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peach aphid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4초

포장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의 계절적 변동에 따른 약제 감수성 (Seasonal fluctuation of susceptibility of the green peach aphid to insecticides in Chinese cabbage field)

  • 송승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8-221
    • /
    • 1993
  •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용약제를 공시하여 1983년부터 4년에 걸쳐 포장에서의 약효와 실내에서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마라치온을 포함한 7종의 살충제의 방제가가 현저히 낮았다. 또한 포장에서 계절별로 발생한 개체군에 대한 각 약제의 감수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약제에 따라 1~167배의 약제 감수성 차이를 보였다.

  • PDF

허브류 식물과 정유의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기피 효과 (Repellency of Herb Plants and Essential Oils Against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 김기황;정훈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1
    • /
    • 2003
  • Repellencies of herb plants and essential oils against alate Myzus persicae were investigated in a insect cage, a screen house, and a tobacco field. Numbers of nymphs deposited by alate or apterous Myzur persicae were lower on rosemary(Rosmarinus officinalis), silver thyme (Thymus vulgaris), and lemon balm(Melissa of fcianazis). Rosemary and silver thyme show little repellency against alate Myzus persicae on a nearby tobacco plant Rosemary oil, peppermint (Mentha piperita) oil, and ginger oil showed repellency against alate Myzus persicae, but spearmint (Mentha spicata) oil and lavender oil showed little repellency in a screen house. Rosemary oil, ginger oil, peppermint oil, lavender oil, and spearmint oil showed repellency against alate Myzus persicae in a tobacco fiel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ils.

기주식물 종류에 따른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DNA Polymorphism 비교 (Absence of DNA Polymorphisms in Myzus persicae (Homoptera: Aphididae) in Relation to their Host Plants)

  • H. J. Kim;K. S. Boo;K. H. Cho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9-215
    • /
    • 1996
  •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은 두가지 서로 다른 기주선호성을 가지는데 이 기주선호성과 형태적 특징에 기초하여 담배진닷물(Myzus nicotinae Blackman)과 담배 이외의 다른 채소류에 서식하는 복숭아 혹진딧물(M. persicae)로 분류하였지만(Blachmean, 1987) 이 분류 방법에 동의하지 않는 학자들도 많다. 이런 이유로 RAPD-PCR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에 서식하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하여 그들의 2차 숙주선호성에 따른 DNA의 변이 정도를 살펴보았다. 실험곤충으로는 담배와 배추에서 채집하여 사육한 진딧물 각 4 clones 씩을 사용하였다. 각 clone은 한 개체를 사육하여 얻은 자손들과 그들의 후손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육한 진딧물에서 핵 DNA를 추출하고, 10개 nucleotide 길이의 random primer 100가지를 사용하여 PCR한 후 1 % agarose gel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였다. 사용한 100종류의 random primer 중 83가지에서 DNA 단편이 합성되었다. 증폭된 1개의 primer당 단편의 수는 1개에서 22개였고 평균 단편 수는 약 13개였으며, 각 각 단편의 길이는 500에서 20,000 base pair사이에 분포하였다. 82가지 primer의 경우에 일부 단편의 짙기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단편종류의 분포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한가지 primer경우에만 담배섭식형 1개 c clone에서 다른 7가지 clones에 없는 band가 1개 나타났다. 이때 나머지 7 clones의 단편 분포 형태는 모두 동일하였다. 따라서 이 band는 숙주 선호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 실험에 사용한 100종류의 primer에 기초하여 RAPD-PCR기법으로 DNA를 증폭한 결과 복숭아혹진딧물의 숙주선호성이 개체군간의 유전적인 차이점에 기인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

  • PDF

Imidacloprid와 그 유도체들의 살충활성에 미치는 3N-치환기(R)의 영향 (Influence of 3-N-Substituents(R) on the Insecticidal Activities of Imidacloprid and Its Analogous)

