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water Pollution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2초

제주도의 지하수 관측망 자료를 이용한 지하수위 및 전기전도도 변화 해석 (An Interpretation of Changes in Groundwater Leve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Monitoring Wells in Jeiu Island)

  • 이진용;이규상;송성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925-935
    • /
    • 2007
  • 제주도는 현무암과 조면암으로부터 기원한 투수성 높은 토양으로 인하여 지표수 유입에 따른 상시하천 발달이 어려워,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른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은 지하수위 강하로 이어져, 제주도내 많은 지역에서 지하수 오염과 해수침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도의 항구적인 지하수자원 보전을 위하여 1994년 이래 일부 지역을 지하수 보전구역으로 지정하였으며, 이 지역내의 모든 지하수 개발은 허가를 받도록 지정한 바 있다. 또한 지하수 수문과 관련된 수리지질 정보 획득을 위하여, 2001년 이래로 제주도 내 해안지역 및 저지대 전체를 대상으로 지하수 관측망을 설치 운영 중이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지하수 관측망으로부터 얻어진 지하수위, 수온, 전기전도도 등 장기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부 해안지역의 경우 지하수위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부 해안지역의 경우는 최근 취수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해수침투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관측정에서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지하수 개발과 관련하여 제주특별자치도의 강력한 통제로 인하여 최근들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해안지역의 경우에는 지하수위 하강 및 전기전도도 상승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정상 지하수흐름을 갖는 층상대수층에서의 용질이동해석 (Analysis of Solute Transport with Steady State Groundwater Flow in Layered Aquifer)

  • 이승한;정일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23-34
    • /
    • 1997
  • 난지도 매립지는 주변에 오염차감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불량매립지로서, 매립지내의 수위가 높고 지층의 심도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층상대수층을 이루고 있는 난지도 매립지에서 정상상태의 지하수 흐름에 대한 용질의 이용을 HST-3D모형을 사용하여 해석하고, 용존오염물의 농도변화를 예측하였다. 모형의 적용 결과, 지하수의 흐름은 제1매립지와 제2매립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강으로 다량이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지도 매립지내의 용존물질 이송확산을 예측한 결과, 2년후 매립지 경계에서 총용존물질(TDS)의 상대농도는 하부의 풍화대에서 0.25, 하부충적층에서 0.26, 상부충적층에서 0.28로 나타나 현재의 0.29, 0.32. 0.35보다 작으므로 지속적인 기반암의 오염과 한강의 오염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제주도 지하수관정의 오염저감방안 (Improvement Method for Preventing Groundwater Pollution in Jeju Island)

  • 양성기;한상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35-743
    • /
    • 2007
  • A grouting method is the way to effectively prevent pollutants from spreading into the ground during the digging process of groundwater. This study,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f grouting methods being generally accepted, suggests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which are suitable for geological structure as follows: In Jeju Island, it is very likely that rocks may fall in shuttered zones such as cracks, joints, scoria layers, and clinker layers. For this reason, it is recommended that materials be injected from the bottom toward the top, not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injected materials become too large in the areas of cracks or joints because of high level of permeability coefficient, grouting materials which smeared into surrounding areas may cause unwanted cut in the aquifer of the bottom level. To avoid this, the amount of water should be reduced from the typical water-cement ratio of 1:2, and grouting materials with larger grading should be used. If the deep excavation of ground is made in Jeju Island, it is likely to have lots of voids because of ge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o construct interior casing, the centralizer should be attached to the casing to prevent the casing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counter fort. The grouting in Jeju Island should be thicker than usual. To avoid over-use of grouting materials, to prevent grouting in more than necessary zone, and to facilitate grouting of void areas, the flexible selection of materials is required. And, to exactly figure out the interior of dug well, an examination through CCTV should necessarily be performed when grouting work is in progress.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 기법 동향과 국내 적용성 고찰 (Consideration of Trends and Applications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s in South Korea)

