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pepper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4초

단기속성 청고추장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Short-term Green Gochujang)

  • 신경은;최수근;김동석;김하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57-66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sauce products by producing short-term green gochujang with cheongyang pepper powder. To determine its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we examined vitamin C, capsaicinoid,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electron-donating, SOD-like, ferrous ion-chelating,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Vitamin C content of short-term green gochujang was higher in CON-M than in the sample, whereas capsaicinoid content increased as the amount of cheongyang pepper powder increased.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electron-donating activity,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r in the sample than in CON-M, and the contents increased as the amount of meju powder increased. Green gochujang containing the highest amount of cheongyang pepper powder showed the highest SOD-like, and ferrous-ion chelating activities as well as superior nutrient contents, compared to red gochujang.

경남 청양 풋고추농가 소득 안정화 방안 (The plan of stabilizing Gyeongnam Chung-yang Green Pepper Farm Income)

  • 황민지;정호중;조재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87-396
    • /
    • 2018
  • 본 논문은 청양 풋고추 재배농가의 실질 소득과 순수익의 불안정 요인을 경영비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또한 역준이상수요체계에 따른 가격신축성 분석을 통하여 출하조절에 따른 가격안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영비 분석에 따른 농가의 소득 불안정 요인으로는 기후변화로 인해 예기치 못한 영농광열비 부담 가중과, 특정시점의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폭락 등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말하는 가격폭락은 월별 가격의 변화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청양 풋고추 농가소득 불안정의 요인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가격 및 규모신축성 분석을 한 결과, 청양 풋고추에 국한하여 출하량을 연간 1% 축소할 경우 2.21%의 가격 상승으로 연간 농가판매 총수입이 1.21%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동절기에 출하량을 감소시켜 농가수취가격을 지지하는 방안이 농가소득안정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특히 경남지역의 청양 풋고추는 시장점유율이 82.5%로 매우 높은 편이므로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생산자단체를 결성하여 출하량 조절을 한다면 효과적으로 가격 및 소득의 안정을 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경상도 별미김치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s of Traditional Special Kimchi in Kyungsang Province)

  • 한지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8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ingredient ratio and preparation method of mafor traditional special kimchies in kyungsang province, korea. There were about 35 varieties of special kimchi in Kyungsang province. Six varieties of them such as burdock kimchi, wild leek kimchi, green thread onion kimchi, perilla leaf kimchi, Godulbaegi(Korean wild lettuce) kimchi, and red pepper leaf kimchi were selected, because they tasted good 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their main ingredients were excellent. The ingredient ratios of the selected special kimchi were standardized through surveying hereditary preparation of some families in kyungsang province and using the literatures including cooking books. The standardized ingredient ratio of the burdock kimchi was 15.1 pickled anchovy juice, 6.8 red pepper powder, 5.7 garlic, 2.2 ginger, 18.0 rice flour paste, 13.5 green thread onion, and 1.2 sesame seed in proportion to 100 of burdock. The standardized preparation step of the selected special kimchies was similar except some preprocessing methods of main ingredients. The diagonally cut-up burdock ws usually parboiled or soaked in salted water, then it was mix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Wild leek and green thread onion were usually pickled with salt or pickled anchovy juice. Sometimes the green thread onion pickled was dried in the sun. General preprocessing of perilla leaf, Korean wild lettuce, and red pepper leaf was soaking them in salted water for about 5-10 days. Sometimes red pepper leaf was heated with steam and dried in the sun, then it was mix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 PDF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the Peppers in Salmonella Assay System

  • Park, Kun-Young;Kweon, Young-Mi;Rhee, Sook-He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40-445
    • /
    • 1995
  •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green pepper(GP), red pepper leaf(RPL), red pepper(RP) and sweet pepper(SP) were examined by the Ames metho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The juice supernatants of GP, RPL and RP showed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afltoxin B1(AFB1)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The juice supermatants of GP and RPL also exhibited the inhibitory effects(p<0.05) to the mutagenicities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and 4-nitro-quinoline-1-oxide(4-NQO). The juice of RP showed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indirect mutagen of AFB1, however, the activity was reduced at higher concentration(5.0%), furthermore, as the adding concentration of sample increased to 5.0%, it exhibited slight comutagenicith on direct mutagen of MNNG. Theantimutagenic activities of GP and RPL juices were reduced significantly after heating at 100℃ for 20min, supposing that the antimutagenic compound(s) in the juices were heat labile.