  • 강문성;장해성;김대황;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40-146
    • /
    • 1996
  • Imidacloprid와 일련의 새로운 1-(6-chloro-3-pyridylmethy)-3-N-nitroimidazolidin-2-ylideneamine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imidazolidine고리의 3-N-치환기(R) 변화에 따른 구조와 벼멸구(Nilaparvata lugens) 및 복숭아 혹 진딧물(Myzus persicae)에 대한 선택적인 살충활성 관계(SAR)를 검토한 바, 벼멸구에는 STERIMOL 파라미터인 B1상수$({\AA})$보다 소수성$({\pi})$, 그리고 복숭아 혹 진딧물에는 입체상수(Es)보다 극성 치환기상수$({\sigma}^{ast})$ 큰 변수로 작용하였다. 벼멸구의 경우에는 ${\pi}$상수의 적정값이 0.52이고 복숭아 혹 진딧물의 경우에는 $\sigma^{\ast}$상수의 적정값이 1.17로 이들 값에 가까운 값을 갖는 치환체일수록 큰 살충활성이 예상되었다. 두 경우, 모두 공통적으로 methyl 및 benzenesulfonyl-치환체(7 및 8)와 같은 센 전자끌게들은 살충활성에 기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비치환(H)체(1)인 imidacloprid는 가장 큰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의 ${\pi}$상수와 ${\sigma}^{\ast}$상수가 이들 두 상수의 적정값에 미치지 못하지만, 양호한 살충활성을 나타낸 까닭은 2-N-nitro group의 산소원자와 3-imid group의 수소원자 사이에 형성된 분자내 회합(H-결합)에 기인함을 알았다. 그리고 pH 6.0 이하의 산성 수용액에서는 대단히 큰 잔류성을 나타내었으며 $45^{\circ}C$의 pH 7.0에서$(K_{obs};5{\times}10^8sec.^{-1})$ 반감기(t1/2)는 대략 6개월이었다.

  • PDF

Malathion 저항성 및 감수성 복숭아혹진딧물의 온도에 따른 발육특성 (Effect of Temperatures on the Growth of Susceptible and Malathion Resistant Green Peach Aphid Strains)

  • Seung Seok Song;Naoki MOTOYAMA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7-301
    • /
    • 1996
  • 온도가 살충제의 저항성과 감수성계통, 복숭아혹진덧물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핵형이 정상인 감수성 계통(URY-O)과 저항성 계통(ABURABI : 유일) 및 핵형이상(AI, 3 전좌)으로 저항성인 O-RY 계통을 사용하였다. $25{\circ}C$에서의 약충 기간은 저항성과 감수성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30{\circ}C$에서는 감수성 인 URY-O 계통은 8.3일간에 성층이 되었었음에 비하여 저항성인 O-RY 계통은 조사기간인 20일까지 약충상태로서 성충으로 발육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감수성인 URY-O 계통과 저항성인 ABURABI 계통의 산자수는 $28^{\circ}C\;와\;25^{\circ}C$에서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저항성인 O-RY 계통의 산자 수는 $28^{\circ}C\;에서\;25^{\circ}C$에서보다 1/10밖에 자충을 낳지 못하였다. 또한 충체중은 $28^{\circ}C$에서 URY-O와 유일은 각각 0.22와 0.27 mg/♀이었으나, O-RY는 0.16 mg/♀로서 차이가 컸다. 가수분해활성(n mol/IS min/female)이 19인 O-RY(-)9t 88인 O-RY(+)는 $28^{\circ}C에서\;G_1$, sub-strain의 산자수는 각각 3.4마리와 0.8마리로서 에스테라제 활성이 높은 O-RY(+)계통이 에스테라제 활성이 낮은 O-RY(-)계통보다 새끼수를 적게 낳았다.

