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 cattle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1초

NUTRITIVE VALUES AND GROWTH RESPONSE OF CATTLE FED AMMONIA TREATED RICE STRAW

  • Maeng, W.J.;Chung, T.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1-6
    • /
    • 1989
  • Nutritive values and fermentation rates of rice straw treated with 3% anhydrous and 3% aqueous ammonia were evaluated both in vitro and sheep metabolism trials. Daily gain, feed efficiency and feed cost per gain were also determined with growing Holstein bulls fed anhydrous and aqueous ammonia treated rice straw. Crude protein was increased 2.4 fold and NDF was decreased 6.5%, but ADF and cellulose were not different between untreated and ammonia treated rice straw. An average of 35.5% of total added ammonia-N retained in the rice straw and other 64.5% was not retained in the rice straw. Ammonia treatment increased in vitro DM, NDF, ADF and cellulose digestibilities by 44.8%, 43.3%, 49.4% and 42.4%, respectively, and fermentation rates by 63.3%, 132.4%, 49.4% and 42.4%, respectively. In sheep metabolism trials, DM digestibilities of rice straw treated with anhydrous and aqueous ammonia were increased 22% and 36%, respectively, and digestible DM intakes by 48% and 70%, respectively in sheep fed anhydrous and aqueous ammonia treated rice straw over untreated rice straw. Rumen ammonia and blood urea were considerably higher in sheep fed ammonia treated rice straw than sheep fed untreated rice straw. Daily gain of Holstein bulls was increased 20.8% and 29.9% and rice straw intakes were increased 28.4% and 44.3% in anhydrous and aqueous ammonia treated rice straw over untreated rice straw. Feed conversion was improved 9.5% and 10.3% and feed cost/gain was reduced 7.1% and 9.2% respectively in anhydrous and aqueous ammonia treated rice straw group as compared with untreated rice straw group.

Effect of Maternal Passive Autoimmunization against Myostatin on Growth Performance in Chickens

  • Moon, Y.S.;Lee, H.G.;Yin, Y.H.;Jin, X.;Hong, Z.S.;Cho, J.S.;Kim, S.C.;You, S.K.;Jin, D.I.;Han, J.Y.;Choi, Y.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7호
    • /
    • pp.1017-1021
    • /
    • 2005
  • Myostatin is a negative regulator of skeletal muscle growth and a loss of functional myostatin protein increases muscle hypertrophy and hyperplasia in cattl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maternal passive immunization against myostatin would improve growth performance in chickens. A complete broiler myostatin cDNA was cloned and it was expressed into two transcripts as 1,128 bp and 985 bp by alternative splicing. A conjugated mature myostatin (350 bp) was used to induce autoimmunization and maternal passively immunized chickens was used for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aternal passive immunization against myostatin at zero weeks of age, but its effect was reduced by 6 weeks of age. The auto-immunized groups showed smaller body weight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during the growing period and the difference was getting bigger with time until 6 weeks of 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ssive autoimmunization against myostatin used in this study is not potent enough to stimulate growth performance in chickens.

비닐하우스에서 인삼 직파재배 시 유기물 처리에 따른 연차간 입모율 및 생육특성 (Emergence R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Ginseng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Organic Matters in Greenhouse of Direct-Sowing Culture)

  • 박홍우;모황성;장인배;유진;이영섭;김영창;박기춘;이응호;김기홍;현동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7-36
    • /
    • 2015
  • Shading and soil environment are the main factors of growth and yield i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Ginseng yield is directly related to survival rate because of increased missing plant for their growing period. Under field conditions, diseases and pests significantly affect plant survival rate. We evaluated the seedling establishment, growth and ginsenoside of the ginseng plants, under controlled management conditions in a plastic greenhouse, when their treated with different types of organic matter. Ginseng seeds were sown at a rate of three seeds per hole, and the seeding space measured $10cm{\times}15cm$.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of cattle manure vermicompost (CMV) was shown to increase seedling establishment and decrease ginsenoside content. Root weights of plants treated with CMV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nts treated with other types of organic matter. In addition, seedling establishment of 2-year-old ginseng plants was decreased when it was compared to that of 1-year-old ginseng plants. Our results indicated that organic matter type and rate were associated with seedling establishment, growth characteristic and ginsenoside content in greenhouse of ginseng direct-sowing culture.

