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Collision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연안의 멸종위기 바다거북의 분포 및 좌초 현황 (Distribution and Strandings of Endangered Sea Turtles in Korean Waters)

  • 문대연;정민민;안용락;최석관;오봉세;김장근;이주;김문진;김삼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57-663
    • /
    • 2009
  • This paper reports the strandings of sea turtles on Korean shores monitored for the first time in 2008. A total of 19 sea turtles, consisting of 12 greens and 7 loggerheads, were recorded as stranded from the east coast to the south including Jeju Island. Reported strandings reached a peak in July and dominant area was Jeju Island. The curved carapace length of loggerhead sea turtles ranged 65-84.2cm and that of green sea turtles ranged 39.2-90cm, indicating most of them were immature to sub-adult. Out of 19 turtles, 11 were found dead with unknown reasons. Possible causes of death may include drawning by fishing gear, swallowing of marine debris, boat collision, and diseases. An immature green sea turtle tagged with a satellite transmitter spent winter near Jeju Island where it was released, suggesting that the Island provide immature greens a feeding ground. Considering thousands of sea turtles crawl on Japanese shores for nesting every year, the number of sea turtles reported in Korean waters was relatively small.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n appropriate monitoring system be necessary to protect and conserve endangered sea turtle species in Korean waters.

분절된 서식처의 연결을 위한 생태이동통로에 관한 이론적 연구(I) - 유형구분 및 조성절차를 중심으로 - (A Theoretical Study on the Wildlife Passage for Connecting Fragmented Habitat(I)- In the case of Wildlife Passage Types and Design Process)

  • 김귀곤;최준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93-307
    • /
    • 1998
  • This study has been divided into two parts, 1) literature review and 2) a case stud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found in Korea and abroad, this study aimed at classifying wildlife passages and establishing their development procedures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wildlife passage as a way to link habitats that have been fragmented by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other developments.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are as follows : 1) Impact of road construction on surrounding ecological environment is found in various aspects. Along with damage of habitats as direct impact, decrease of biodiversity and simplification of species due to limited breeding and movement are cited as possible indirect impact. 2) In order to lessen the impact generated from fragmented habitats, various types of wildlife passage are being developed in Europe and are showing positive results. 3) In Korea, interests on animal passages have been rising recent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ocal authorities are establishing development plans for the passages. However, practical materials on the usefulness of adoped methods are not available.4) In order to create an effective wildlife passage, decisions have to be made first on basic factors of planning and designing such as ecosystem rehabilitation methods and surveys on wildlife movement routes and habitat environment. Based on this, in a planning and designing stage, the location and type of a passage, size and measures to attract animals and prevent a collision need to be finalized. This should be followed by a series of process of maintenance, management and monitoring after the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a theoretical study to develop an wildlife passage, Part 2 of this study deals with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through a specific planning and design that includes a process of ecological surveys, site selection, type selection, ecosystem infrastructure, planting design and construction details on an actual study area and presents them as a model project.

  • PDF

Characteristics of the Plasma Source for Ground Ionosphere Simulation Surveyed by Disk-Type Langmuir Probe

  • Ryu, Kwangsun;Lee, Junchan;Kim, Songoo;Chung, Taejin;Shin, Goo-Hwan;Cha, Wonho;Min, Kyoungwook;Kim, Vitaly P.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4권4호
    • /
    • pp.343-352
    • /
    • 2017
  • A space plasma facility has been operated with a back-diffusion-type plasma source installed in a mid-sized vacuum chamber with a diameter of ~1.5 m located in Satellite Technology Research Center (SaTReC),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To generate plasma with a temperature and density similar to the ionospheric plasma, nickel wires coated with carbonate solution were used as filaments that emit thermal electrons, and the accelerated thermal electrons emitted from the heated wires collide with the neutral gas to form plasma inside the chamber. By using a disk-type Langmuir probe installed inside the vacuum chamber, the generation of plasma similar to the space environment was valid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ma according to the grid and plate anode voltages were investigated. The grid voltage of the plasma source is realized as a suitable parameter for manipulating the electron density, while the plate voltage is suitable for adjusting the electron temperature. A simple physical model based on the collision cross-section of electron impact on nitrogen molecule was established to explain the plasma generation mechanism.