  • PDF

Acephate, Demeton-S-methyl 저항성계통(抵抗性系統) 복숭아혹진딧물에 대(對)한 살충제간(殺蟲劑間)의 연합독작용(連合毒作用) (Synergistic Action of Insecticide Mixtures to the Green Peach Aphid(Myzus persicae Sulz.) Resistant to Acephate and Demeton-S-methyl)

  • 최승윤;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1-157
    • /
    • 1987
  •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殺蟲劑)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acephate, demeton-S-methyl)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을 공시(供試), acephate, cypermethrin, demeton-S-methyl, pirimicarb 상호혼합(相互混合)의 연합독작용(連合毒作用)을 검토(檢討)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demeton-S-meyl 혼합(混合)에서는 1:1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2.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pirimicarb의 혼합(混合)에서는 유사작용(類似作用) 내지 독립작용(獨立作用)만 관찰되었을 뿐 협력작용(協力作用)은 관찰되지 못하였다. 3.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cypermethrin의 혼합(混合)에서는 혼합비(混合比)에 관계(關系)없이 모두 길항작용(拮抗作用)을 나타내었다. 4. demeton-S-methyl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demeton-S-methyl: acephate, demeton-S-methyl: pirimicarb 혼합(混合)에서는 각각(各各) 2:3, 3:2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5. demeton-S-methyl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demeton-S-methyl: cypermethrin의 혼합(混合)에서는 1:1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 유기재배시 병해충 발생 및 친환경제제의 방제효과 (Studies on Outbreak of Diseases and Pests and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y Control Materials in Boxthorn (Lycium chinenseMill.) Organic Cultivation)

  • 이보희;박영춘;이석수;김영국;안영섭;유승헌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5-396
    • /
    • 2011
  • 본 연구는 구기자 유기재배 시 발생하는 주요 병해충에 대해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관내 주요 유기재배 농가의 병해충의 발생을 조사한 결과 18종의 병해충이 조사되었는데 그 중 발생의 정도에 따라 병해로 흰가루병과 뒷면곰팡이병 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 및 나방류가 친환경적인 방제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방제 시험한 결과 초여름 발생하는 흰가루병에는 Bacilus subtilis QST 713 수화제와 Sulfur 수화제가 효과가 좋았고 초가을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에는 Sulfur 수화제와 Copper hydroxide 수화제, Paraffinic oil 유제의 효과가 좋았다. 또한 뒷면곰팡이병 방제시험 결과 Paraffinic oil 유제와 Bacilus subtilis GB-0365 액상수화제의 방제효과가 70% 이상으로 좋았다. 해충 친환경 방제시험에서 총채벌레의 방제에 천적인 유럽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방사하여 80%이상 방제가능 하였다. 왕담배나방은 미생물농약인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GB413 액상수화제와 Bacillus thuringiensis aizawa 0423 수화제로 70%이상의 방제가로 방제할 수 있었으며, 구기자 뿔나방(Hedma lycia sp.)은 B.T. servar aizawai 수화제가 70% 이상의 방제가로 효과가 우수하였다. 마지막으로 복숭아혹진딧물을 친환경제제로 방제 시험한 결과 Bacillus subtilis(Seoncho)와 Bacillus subtilis(Jinsami)가 80%이상의 방제가로 약효가 우수하였으며 Ginkgo nut extract로도 70%이상 방제할 수 있었다. 이상의 방제시험으로 구기자 유기재배시 우선 문제되는 5종의 병해충에 대해서 방제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유전자 변형 탄저병 저항성 고추(PepEST gene)가 비표적 곤충인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Anthracnose Resistant Chili Pepper (PepEST gene) on the Non-target Insects, Green Peach Aphids (Myzus persicae Sulzer, Homoptera))

