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spray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초

지리산(智異山) 국립공원(國立公園) 도로(道路)비탈면의 식생(植生)과 경관분석(景觀分析)에 관한 연구(硏究)(II) -경관분석(景觀分析)- (A Study on the Analysis of Vegetation, Spatial Image and Visual Quality of Roadside Slopes in Chi-Ri Mt. National Park(II) -Landscape Analysis-)

  • 서병수;김세천;박종민;이창헌;이규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265-278
    • /
    • 1991
  • 지리산국립공원(智異山國立公園)의 도로(道路) 비탈면을 대상(對象)으로 물리적(物理的) 환경(環境)이 지닌 시각적(視覺的) 질(質)을 계량적(計量的) 접근방법(接近方法)으로 분석하여 합리적인 계획(計劃), 설계(設計) 및 보전관리(保全管理)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도로(道路) 비탈면 구성요소의 물리량을 Mesh 분석법(分析法)에 의하여 측정(測定)하였다 또한 심리량 분석(分析)을 위해 S.D Scale을 측정하고 인지분석 Algorithm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環境)의 공간(空間) 이미지 구조(構造)를 밝혔으며,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를 측정하여 결정인자(決定因子) 추출(抽出)과 각(各) 인자(因子) 상호간(相互間) 중요성(重要性)을 규명하였다. Mesh 분석(分析)에 의한 시각량조사(視覺量調査) 결과(結果), 각(各) 지점 공(共)히 이지(裡地)와 암석 비탈면, seed spray 등에 의한 지피식생지(池被植生地), 인공식생지등(人工植生地等)이 상대적으로 높은 측정치를 보였다. 국립공원(國立公園) 도로비탈면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變因)은 종합평가(綜合評價) 차원(次元), 공간적(空間的) 차원(次元), 호감성(好感性) 차원(次元), 물리적(物理的) 차원(次元), 개방적(開放的) 차원(次元) 및 품격(品格) 차원(次元) 등 6개 인자군(因子群)으로 분석되었으며, 공간적 차원, 물리적 차원 및 개방성 차원(次元)의 인자가 공간 이미지를 대표하는 인자군으로 나타났다. 비탈면 경관(景觀)에 대한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를 결정(決定)짓는 주요(主要) 설명변수는 비탈면내 구조물의 유지관리정도와 비탈면내의 주변 경관과의 어울림과 조화(調和)로움, 비탈면내 인공식생(人工植生)과 구조물(構造物) 등(等)으로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 결정(決定)의 주요(主要)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 PDF

알지닌캡슐을 이용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의 섭식유도형 제제화 기술 (An Edible Alginate Microcapsul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 김용균;이승화;유용만;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5-152
    • /
    • 2003
  •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을 이용한 지상부 가해 해충 방제는 자외선과 건조 등의 제약점 때문에 적용의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제 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기주의 지상부를 가해하는 두 나비목 해충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과 담배거세미나방(Sp. litura)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감염태 선충을 포함하는 알지닌캡슐은 이들 두 해충에 대해 뚜렷한 섭식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독성은 캡슐내에 함유되어 있는 감염태 선충의 밀도에 따라 증가하는 전형적인 양독곡선을 나타냈다. 캡슐내에 잔존하는 수분함량은 감염태 선충의 생존력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캡슐내에 약 10%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었을 때 약 80%의 감염태 선충이 생존하였다. 캡슐내 보습 능력은 상대습도, 온도 및 캡슐의 크기에 따라 변동되나, 캡슐 형성 과정 중의 시트릭산 반응 시간과는 무관하였다. 알지닌캡슐이 15$^{\circ}C$ 증류수에 보관되었을 때, 60일 경과후에도 80%이상의 생존 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감염태 선충이 함유된 캡슐을 섭식유도제로서 사용된 파추출물을 함유시킨 후 야외 땅콩을 가해하는 파밤나방 3령충에 적용시켰을 때, 약 90%의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알지닌캡슐이 곤충병원선충의 저장 형태의 캡슐 용도 뿐만 아니라 지상부 해충 방제용 제제화로서 이용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Ethephon 및 Dichlorprop 처리가 배 '신고'의 과실 생장과 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ephon and Dichlorprop on the Growth and Maturation of Fruit in 'Niitaka' Pears)