  • 김규범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6호
    • /
    • pp.1-16
    • /
    • 2008
  • 지하수 오염취약성이란 매질 자체의 고유 오염취약성과 오염 물질의 특성 또는 특정 인간 활동 등에 따른 특정 오염취약성으로 분류되며, 세계적으로 각국의 대수층 수리적 특성 및 사회환경 여건에 따라 오염취약성 평가 기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지수 방법의 하나로서 지질구조선 등을 고려한 변형 DRASTIC 방법을 개발하였으나, 고유 및 특정 오염취약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 및 지하수 환경 여건 등을 고려하여 국내 여건에 맞는 오염취약성 평가 기법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지하수법 제정 이후 지하수 기초조사, 각종 연구 프로젝트 등을 통하여 생성된 대용량의 수질자료, 수문특성 자료, 오염원자료, GIS data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기법을 접목, 검증해 본다면 현실성 있는 오염취약성 평가 기법이 가능할 것이다.

지하수자원의 경제적 가치 평가 적용과 관련한 최근동향 (Recent Trend for the Application of Total Economic Value (TEV) Estimation to Groundwater Resources)

  • 송성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2호
    • /
    • pp.1-6
    • /
    • 2012
  • Total Economic Value (TEV) provides a framework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water resources including groundwater with multiple applications to natural resource economics and environmental economics. Crucial to the application of economic analysis to natural resources are techniques to value the resources as an economic value that is expressed in monetary terms. On the other hand, the aim of TEV estimation is to determine the economic value of water resources including 'use' with production and recreation and 'non-use' such as existence values. TEV is used to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water resources for the multiple goods, and environmental 'services' that are provided by a water resource and also used to assess options for water use, for example balancing production values provided by water resource use against the cost of resource degradation by that use. The value of TEV can be assessed over time where pollution or unsustainable use may reduce the economic value of an environmental asset. Therefore, values are used to assess options of resource use, sometimes leading to policies on resource conservation or allocation.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EV would be well adjusted over Jeju Island where groundwater resources account for more than 98% water resources and the budget of water demand/supply shows disparity over the Island.

지하수의 경제성 평가 연구: 지하수 관정을 중심으로 (A Cost-Benefit Analysis of Groundwater: Pumping Wells in Korea)

  • 김선근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3호
    • /
    • pp.219-225
    • /
    • 2014
  • 전국의 지하수 관정은 2012년 기준 1,474 천 개소이며 지하수 이용량이 총 용수 이용량의 12%를 차지하고 있다. 수자원장기기본계획은 2021년 전국 용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지하수 이용이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하수 활용을 위한 인공함양이나 강변여과 보다 관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므로 관정의 경제성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관정에 의한 지하수자원 활용이 경제적인지 아닌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관정의 편익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첫째, 활용가치로 음용수 및 농공용수의 공급가치, 둘째 비활용 가치로 잠재활용 대비 미래를 위한 부존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비용은 관정의 설치비용 및 교체비용, 관리비용, 그리고 폐공의 환경오염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한다. KDI의 수자원사업 예비타당성 가이드라인과 미국 환경청 그리고 세계은행의 지하수자원 비용-편익분석 모델을 원용하여 관정의 비용편익 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지하수 관정의 편익이 비용보다 2.98배 높아 지하수 관정에 의한 지하수자원 공급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Cost-Benefit Analysis of Groundwater Supply through Pumping Well Technology

  • Kim, Sun G.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9-487
    • /
    • 2015
  • 전국의 지하수 관정은 2012년 기준 1,474 천 개소이며 지하수 이용량이 총 용수 이용량의 12%를 차지하고 있다. 수자원장기기본계획은 2021년 전국 용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지하수 이용이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하수 활용을 위한 인공함양이나 강변여과 보다 관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므로 관정의 경제성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관정에 의한 지하수자원 활용이 경제적인지 아닌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관정의 편익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첫째, 활용가치로 음용수 및 농공용수의 공급가치, 둘째 비활용 가치로 잠재활용 대비 미래를 위한 부존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비용은 관정의 설치비용 및 교체비용, 관리비용, 그리고 폐공의 환경오염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한다. KDI의 수자원사업 예비타당성 가이드라인과 미국 환경청 그리고 세계은행의 지하수자원 비용-편익분석 모델을 원용하여 관정의 비용편익 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지하수 관정의 편익이 비용보다 2.98배 높아 지하수 관정에 의한 지하수자원 공급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ochemical and S isotopic studies of pollutant evolution in groundwater after acid in situ leaching in a uranium mine area in Xinjiang

