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초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경남 오염우려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 (Ground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Concerned Area in Gyeongnam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 차수연;서양곤
    • 청정기술
    • /
    • 제27권2호
    • /
    • pp.174-18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지역의 오염감시전용측정망의 5년간(2013 ~ 2017) 자료를 이용하여 주오염원과 분기별 지하수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오염원은 산업단지지역, 광산·폐광산지역 및 하수처리시설로 구별하였다. 분석 항목은 현장측정 항목(수온, pH,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산화물환원전위), 양이온 그리고 음이온이었다. 수온과 pH는 주오염원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평균농도의 합은 산업단지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하수처리시설 그리고 광산·폐광산지역 순이었다. 산업단지지역에서는 전기전도도의 값이 가장 높았고, 용존산소의 값이 가장 낮았다. 산업단지지역은 나트륨이온이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인 반면 하수처리시설과 광산·폐광산지역에서는 칼슘이온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주오염원에서 중탄산염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온, pH 그리고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는 분기마다 크게 다르지 않았다. 수질유형 중 Na-HCO3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외부 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Na-Cl 유형도 오염감시전용측정망의 전체 자료 중 약 20%를 차지하였다.

국내 지진 감시·예측을 위한 지하수관측망의 활용 방안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for Earthquake Surveillance and Prediction)

  • 이현아;함세영;우남칠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5호
    • /
    • pp.401-414
    • /
    • 2017
  • 지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진 예측과 예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지진예측지표 중,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의 장기관측자료에서 지진 전에 나타나는 이상변동은 지질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와 매체 내 균열의 발달에 의한 것으로 지진의 발생 시기와 규모를 추측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국외에서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을 지진감시 관측망의 보조관측망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 지진 예측에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에서야 지하수를 활용한 지진예측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그 가운데 발생한 2016년 9월의 경주지진 전후로 나타난 지하수의 변동은 많은 관심을 불러왔다. 이 연구는 지진감시 및 예측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하수관측시설을 운용하고 있는 중국, 일본, 미국의 관측시설 현황 및 연구 사례를 분석, 검토하고 최근 우리나라에서 수행되기 시작한 지진예측 연구의 연구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앞으로 고품질의 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지진감시 전용의 단층대 지하수관측시설 구축과 주요 관측인자의 실시간 감시, 이상변동의 폭과 관측되는 거리에 대한 정밀한 평가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미국 지하수 기술 특허네트워크 분석과 주요 특허 기술 동향 (U.S.'s Patent Network Analysis and Technology Trends on Underground Water for the Response of Climate Change)

  • 윤순욱;최한나;김민철
    • 에너지공학
    • /
    • 제28권3호
    • /
    • pp.55-6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의 관점에서 미국 지하수 기술을 특허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핵심특허를 파악 할 수 있었다. 분석된 핵심 특허를 살펴보면, 오염된 지하수를 중금속 제거기술을 사용하여 지하수가 오염되지 않게 하여 음용수와 오염 지하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고 기술 간 전파 되고 있었다. 또한 지하수 기술 특허 간의 특허들이 매개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지만 지하수 기술 간의 특허의 연결성은 높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지하수 관련 특허 기술은 크게 양수, 모니터링, 오염정화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모니터링은 지하수 유량, 흐름 또는 수질 분석을 위한 지표, 지리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종류, 농도 등 물리화학 및 생물학적 특성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오염정화 기술은 토양 및 지하수 정화를 위한 원위치 또는 비원위치에 적용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정화 처리 공정을 말한다. 미국의 기술적 사례를 발굴하여 분석하면서 미국이 수처리 분야에서 기술력이 높았고 기후변화로 인한 물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진흥과 특허를 통한 지재권보호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오염원에 의한 지하수 수질의 변화 (Change of Groundwater Quality derived from Contaminant Sources)

  • 배상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5호
    • /
    • pp.75-75
    • /
    • 1995
  • In order to provide for the guidance on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esign and also, to suggest the index to the solution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remediation problems in the lake watersh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taminant transport in the groundwater. The solute transport was analyzed in the lake watersh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the injected contaminant sources depen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int of contaminant sources and position of the lake. Three hypothetical groundwater flow systems, which is composed of a flow-through lake and two solute sources, were considered. The lakes locate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a watershed respectively. The transported contaminant was numerically simulated for five years by using MT3D contaminant transport model under the three-dimentional steady state conditions. From the above simula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was high as the contaminant source located at the upper position of a watershed, and the influence of the contaminant injection was large as the solute source located at the lower position. When the injection of contaminant was continued for one year without regard to the position of contaminant source and the lake, the influence of contaminant source was reached to bedrock.

오염원에 의한 지하수 수질의 변화 (Change of Groundwater Quality derived from Contaminant Sources)

  • 배상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5호
    • /
    • pp.461-468
    • /
    • 1995
  • In order to provide for the guidance on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esign and also, to suggest the index to the solution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remediation problems in the lake watersh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taminant transport in the groundwater. The solute transport was analyzed in the lake watersh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the injected contaminant sources depen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int of contaminant sources and position of the lake. Three hypothetical groundwater flow systems, which is composed of a flow-through lake and two solute sources, were considered. The lakes locate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a watershed respectively. The transported contaminant was numerically simulated for five years by using MT3D contaminant transport model under the three-dimentional steady state conditions. From the above simula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was high as the contaminant source located at the upper position of a watershed, and the influence of the contaminant injection was large as the solute source located at the lower position. When the injection of contaminant was continued for one year without regard to the position of contaminant source and the lake, the influence of contaminant source was reached to bedrock.