  • 이재창;권오원;황룡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81-91
    • /
    • 1994
  • 식물 생장조절제인 ethephon과 dichlorprop 처리가 배 '신고' 과실의 생장과 성숙에 대한 영향을 살피기 위하여 만개후 8주를 전후하여 시기와 농도를 달리 처리한 다음 과실의 비대 생장과 숙기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Ethephon은 25-100ppm, dichlorprop는 20-4ppm 농도 범위에서 처리 시기나 농도에 관계없이 모두 과실의 비대 생장을 억제시켰으며 괴질 비대 억제효과는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커지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과육의 정도는 약제 처리에 의하여 빠르게 저하된 경향이었으며 특히 ethephon 10ppm처리시 성숙기의 경도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에 지색은 약제 처리시 빠르게 변화하였고 따라서 숙기는 ethephon 처리시 2-3일, dichlorprop 처리시 3-4일 촉진되었다. 또한 두 약제 모두 과실의 ethylene 생합성량의 증가를 촉진시켰으며 최대 생합성량도 증가된 경향이었다. 또한 수확기의 phenol 함량도 약제 처리에 의하여 감소된 경향이었다. 그러나 가용성 고형물 및 산 함량은 약제 처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 PDF

버즘나무방페벌레의 약제방제(藥劑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Chemical control of Sycamore Lace Bug, Corythucha ciliata(Say))

  • 김철수;박지두;변병호;박일권;채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84-388
    • /
    • 2000
  • 최근 버즘나무류에 문제가 되고 있는 버즘나무방패벌레 방제를 위한 약제시험을 수간주사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한 결과 모노포, 포스팜, 이미다크로프리드, 치아메톡삼 및 아세타미프리드 처리에서 각각 99.6%, 88.9%, 98.9%, 99.7%와 100%의 높은 살충율을 보였다. 수간주사한 약제의 약효지속성을 조사한 결과 1개월 이상 경과한 약제처리 잎에 공시충을 접종하여도 높은 치사율을 보여 본 해충의 생태특성상 년간 2-3회 이상에 걸쳐 방제해야 되는 수관살포법에 반해 수간주사법은 1회 처리로 방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제인력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간주사 시 적용할 수 있는 경급별 적정약량 기준표 작성을 위해 흉고직경 크기에 따라 $1.0m{\ell}/DBH\;cm$, $1.5m{\ell}/DBH\;cm$, $2.0m{\ell}/DBH\;cm$의 약량을 수간주입한 결과 흉고직경 20cm 이하에서는 DBH cm당 $1.0m{\ell}$의 약량으로 95% 이상의 살충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30-50cm에서는 $1.5-2.5m{\ell}$의 약량을 필요로 하였으며 50cm 이상의 대경목에서는 그 이상의 약량이 소요되었다. 한편 버즘나무방패벌레 수관살포약제 선발을 위하여 성충과 약충이 동시 가해하는 6월 하순에 3개 약종에 대한 엽면살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에토펜프록스 20%EC, 에토펜프록스 10%WP, 할로스린 1%EC 처리에서 99%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 PDF

산처리(酸處理)에 따른 상아질(象牙質)에 대한 Glassionomer Cement의 접착강도(接着强度)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BOND STRENGTH OF GLASSIONOMER CEMENT TO DENTIN SURFACE FOLLOWING ACID TREATMENT)