  • Zhenzhong Liu;Kaixuan Tan;Chunguang Li;Yongmei Li;Chong Zhang;Jing Song;Longcheng Liu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4호
    • /
    • pp.1476-1484
    • /
    • 2023
  • Laboratory experiments and point monitoring of reservoir sediments have proven that stable sulfate reduction (SSR) can lower the concentrations of toxic metals and sulfate in acidic groundwater for a long time. Here, we hypothesize that SSR occurred during in situ leaching after uranium mining, which can impact the fate of acid groundwater in an entire region. To test this, we applied a sulfur isotope fractionation method to analyze the mechanism for natural attenu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produced by acid in situ leaching of uranium (Xinjiang, China). The results showed that δ34S increased over time after the cessation of uranium mining, and natural attenuation caused considerable, area-scale immobilization of sulfur corresponding to retention levels of 5.3%-48.3% while simultaneously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uranium. Isotopic evidence for SSR in the area, together with evidence for changes of pollutant concentrations, suggest that area-scale SSR is most likely also important at other acid mining sites for uranium, where retention of acid groundwater may be strengthened through natural attenuation. To recapitulate, the sulfur isotope fractionation method constitutes a relatively accurate tool for quantification of spatiotemporal trends for groundwater during migration and transformation resulting from acid in situ leaching of uranium in northern China.

토양오염지표에 의한 천안시 토양환경 평가 (Assessment of the Soil Quality of Chonan City using Soil Pollution Index)

  • 장인성;정창모;임계규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5-192
    • /
    • 1999
  • 천안시의 토양 환경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농경지 3개소, 공단지역 3개소, 도심지 2개소, 하천주변 3개소, 매립지 주변 3개소)로 13개 항목에 관한 오염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측정 항목마다 토양오염 우려기준에 못 미치는 오염도를 보였다. 토양의 산성화는 농경지에서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속도로 주변의 농경지는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산성 강하물의 영향으로 의심되는 산성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밭 지역의 산성화가 심화되어서 토양 측정망의 채취지점 추가가 요구되었다. 중금속 6종과 기타 유기득성물질은 모두 토양오염 우려기준에 못 미치는 값을 나타냈다. 유류성분인 BTEX성분 역시 우려기준에 못 미치는 값을 보였으며, TPH는 BTEX보다 광범위한 오염도를 보였다. 오염물질에 의한 토양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토양오염지표(SPI, Soil Pollution Index)를 이용하여 천안시의 토양오염도를 평가하였다. 토양오염점수(SPC, Soil Pollution Score)에 의해 산출된 토양오염 등급은 모두 1 등급으로 판명되어 천안시의 토양은 비교적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산강.섬진강 유역 수계 폐금속광산 광해 영향 평가를 위한 개황조사 (Primary Investigation for Evaluation of Abandoned Metal Mine Effect on Yeongsan and Seomjin Watershed)

  • 최경균;박하승;오다연;김갑순;허유정;박정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6호
    • /
    • pp.81-90
    • /
    • 2010
  • In this study, primary investigation for evaluation of abandoned metal mine effect on watershed has been done. 64 abandoned mines have been selected for primary investigation through literature and field survey. 216 soil and 90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nd metal pollution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24 mines have mine water in the pits and acid water below pH 5 was not observed. Soils from 35 mines were over the soil basis of concern and 16 mines were over the soil basis of action. Arsenic average concentration was 188 times of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natural background. Drinking water samples from 3 mines were over the drinking water standard and surface water samples from 12 mines were over the river water standard. Integrated pollution index, which was resulted from the integration of field survey, soil and water pollution concentration, showed that, abandoned metal mines had affected on watershed greatly in the order of Samgeum, Daedeok, Cheongdalgeum, Heungsin, Yeongdae and Myeongbong m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