헬리콥터에 장착된 회전 안테나를 이용한 착륙지형의 이미지 생성 기법 (Rotational Antenna based Clutter Imaging Algorithm in Helicopter Landing Mode)

  • 배창식;전현무;김재학;양훈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860-1866
    • /
    • 2016
  • 헬기 사고의 대부분은 시야가 제한된 상황에서 착륙 시 구조물과의 충돌에 의한 사고로 안전한 주행을 위해 레이더와 같은 보조 장비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하는 안테나를 장착한 헬기 레이더가 착륙하는 과정에서 고정 클러터에 대한 거리-방위각 이미지를 얻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동일 거리에 위치한 각각의 클러터 패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모델링하고 클러터 특성 및 도플러 특성을 분석한다. 부엽(side lobe) 성분을 억제하고 주 빔(main lobe) 신호성분을 얻기 위한 필터구조를 설계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에 의해 거리-방위각 도메인에서의 가상의 지형 시나리오를 생성한 후 제시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한다.

교차로에서의 안전 좌회전을 위한 차량간 통신 기반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Algorith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Safe Left Turn at an Intersection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 서현수;김효언;노동규;이상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2호
    • /
    • pp.165-171
    • /
    • 2013
  • 차량 통신 프로토콜은 IEEE 802.11 WG과 P1609에서 진행하고 있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가 대표적이며, 보안 등을 제외한 MAC과 PHY에 대한 부분은 표준으로 제정되었다. 이러한 차량통신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의 안전과 전체 교통 흐름의 원활한 통제를 위해 국내외에서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차로에서 좌회전 시도 시에 위험 상황이 예상되면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차량간 통신 기반 안전서비스 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이를 실제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자차와 반대편에서의 접근차량에 대한 모델을 구성하고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운전자에게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경고를 주게 된다. 본 안전 서비스의 성능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 차량을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시스템에 탑재하였으며, 테스트 케이스를 구성하여 성능 시험장에서 검증하였다. 테스트 결과로써,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앞으로 차량 통신 인프라가 설치된다면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이용하여 본 알고리즘을 보다 정밀하게 보완해야 할 것이다.

소형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관련법 현황 및 인증방안 연구 (A Study on Certification Requirements for Small Unmanned Aerial System(sUAS))

  • 안효정;박종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1호
    • /
    • pp.71-78
    • /
    • 2015
  • 각국의 무인기 카테고리 분류 기준에는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중량을 기준으로 25 kg(55 lb) 이하를 소형무인기로 분류하고 있다. 소형무인기는 주로 군사용, 공공용으로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취미 및 미디어 촬영 등을 위하여 민간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무인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유인기와 같은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는 무인기가 유인기와의 충돌이나 추락에 의해 지상 피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유럽의 국가들을 중심으로 소형무인기 운용을 위한 입법 및 운용 승인제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소형무인기 운영을 위한 국내 제도 마련 방안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전투 무선망에서 다중 홉 전송을 위한 향상된 DAP-NAD 기법 (An Enhanced DAP-NAD Scheme for Multi-Hop Transmission in Combat Net Radio Networks)

  • 정종관;김종연;노병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977-985
    • /
    • 2012
  • 최근 많은 국가들이 NCW (Network Centric Warfare)를 구현하는데 기반이 되는 전술 애드 혹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전투 무선망 (CNR, Combat Net Radio)은 육군의 보병과 같은 지상군에 있어 가장 중요한 통신 기반망이다. 미군은 전투 무선망에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MIL-STD-188-220D을 개발하여 운용 중에 있다. 한국군의 차기 무전기인 전술 다대역, 다기능 무전기(TMMR)의 MAC 프로토콜의 후보인 MIL-STD-188-220D은 여러 제한사항이 존재한다. MIL-STD-188-220D에 정의된 DAP-NAD는 충돌회피를 위해 시간 동기를 필요로 하지만, 1홉을 벗어난 다중 홉의 환경에서는 시간 동기를 맞추기 어렵다. 다중 홉 환경에서 충돌을 방지하여 지연을 방지하는 향상된 DAP-NAD를 제안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하여 다중 홉 전투 무선망 환경에서 제안기법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보였다.