  • 이원섭;민병순;최호영;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3권1호
    • /
    • pp.123-129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d strength of glassionomer cement against cut dentin surface which was treated with various surface cleaning agents. 48 freshly extracted human 3rd molars were ground flat through the enamel into the dentin using 600 grit silicone carbide paper under a flow of water. Th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the following cleaning procedure on cut dentin surface; Group I : No surface treatment after grinding with 600 grit silicone carbide paper as control group Group II : Surface treatment with 50% citric acid for 30 seconds. Group III : Surface treatment with 37% phosphoric acid for 30 seconds. Group IV : Surface treatment with 10% poly acrylic acid for 30 seconds. The specimens in 4 groups were immersed in distilled water at $37^{\circ}C$ for 24 hours before testing after cleanising with water-spray and drying with air. Bond strength was measured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utograph S-100, Shimadzu, Kyoto,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ond strengths of group II, III & IV were not seemed to be shown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a group I. 2. The bond strengths in groups which were treated with 50% citric acid, 37% phosphoric acid and 10% polycrylic acid, were ranked 24.70kg/$cm^2$, 22.02kg/$cm^2$ and 31.13kg/$cm^2$, but it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 PDF

THE EFFECTS OF SEALING ON THE PLASMA-SPRAYED OXIDE-BASED COATINGS

  • Kim, Hyung-Jun;Sidoine Odoul;Kweon, Young-Gak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elding/Joining Conference-Korea
    • /
    • pp.53-58
    • /
    • 2002
  • Electrical insul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lasma sprayed oxide ceramic coatings were studied before and after the sealing treatment of the ceramic coatings. Plasma sprayed A1$_2$O$_3$-TiO$_2$ coating as the reference coating was sealed using three commercial sealants based on polymer. Penetration depth of the sealants to the ceramic coating was evaluated directly from the optical microscope using a fluorescent dye. It is estimated that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sealants to the ceramic coating is from 0.2 to 0.5 mm depending on the sealants used. The preliminary test results with a DC puncture tester imply that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mechanism of plasma sprayed ceramic coatings has been determined to be a corona mechanism.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of the as-sprayed and as-ground samples have shown a linear trend with regard to the thickness showing an average dielectric strength of 20 kV/mm for the thickness scale studied. It is also shown that grinding the coating before sealing and adding fluorescent dye do not agent the penetration depth of sealants. All of the microhardness, two-body abrasive wear resistance, bond strength, and surface roughness of the ceramic coating after the sealing treatment are improved. The extent of improvement is different from the sealants used. However, three-point bending stress of the ceramic coating after the sealing treatment is decreased. This is attributed to the reduced micro-crack toughening effect since the cracks propagate easily through the lamellar of the coating without crack deflection and/or branching after the sealing treatment.

  • PDF

Studies on Anopheles sinensis, the vector species of vivax malaria in Korea

  • REE Han-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75-92
    • /
    • 2005
  • Extensive previous studies on taxonomy, behavior/bionomics and control of Anopheles sinensis are reviewed and summarized. Recent molecular identification revealed that the population of An. sinensis complex includes An. sinensis, An. pullus, An. lesteri and at least two new species, and An. yatsushiroensis is synonmy of An. pullus. An. sinensis is the main vector specie of vivax malaria in Korea. Larvae of An. sinensis breed in wide range of habitats which are naturally-made clean water, stagnant or flowing; main habitats include rice fields, ditches, streams, irrigation cannals, marshes, ponds, ground pools, etc. Their host preferences are highly zoophilic. Human blood rate is very low ($0.7-1.7\%$); nevertheless An. sinensis readily feeds on man when domestic animals are not found near by. They feed on hosts throughout the night from dusk to dawn with a peak period of 02:00-04:00 hours; they are slightly more exophagic (biting outdoors); much larger numbers come into the room when light is on. Main resting places are outdoors such as grasses, vegetable fields and rice fields. A mark-release-recapture study resulted that $37.1\%$ was recaptured within 1 km, $29.4\%$ at 1-3 km, $21.1\%$ at 3-6 km, $10.3\%$ at 6-9 km and $2.1\%$ at 9-12 km distance. An. sinensis hibernate outdoors (mostly under part of dense grasses) during October-March. At the end of the hibernation period (March-April) they feed on cows at daytime. Until today any single measure to effectively control An. sinensis population has not been found. Indoor residual spray with a long-lasting insecticide can not reduce vector population densities, but shorten their life spans in some degree, so contributes to malaria control.