  • PDF

수막용수 사용으로 인한 시설재배지역의 지하수 수온과 전기전도도 변화 특성 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Conductivity and Water Temperature Changes in Greenhouse Complex by Water Curtain Cultivation)

  • 백미경;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5권6호
    • /
    • pp.93-10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water curtain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complexes on groundwater's electric conductivity and water temperature. The greenhouse complexes are mainly situated along rivers to secure water resources for water curtain cultivation. We classified the groundwater monitoring well into the greenhouse (riverside) and field cultivation areas (plain) to compare the groundwater impact of water curtain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complex. The groundwater observation network in Miryang, Gyeongsangnam-do, located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was selected for the study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water temperature, the following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observed characteristics by region. 1)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water temperature of the riverside area, where the permeability is high and close to rivers, showed a constant pattern of annual changes due to the influence of river flow and precipitation. 2) The flat land in general agricultural areas show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drock observation in the case of water temperature. Still, it seemed more affected by the surrounding well's water use and water quality. The electric conductivity did not show any particular trend and was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each point.

국내 대수층 유형 분류를 통한 지하수위와 수질의 특성화 (Characterization of Groundwater Level and Water Quality by Classification of Aquifer Types in South Korea)

  • 이재민;고경석;우남칠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5호
    • /
    • pp.619-629
    • /
    • 2020
  • 국가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 장해 예방과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유역별로 암반 대수층 또는 충적과 암반 대수층 모두에 설치·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지질학적 유형인 자유면과 피압 대수층으로 재분류하여 국내 지하수의 수위와 수질 특성을 재평가하고, 모니터링 자료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충적-암반 쌍으로 구성된 관측소에서 산출된 지하수위 관측자료의 주성분 분석(PCA) 결과, 충적-암반 대수층의 수위변동 주성분은 유사한 변동 패턴을 보였다. 강수량에 따른 수위 상승율과 질산성질소 농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수리지질학적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자유면 대수층과 피압 대수층의 지하수위 변동 주성분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였다. 강수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수위 상승률은 자유면 대수층과 피압 대수층에서 각각 4.6 (R2=0.8)과 2.1 (R2=0.4)로 산정되어 피압 대수층에서는 강수 함양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피압 대수층으로 분류된 관정들에서는 질산성질소 평균 농도가 3 mg/L 이하로,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자연배경농도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국가지하수관측망의 대수층을 수리지질학적 유형으로 재분류했을 때, 수위변동 패턴과 질산성 질소 농도 분포에서 유형별 차이가 구분되어 대수층 유형 분류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상태는 함양량 평가에 따른 지하수자원의 양적 관리와 잠재오염원으로부터의 수질 관리에 필요한 핵심정보를 제공함으로 지하수자원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국내 농축산단지 내 지하수 수질특성 및 오염인자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factors in Livestock Region, South Korea)

  • 윤종현;박선화;최효정;김덕현;김문수;윤성택;김영;김현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5권4호
    • /
    • pp.98-105
    • /
    • 2020
  •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some of the important ionic contaminants in groundwaters of national monitoring network in Korea were identified, and their correlation to nitrate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Approximately 80% of the groundwater samples were found to be as Ca2+-(Cl-+NO3-) type groundwater with the concentration ranges [minimum to maximum values, median (mg/L)] of Ca2+[0.1~228.2, 19.7], Mg2+[0.1~53.2, 5.1], K+[0.1~50.8, 1.9], Na+[1.5~130.5, 18.1], NO3--N[0.1~73.4, 9.3], NH4+-N[0.0~53.9, 0.3], Cl-[3.1~482.6, 24.0], and SO42-[2.8~101.6, 7.0]. The prevalence of Ca2+-(Cl-+NO3-) type suggest that the composition of groundwaters were greatly influcenced by chemical fertilizers and animal manure, Correlation analyses indicated thr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O3--N concentration and ionic species including Cl-, Ca2+, Mg2+, and Na+.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was strongest for Cl- and NO3--N, suggesting that groundwaters largely impacted by agricultural and livestock breeding activities tend to contain high levels of Cl-.

New Zealand Hydrology: Key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s

  • Davie, T.J.A.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
    • /
    • 2007
  • New Zealand is a hydrologically diverse and active country.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major hydrological issues and problems facing New Zealand and provides examples of some the research being undertaken to solve the problems. Fundamental to any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is the provision of good quality hydrometric data. Reduced funding for the national hydrometric network has meant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monitoring sites, the decision on how to redesign the network was made using information on geographic coverage and importance of each site. New Zealand faces a major problem in understanding the impacts of rapid land use change on water quantity and quality. On top of the land use change is overlain the issue of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The transfer of knowledge about impacts of change at the small watershed scale to much larger, more complex watersheds is one that is attracting considerable research attention. There is a large amount of research currently being undertaken to understand the processes of water and nutrient movement through the vadose zone into groundwater and therefore understanding the time taken for leached nutrients to reach receiving water bodies. The largest water management issue of the past 5 years has been based around fair and equitable water allocation when there is increasing demand for irrigation water. Apart from policy research into market trading for water there has been research into water storage and transfer options and improving irrigation efficiency. The final water management issue discussed concerns the impacts of hydrological extremes (floods and droughts). This is of particular concern with predictions of climate change for New Zealand suggesting increased hydrological extremes. Research work has concentrated on producing predictive models. These have been both detailed inundation models using high quality LIDAR data and also flood models for the whole country based on a newly interpolated grid network of rainfa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