강진 시 납-고무 면진장치의 비탄성 변위응답에 대한 온도상승 및 좌굴효과의 분석 (Evaluation of Heating and Buckling Effects on Inelastic Displacement Responses of Lead-Rubber Bearing Subject to Strong Ground Motions)

  • 윤수정;홍지영;문지호;송종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289-299
    • /
    • 2019
  • The tendency to use a probabilistic design method rather than a deterministic design method for the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NPPs) will increase because their safety should be considered and strictly controlled in relation to various causes of damage. The distance between a seismically isolated NPP structure and a moat wall is called the clearance to stop. The clearance to stop is obtained from the 90th percentile displacement response of a seismically isolated NPP subject to a beyond design basis earthquake (BDBE) in the probabilistic design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heating and buckling effects on the 90th percentile displacement response of a lead-rubber bearing (LRB) subject to a BDB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nsidering the heating and buckling effects to estimate the clearance to stop is conservative in the evaluation of the 90th percentile displacement response. If these two effects are not taken into account in the calculation of the clearance to stop, the underestimation of the clearance to stop causes unexpected damage because of an increase in the collision probability between the moat wall and the seismically isolated NPP.

무인기 대응 간 대공무기 파편에 의한 피해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Damage by Anti-aircraft Debris between the Response of Unmanned Aircraft)

  • 김세일;신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8
    • /
    • 2020
  • 적 무인기가 거대 도시지역에 침투 시 다양한 형태의 대공화기들이 넓은 지역에 배치되어 대응한다. 대공무기의 특징상 다량으로 비행체에 대해서 사격함으로 명중탄을 제외한 잔여탄은 자체 폭발 후 다양한 크기의 파편으로 낙하한다. 파편이 지상으로 낙하하면서 인명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임계속도, 파편질량, 파편 초기속도, 물체충돌 속도 등 4가지 요소를 도출하여 대공포와 유도무기로 구분하여 피해율을 분석하였다. 앞으로 북은 비대칭전력인 무인기를 활동하여 수도서울에 대한 침투가 예상됨으로 대응 간 인명 피해 최소화를 위해 사전 피탄지역과 사격제한지역을 설정해 둠으로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충격반응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화학반응을 고려한 용량결합형 산소플라즈마의 전산모사 연구 (Simulation Study of Capacitively Coupled Oxygen Plasma with Plasma Chemistry including Detailed Electron Impact Reactions)

  • 김헌창
    • 공업화학
    • /
    • 제22권6호
    • /
    • pp.711-717
    • /
    • 2011
  • 전자충격반응을 고려한 three moment 플라즈마 모델과 전기적 중성성분의 반응을 고려한 유체 유동 모델을 결합하여 용량결합형 산소플라즈마에 대한 2차원적 전산모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자의 에너지에 의하여 좌우되는 전자충격반응에 대한 반응속도는 전자와 $O_2$ 및 O 사이의 전자충돌단면적으로부터 계산되었다. 플라즈마 모델과 유체 유동 모델을 결합하고 상세한 반응메커니즘을 포함시킴으로써 전하를 띠는 전자와 이온($O_2{^+}$, $O^+$, $O_2{^-}$, and $O^-$) 그리고 기저상태의 산소($O_2$ and O)뿐만 아니라 $O_2(a^1{\Delta}_g)$, $O_2(b^1{{\Sigma}_g}^+)$, $O(^1D)$, $O(^1S)$ 등과 같이 산소플라즈마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준안정상태 성분들의 시공간적 분포를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산소플라즈마의 전산모사로부터 sheath 경계에 이중층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