농촌시설물 시공 및 유지관리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작업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of Agricultural Facilities for Developing a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System -Focused on Vinyl house, Glass greenhouse, Cattle shed-)

  • 최오영;김태희;김재엽;김광희;최응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47-155
    • /
    • 2009
  • 최근 들어 농촌에서는 농업규모의 증가, 기술적 복합성 증가, 대량 생산으로 시설물이 점차 다양화, 대형화, 복잡화 되고 있다. 또한 농업의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관리기술이 필요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분류체계를 설정하고자 한다. 시설물에 대한 분류체계 및 코드부여 작업을 통해 PCM(조달-시공-유지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시설물(Facilities), 공간(Spaces), 부위(Elements), 공종(Works), 자원(Resources)의 5가지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농촌시설물에 적합한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농촌시설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비닐하우스, 온실, 축사 순으로 위계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비닐하우스는 프레임 공간과 시설물 마감공간으로 구분하여 자재코드를 부여하였다. 온실의 경우는 창호의 형태에 따라 코드를 부여하였으며, 축사는 H-beam축사, Pipe축사로 구분지어 코드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분류코드는 향후 조달 시공 유지관리 시스템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제품의 부품화와 모듈화를 통해 전문가의 도움 없이 농민이 직접 설치 시공 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및 교체부품의 정확한 구분으로 인해 폐기물을 최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Regeneration of Bovine Mammary Gland in Immunodeficient Mice by Transplantation of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Mixed with Matrigel

  • Park, Hyun Jung;Lee, Won Young;Jeong, Ha Yeon;Song, Hyuk
    •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Cells
    • /
    • 제9권2호
    • /
    • pp.186-191
    • /
    • 2016
  • Background and Objectives: With the global demand for dairy protein for consumption growing annually, there has been increasing activity in the research field of dairy protein synthesis and production. From a manipulation perspective, it is more difficult to use live cattle for laboratory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milk as well as of dairy protein such as casein, as compared with using laboratory animals like rodents. Therefore, we aimed to develop a mouse model of bovine mammary alveolar ducts for laboratory-scale studies. We studied the formation of the bovine mammary gland ductal structure by transplanting the MAC-T bovine alveolar cell line into mice. Methods and Results: MAC-T cells ($1{\times}10^7$) were suspended in Matrigel and injected into the dorsal tissue of 8-week-old male BALB/C nude mice. Histological analysis of tissue dissected from the MAC-T cell-transplanted mice after 6 weeks showed the typical morphology of the tubuloalveolar female gland, as well as glands made up of branching ducts that were surrounded by smooth muscle with small alveoli budding off the ducts. In addition, the epithelial markers CK14 and CK18 were expressed within the duct-like structure. Prolactin was detected in the duct interior in these CK14+ and CK18+ cells but not in the non-transplanted MAC-T cel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duct-like tissue had been successfully formed after 6 weeks of transplantation of the CK14+ and CK18+ MAC-T cells into mice dorsal tissue. This mouse model will be a useful tool for further research on the bovine mammary gland.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Hay and Haylage Feed Value and Quality of Triticale (X Triticosecale Wittmack)

  • Jisuk Kim;Kyungyoon Rha;Myoung Ryoul Park;Yul-Ho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2-322
    • /
    • 2022
  • Hay and haylage as forage are increasing in preference for cattle feed. Triticale (X Triticosecale Wittmack) is growing up as a forage crop due to its high production and feed value in South Korea.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harvesting stage of triticale for producing hay or haylage with the highest forage value and quality because feed and nutritional value by growth stages of triticale were not known in South Korea yet. In this study, we analyzed forage values, pH, and contents of organic acid, to confirm feed value and quality by growth stages of triticale. The triticale 'Joseong' was sown in the spring of 2022. The sample was prepared in 5 stages: seedling stage, booting stage, heading stage, 10 days after heading, and 20 days after heading. The triticale was dried under 10% and to about 50% moisture for hay and haylage respectively, and then both triticales were fermented anaerobically at room temperature for 40 days. The pH value in all hay and haylage became lower as the triticale was grown up, although the pH value of all triticale hays and haylages ranged between 7.05-5.68. The content of lactic acid in all triticale hays was almost meaningless. The contents in the haylage of the seedling stage were the highest (2.39%) among the haylages, even though those of 20 days after the heading stage (1.67%) were the lowest, which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pH value. Conclusionally,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feed value and quality of triticale haylage were affected by harvesting time but not hay.