폭약 기폭위치에 따른 발파 분진제어용 워터튜브 주입수의 분무확산 실험 및 평가 (Experiment and Evaluation of Mist Diffusion from Water Tube for Blasting Dust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Explosives Position)

  • 양형식;고영훈;김정규;노유송;박훈;조상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1호
    • /
    • pp.46-55
    • /
    • 2015
  • 발파분진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폭선을 결합한 양수튜브를 고안하였다. 최적설계를 위한 실험의 일환으로 도폭선 기폭위치에 따른 물의 확산을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속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을 이미지 분석 하였고, 워터튜브의 분무확산 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AUTODY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를 분무초기거동 실험영상과 비교하였다. 외부기폭의 경우 분무거동이 교차유동을 나타냈고, 내부기폭의 경우 방사형 전파유동을 나타냈다. 수치해석 결과 워터튜브 내부기폭의 경우 수중폭발에서와 같은 내부 Bubble Ring이 발생하였고, 지반에의 반사압 영향에 의해 추가적인 Bubble Ring이 형성되었다. 또한, 워터튜브의 분무미립화 성능을 Weber 수를 통해 평가하였고, 워터튜브의 충분한 미립화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화물이 함유된 동결수의 동결융해 작용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동해성과 표면열화 평가 (The Evaluation of Surface Scaling and Resistance of Concrete to Frost Deterioration with Freezing-Thawing Action by Salt Water)

  • 김규용;김무한;조봉석;이승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143-15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염화물이 함유된 동결수에 의한 콘크리트의 내동해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동결융해 및 표면스케일링 저항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배합으로서 물결합재비는 0.37, 0.42, 0.47의 3수준, 결합재 방식은 일반 OPC 콘크리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50%의 2성분계 콘크리트 및 플라이애시 15%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35%의 3성분계 콘크리트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 50% 및 플라이애시 15%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35%의 혼합 시멘트계 콘크리트의 경우 일반 OPC 콘크리트에 비하여 동결융해 및 표면스케일링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내구성 저하가 우려되는 해양 환경 하에서 비래염분 및 비말 등의 해수의 작용에 의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슬래그의 활용이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G-WELDING OF MAGNESIUM ALLOYS WITH PARTICULAR CONSIDERATION OF DROP DETACHMENT

  • Wohlfahrt, H.;Rethmeier, M.;Wiesner, S.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elding/Joining Conference-Korea
    • /
    • pp.94-100
    • /
    • 2002
  • During the last years, great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fields of welding power sources and filler materials for the MIG-welding of magnesium alloys. This advice resulted in a better welding process, md, therefore, in highly improved welding results. Furthermore the gap between short-circuiting- and spray-arc-trunsfer could be closed by the triggered short-circuiting- and the short-circuiting-arc with pulse overlay. A crucial contribution to the welding process is the energy input into the filler material. Many problems result from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gnesium, for instance its narrow interval between melting point 600$^{\circ}C$ and vaporization point 1100$^{\circ}C$. The energy input into the filler material has to be regulated in such a way that the wire will melt but not vaporize. For th is reason, special characteristics of power sources hue been examined and optimized with the help of high-speed-photographs of the welding process with particular consideration of the drop detachment. An important improvement of the weld seam profile has been achieved by using filler material of only 1.2 mm in diameter. The experiments hue been made with 2.5 mm thick extruded profiles of AZ31 and AZ6l. The results of tensile testing showed strength values of 80 to 100% of the base metal. B ending angles up to 60$^{\circ}$ have been reached. The fatigue strength under reversed bending of the examined magnesium alloys after welding reaches 50% of the strength of the base metal. When the seam reinforcement is ground of the fatigue strength can be raised up to 75% of the base met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