  • PDF

고추와 파프리카의 색과 조리방법의 차이에 따른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의 함량과 잔존율 (Changes in β-Carotene, Vitamin E, and Folate Compositions and Retention Rates of Pepper and Paprika by Color and Cooking Method)

  • 김현영;김홍균;천지연;정혜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13-720
    • /
    • 2017
  • 본 연구는 파프리카와 고추 간의 품종별, 색깔별로 나누어 조리방법에 따라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의 함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4종류의 시료를 서로 다른 조리방법(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 찌기, 로스팅, 전자레인지)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의 잔존율과 각각의 함량에 대한 색, 종류, 조리방법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파프리카와 고추는 모두 조리과정에서 중량이 감소하였다. 베타카로틴, 엽산의 함량은 색깔, 종류, 조리방법의 영향을 받았고(P<0.05), 비타민 E의 함량은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조리 전 시료의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 함량(mg/100 g) 범위는 각각 95.4(풋고추)~2,441.1(홍고추), 0.7(녹색 파프리카)~4.2(적색 파프리카), 6.2(풋고추)~148.7(홍고추)로 나타났다. 조리 후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의 함량은 각각 튀긴 홍고추, 로스팅한 홍고추, 삶은 홍고추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잔존율의 경우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이 각각 77.3(홍고추-삶기)~356.4(풋고추-로스팅)%, 2.0(홍고추-전자레인지)~789.3(녹색 파프리카-튀기기)%, 20.9(홍고추-전자레인지)~445.1(풋고추-찌기)% 범위로 나타났다. 홍고추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시료에서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이 조리방법에 상관없이 75% 이상의 높은 잔존율을 보였다. 홍고추의 비타민 E와 엽산은 튀기기와 전자레인지에서 2.0~32.1% 범위로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파프리카와 고추의 조리 전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며,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방법에 따른 영양소 파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감초와 향신료 물추출물의 향균 및 항산화능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icorice and Spice Water Extracts)

  • 박추자;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93-79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in which licorice and spices (clove, fennel fruit and Chungyang green pepper)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 extracts were tested for their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The polyphenol contents of the water extracts from licorice, clove, fennel fruit and Chungyang green pepper were 17.4, 21.4, 6.6, and 0.9 mg/g, respectively. The water extracts from licorice and clove demonstra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of the water extracts from the licorice and other spices ranged from 60 to 88% at 1,000 ppm; the highest value was for the licorice followed by fennel fruit, clove, and green pepper. Th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ratio (XOD) of the extracts ranged from 28 to 50% at 1,000 ppm, where the highest value occured in the cloves, followed by fennel fruit, green pepper, and licorice.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ranged from 33 to 53% at 1,000 ppm, and the highest value was for the licorice followed by cloves, fennel fruit, and green pepper.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NSA) at 1,000 ppm of the clove and fennel fruit water extracts were 95% and 65% at pH 1.2, respectively. The NSAs of the extracts were highest at pH 1.2,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Considering all the obtained results, we have concluded that licorice and spice extracts can be used as natural preservatives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s.

Maltodextrin과 재사용 탈수액이 고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ltodextrin and Recycled Dehydration Liquid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Pepper)

  • 이현석;권기현;김종훈;김병삼;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43-848
    • /
    • 2009
  • 탈수제(maltodextrin)와 탈수제 첨가로 분리된 탈수액을 농도별로 첨가한 분자압축탈수방법으로 건조시 킨 고추분말, 동결건조와 열풍건조 시킨 고추분말의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분자압축탈수 건조한 고추분말의 수분함량, 색도측정, 항산화활성 측정, capsaicinoids 함량, 관능평가를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의 경우 동결건조와 열풍건조 그리고 분자압축탈수의 건조 방식이 달라차이가 나타났지만 분자압축탈수를 이용한 건조에서는 탈수제 첨가보다 재사용 탈수액 첨가가 최종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색도는 분자압축탈수방법으로 이용된 탈수제와 재사용 탈수액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도(lightness)가 조금씩 증가하였다. 항산화활성측정은 분자압축탈수 건조한 고추분말의 시료가 합성항산화제 BHA, BHT의 보다는 낮게 나타났지만 동결건조분말과 열풍건조분말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apsaicinoids 함량은 탈수제 및 재사용 탈수액 농도의 증가에 따라 낮아졌다. 관능평가에서는 색(color), 외관(external), 향기(flavor), 맛(taste)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를)에 대하여 동결건조분말과 열풍건조분말보다 분자압축탈수방법을 이용한 고추분말이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 처리한 고추분말보다 분자압축탈수방법을 이용한 고추가 고품질 고추분말제품을 활용하는데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문헌에 나타난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 제조 방법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Young Radish Kimchi (Yulmoo Kimchi) and Young Radish Watery Kimchi (Yulmoo Mool-Kimchi) in Literatures)