  • PDF

한우의 육성 및 비육기간중 배합사료 급여 수준에 따른 사료섭취량 조사 (Feed Intake Evaluation of Korean Cattle (Hanwoo) F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Compound Fattening Periods)

  • 신기준;오영균;이성실;김경훈;김창현;백봉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95-104
    • /
    • 2002
  • 배합사료와 볏짚을 사료원으로 하여 한우 수소와 거세우를 비육 할 때의 사료섭취량을 조사하고자 5~7개월된 한우 수송아지 20두와 거세 송아지 60두를 공시하여 육성기(체중 300kg 이하), 비육 전기 (체중 300~450kg), 비육 후기 (체중 450kg 이후) 3단계로 나누어 육성우 배합사료 (CP 14.1%, TDN 70.0%), 비육 전기 배합사료(CP 12.1%, TDN 70.6%), 비육 후기 배합사료(CP 11.2%, TDN 71.9%)를 각각 성장단계별로 급여하면서 1) 수소와 거세우의 무제한 급여시의 사료 섭취량 (원물 기준)과 2) 거세우를 성장단계에 따라 배합사료를 ① 전기간 무제한 급여 ② 1.0%-1.5%-무제한급여, ③ 1.5%-2.0%-무제한급여의 3유형으로 사양관리 하면서 사료 섭취량 (원물 기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수소의 1일 사료섭취량은 직선적으로 증가된 반면에 거세우의 사료섭취량은 521 kg 까지는 증가되다가 감소되었다. 2. 체중대비 사료 섭취량은 시험 시작시인 150 kg 에서는 체중의 3.5% 정도를 섭취하였으나 600 kg에서 수소는 체중비 2.0% 내외로 거세우는 1.5% 정도로 감소되었다 3. 거세우의 1일 사료 섭취량은 전기간 무제한 급여시는 비육 전기까지는 완만하게 증가 하다가 비육 후기에는 다시 완만하게 감소된 반면 육성기와 비육 전기에 배합사료를 체중비 1.0%와 1.5%로 제한하여 급여 하였을 때는 사료 섭취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5%와 2.0%로 제한하여 급여하였을 때는 비육 전기까지는 비교적 빠르게 증가되고 비육 후기(체중 455 kg)에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감소되었다. 4. 배합사료 급여수준에 따른 거세우의 단위체중당 사료 섭취량은 무제한 급여시는 시험 시작시 (체중 150 kg 내외)에는 3.5% 내외에서 체중 600kg 내외에서는 1.5%까지 감소되었고 배합사료 제한 급여시는 육성기에는 2.0%에서 3.0%로 증가되다가 다시 1.5-2.0% 정도로 감소되었다 5. 거세우에 배합사료 급여수준에 따른 볏짚 섭취량은 배합사료 제한급여시 무제한 급여에 비하여 육성기에는 2-3배로 비육 전기에는 2배로 증가되었으나 비육 후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곡류 사료원별 육성기 한우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가스 배출량 비교 (Comparison of Methane Production in Korean Native Cattle (Hanwoo) Fed Different Grain Sources)

  • 설용주;김경훈;백열창;이상철;옥지운;이강연;홍성구;박규현;최창원;이성실;오영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2호
    • /
    • pp.161-169
    • /
    • 2011
  • 본 연구는 거세 한우의 육성기 기간에 각각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여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시 사료는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60%와 티모시 건초 40% 비율로 급여하였고 TDN 함량은 71.4%, CP는 14.6% 이었다. 시험은 Korean Feeding Standard for Hanwoo(2007)에 따라 각각 일당 증체량 0.7 kg/일에 필요한 각각의 TDN량 2.80 kg의 공시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tripled 2 ${\times}$ 2 Latin square design으로 수행하였다. 사료 및 환경 적응기간 총 14일과 분 뇨 가스 측정기간 4일로 하여 진행하였고, 메탄가스는 후드식 챔버에서 입식되어 하루 동안 측정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보리 처리구에서 3.9 kg, 옥수수 처리구는 3.8 kg으로 보리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섭취량이 높았다(P<0.05).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사료를 급여했을 때 사료의 특성상 보리가 옥수수보다 반추위 내 정체 시간 및 소화속도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DM, CF, NFE, NDF와 ADF 소화율의 차이는 없었다. 보리와 옥수수 급여구 섭취에너지는 대사체중 당 총에너지 섭취량은 각각 337.6 kcal/$BW^{0.75}$와 337.2 kcal/$BW^{0.75}$이었다. 총 섭취에너지 중 분으로 손실된 에너지는 보리 26.5%와 옥수수 29.6% 수준이었고, 뇨로 손실된 에너지는 보리 2.8%와 옥수수 2.3% 수준이었다. 체열에 의한 손실량도 보리와 옥수수 급여구 각각 32.4%와 34.0% 이었다. 보리와 옥수수 섭취에 따른 대사율(ME/GE)은 보리 0.64(ME/GE), 옥수수 0.62 (ME/GE) 이었다. 호흡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 이산화탄소와 메탄생성량은 보리위주 농후사료를 급여했을 때 산소 소모량 1.89 kg/day, 이산화탄소와 메탄 생성량은 2.71 kg/day와 86.8 g/day이고,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했을 때의 산소 소모량 1.68 kg/day, 이산화탄소와 메탄 생성량은 2.23 kg/day와 77.7 g/day 이었다. 육성기에서는 보리위주 농후사료와 옥수수위주 농후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산소 소모량이 거의 같았고, 보리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이산화탄소와 메탄생성량이 각각 19.2%와 8.2% 높았다. 메탄배출계수는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시 31.7 $CH_4\;head^{-1}\;yr^{-1}$과 28.4 kg $CH_4\;head^{-1}\;yr^{-1}$로 나타났다. 메탄전환계수는 섭취한 사료에 대한 에너지 손실율이 보리는 보리 급여구에서 6.5% (0.065 Ym) 이었고, 옥수수 급여구에서 5.5% (0.055 Ym)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후드식 챔버를 이용하여 급여사료와 급여 에너지 차이가 사양시기별 한우에 의해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여 메탄 배출계수와 메탄전환계수를 예측하여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에 그 목적이 있다.

