growth, microorganisms were found to be attached, and increased by 36 days. Later, they decreased in number through detachment, bu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gain 41 days later due to microbial reproduction.

음식물폐기물과 축산분뇨 혼합폐수의 이상혐기소화에 따른 소화액의 위생성 연구 (Two-Phase Anaerobic Digestion of Food and Livestock Wastewater and Hygienic Aspects of the Digested Water)

  • 정두영;정명희;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4호
    • /
    • pp.66-73
    • /
    • 2009
  • 음식물류폐수와 축산분뇨를 1:1로 혼합한 폐수를 대상으로 고온/중온의 이상혐기소화공정을 실시하였고 혼합폐수내 병원성미생물의 존재 및 소화과정중 미생물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혼합원액내 미생물은 대장균, 분변성 장내세균, 대장균군 등의 장내세균총을 비롯하여 식중독을 일으키는 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 이질의 원인균인 쉬겔라, 유가공제품내 대표적 병원성세균인 리스테리아 및 효모 등이 검출되었다. 혐기소화의 안정화시기는 반응후 21일이 지나서부터 시작하였으며, 이 시기를 전후하여 산 발효조와 메탄발효조에서 각각 80% 및 90% 내외의 가파른 감소율을 보이며 대부분의 미생물이 감소되었다. 안정화이후 유기물의 평균분해율은 메탄발효조에서 60% 내외를 기록하였다. 메탄 발효조를 거친 소화액내 미생물개체수는 반응종료 시점에서 대부분 불검출 되었으나, 리스테리아와 포도상구균의 경우, 비교적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며 반응최종일까지 검출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