  • 공창숙;김도경;이숙희;노치웅;황해준;최경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6-130
    • /
    • 2005
  • 조리서 및 문헌을 통해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의 재료배합비 및 제조방법을 표준화하였다. 열무김치의 표준화과정에서 열무 이외에 사용빈도수가 50%이상인 부재료는 파와 홍고추였으며, 양념류로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이 이에 속했다. 또한 재료 및 양념의 배합비는 절인 열무 100g에 대해 파 8.0$\pm$3.8, 마늘 2.5$\pm$1.3, 생강 1.6$\pm$0.7, 홍고추 7.0$\pm$1.7, 고춧가루 4.2$\pm$1.2, 젓갈 3.7$\pm$0.5로 나타났다. 열무물김치의 표준화과정의 경우, 사용빈도수가 50%이상인 부재료로는 풋고추, 홍고추, 파가, 양념류로는 마늘, 생강, 전분이 이에 속했으며, 열무물김치의 재료배합비의 표준화는 첨가된 물의 양을 기준으로 하였다. 즉, 물 100 mL에 대해 절인 열무 50.6$\pm$10.8, 파 3.3$\pm$1.3, 풋고추 3.3$\pm$1.9, 홍고추 2.4$\pm$1.3, 마늘 3.0$\pm$0.7, 생강 $1.5\pm$0, 전분 $1.5\pm$0.6의 비율로 나타났다.

풋고추 접목시스템에서 Tobamovirus 감염에 의한 접수 고사 (Cause of the Scion Death in Green Pepper Grafting System by a Tobamovirus)

  • 최국선;조점덕;정봉남;조인숙;최승국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91-195
    • /
    • 2011
  • 풋고추 접목시스템에서 접수 부위의 고사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고추 접목묘의 대목부위에서는 Tobamovirus 입자가 검출되었지만 괴사 증상이 나타난 접수 부위에서는 이 바이러스 입자를 검경할 수 없었다. 대목 부위에서 분리한 바이러스는 염기서열분석 및 기주식물의 반응으로 고추약한모틀바이러스(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로 동정되었고, 고추 Tobamovirus pathotype P1.2(PMMoV-2)이었다. PMMoV-2는 고추 접목묘에서 대목으로 이용되고 있는 6 시판 대목 품종에 전신감염되었고, 고추 품종 롱그린맛과 대찬고추에서는 단지 접종엽에만 국부병반인 저항성 반응, 마니따에서는 전신감염을 나타냈다. 고추 대목에 롱그린맛 또는 대찬고추를 접목한 다음, PMMoV-2를 대목의 자엽에 접종하면 7일 후부터 접수의 잎에 엽맥괴사 및 시듦 증상이 나타나면서 결국 접수만 고사되었다. 이 접목시스템에서 바이러스 입자는 접수에서는 검경되지 않았으나 대목에서는 검경되었다. 그러나 PMMoV-2에 감수성 품종인 마니따를 접수로 사용한 접목시스템에서는 접수의 잎에 약한 모틀 증상이 발현되었으나 고사는 되지 않았다. Tobamovirus pathotype P1.2.3인 분리주 PMMoV-3는 이들 고추 접목 시스템에서 사용된 모든 대목과 접수에 전신감염이 되었고, 접수에 고사를 일으키지 않았다. 따라서 풋고추 접목묘에서 접수의 고사 원인은 tobamovirus pathotype P1.2에 감수성 고추 대목과 저항성 고추 접수로 조합된 접목 시스템에서 이 바이러스가 대목에 감염되었을 경우이었다.

Evaluation of pepper seedling growth according to the growing period and tray for automatic transplanting

  • Md Nafiul, Islam;Md Zafar, Iqbal;Mohammod, Ali;Ye-Seul, Lee;Jea-Keun, Woo;Il-Su, Choi;SunOk, Ch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945-956
    • /
    • 2021
  • The effective growth of pepper seedlings relies on the growing period and tray used, which both aim to minimize seedling damage during the transplantation proces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red and green pepper seedling growth in plug and cylindrical paper pot (CPP) trays with different growth periods of the seedlings. Two different seedling growth trays were used for the two varieties of pepper seedlings in the same growing media. The pepper seedling growth rates were investigated at 15, 30, and 45 days for each of variety. Important parameters, e.g., the plant height, fresh weight for the plant and root,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and width, and leaf chlorophyll contents, were measured. During the experiment, the CPP tray maintained uniform seedling growth as compared to the plug tray. CPP trays ensured the height of the seedling, with these results 0.84 to 1.6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plug tray for all conditions, indicating the good quality of the pepper seedlings. The shoot and root weights were found to be greater with more leaves in the CPP tray seedlings for 45 days compared to the seedlings grown in the plug tray, whereas the green pepper variety showed a greater leaf ratio than the red pepper seedlings. The analysis of pepper seedling growth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guide the selection of suitable growth trays and seedling periods for farmers when they undertake automatic pepper transplantation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