생태적 축산폐수 처리 및 재활용 연못시스템의 폐수처리수준 (Treatment Level of a Pond System for Ecological Treatment and Recycling of Animal Excreta)

  • 양홍모;이종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0-75
    • /
    • 1998
  • 실험결과 최종처리수의 $BOD_5$를 30mg/l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최종처리수의 총질소와 총인은 축산폐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보다 월등히 낮다. 연못상층에서 조류(Algae)가 성장하면서 질소와 인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연못시스템은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최종처리수의 평균 SS가 $30mg/{\ell}$ 보다 다소 높아 2차처리 수준의 방류수 수질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연못상층의 조류(Algae) 성장에 원인이 있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 2차연못과 3차연못의 SS는 거의 조류가 차지하고 있다. 조류를 회수하여 사료로 사용하거나 처리수를 유기농업 관수로 이용하여 조류를 비료로 이용하는 재활용 방법이 바람직하다. 실험 연못시스템의 모델은 연못의 수, 연못의 종류, 각 연못의 크기, 유입폐수의 $BOD_5$ 부하량을 적절히 조절하면 액상폐수(뇨${\cdot}$오수)뿐아니라 분${\cdot}$${\cdot}$오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국내 여건에서는 중소규모 축산시설의 폐수를 처리하는데 연못시스템이 적합하며, 토지확보가 가능하면 대형 축산폐수 공동처리시설로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축산농가에 설치되어 있는 간이정화조와 산화구를 연못시스템으로 대치하여 이들의 낮은 처리효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다른 처리기법에 비해 연못시스템은 관리운영에 적은 인력과 경비가 소요하여 노동력이 부족한 농촌지역에 적합하다.

  • PDF

안전 축산물 생산을 위한 가축사료 내 중금속 오염 분석에 관한 연구 (Contamination Analysis of Heavy Metals in Commercial Feed for the Production of Safe-Animal Products)

  • 강정미;조상범;김수기;이상석;이시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17-722
    • /
    • 2010
  • 가축의 안전한 축산물 생산을 위하여 2004년에서 2007년 상반기까지 국내에서 생산된 배합사료 중 소사료, 돼지사료 및 닭사료의 유해중금속(납, 크롬, 카드뮴, 비소, 셀레늄 및 수은) 및 양돈사료의 구리, 아연, 인 함량을 분석하여 사료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연도별 배합사료 중 유해중금속을 분석한 결과 카드뮴을 제외한 다른 유해성분은 허용기준보다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카드뮴은 2005년도 돼지사료 총 987점 중 1점, 2006년도 돼지사료와 닭사료 1,239점과 778점 중 각각 4점과 1점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양돈용 배합사료중의 구리, 아연 및 인을 분석하여 양돈사양에 필요한 요구량과 비교하였다. 구리함량을 분석한 결과 육성돈 후기용, 비육돈 및 종돈용 배합사료에 있어서 그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는 평균비율은 각각 0.97%와 9.9%로 나타났다. 양돈용 배합사료 내 구리 함량(자돈용 80.98 ppm, 육성돈용 44.82 ppm, 비육돈 및 종돈용 19 ppm)은 양돈사양에 필요한 요구량, 3.5-6.0 ppm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급여하고 있었다. 또 자돈용, 육성돈용 그리고 비육돈 및 종돈용에 있어서 아연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는 평균비율은 각각 5.7%, 7.7%, 그리고 9.3%로 나타났다. 양돈사료의 평균 인 함량은 0.74%로 검출되어 사료내의 인 요구량과 비슷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