  • 박지은;이훈복;김창기;정순천;윤원기;박기웅;이범규;김환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43-348
    • /
    • 2007
  • 탄저병에 저항성을 가진 특정 유전자 esterase gene (PepEST)을 삽입한 유전자 변형 작물 PepEST (line 68) 고추가 비표적 생물체인 복숭아혹진딧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의 발육 및 산자수 등을 온도 $25^{\circ}C$, 상대습도 50-70%, 광주기 L16 : D8의 실험실 조건에서 조사하고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총 3회의 실험에서 순생산률($R_0$), 증가율($r_m$), 평균 재생산 기간(T), 총 생산량, 수명, 세대기간 등을 각각 산출하였다. 그 결과 수명은 세 번의 실험에서 각각 31일, 27일, 25일로 나타나 복숭아혹진딧물의 일반적인 평균 수명인 25-29일을 기준으로 유전자변형 고추와 모본 고추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최초 산자일 또한 세 번의 실험 모두 유전자변형 고추와 모본 고추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반면, 총 산자수의 값과 Jackknife로 계산된 순생식률($R_o$)의 값은 유전자변형 고추보다 모본 고추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결과적으로 본 조사로 인해 Esterase gene PepEST를 삽입한 유전자 변형 작물이 복숭아혹진딧물의 산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왔고, 유사한 방법의 실험을 야외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 연구는 제안한다.

시설농업지에서의 해충과 천적의 발생상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the Controlled Agricultural Farms)

  • 서미자;안수정;박덕기;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1-28
    • /
    • 1997
  • 전국 일원의 시설 재배 농가 중 353 농가를 방문하여 해충 및 천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 농가의 73%에서 총 52종의 해충이 발생되고 있었으며 이 중 꽃노랑총채벌레, 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이 주요 해충으로 조사되었다. 천적의 발생은 아주 미미하였으나 방문 농가의 11%인 40개소의 시설재배 농사에서 확인하였으며 이는 해충이 발생한 농가의 약 17%에서 볼 수 있었다. 주요 천적으로는 전체 조사 천적 중 진디벌류가 63%, 무당벌레류가 20%, 애꽃노린재류가 8%를 차지하였으며 이들 이외에도 꽃등에류, 포식응애류, 풀잠자리류, 좀벌류, 혹파리류가 채집되었다. 또한 주요 작물별 해충과 천적의 발생정도를 살펴본 결과 토마토에서는 온실가루이, 오이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 목화진딧물, 참외 및 수박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와 응애류, 고추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 딸기에서는 응애류와 진딧물류 등이 주요해충으로 조사되었다.

  • PDF

콜레마니진디벌에 대한 83종 농약의 독성평가 및 천적과 농약의 혼용에 의한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효과 (Evaluation of Toxicity of 83 Pesticides against Aphid Parasitoid, Aphidius colemani (Hymenoptera: Braconidae), and Control Effects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with a Combination of Aphid Parasitoid and Pesticides)

  • 김진주;서동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17-226
    • /
    • 2006
  • 원예용 병해충 방제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79종과 농약보조제 4종의 농약에 대하여 콜레마니진디벌 (Aphidius colemani) 성충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결과, $\alpha$-cypermeth.in 외 5종의 살충제와, metalaxyl-M+mancozeb 외 12종의 살균제, bifenazate외 3종의 살비제가 독성이 낮았다. 그리고 농약보조제는 모두 낮은 독성을 보였다. 50%이상의 살충률을 보였던 40종의 약제에 대하여 잔류독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11종의 약제가 처리 3일 이후에 콜레마니진디벌 성충에 안전하였고, 5일 이후에는 7종,그리고 처리 7일 이후에는 14종에 대하여 낮은 독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chlorpyrifos-methyl, diflubenzuron+chlorpyrifos, etofenprox+diazinone, imidachloprid+chlorpyrifos 4종에 대해서는 7일차 이후에도 각각 100%, 97.7%, 100%, 100%의 높은 살충율을 보였다. 온실에서 콜레마니진디벌에 의한 복숭아혹진딧물의 방레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복숭아혹진딧물의 밀도가 주당 50마리 일 때, 콜레마니진디벌을 50:1과 100:1의 비율로 방사하였다. 방사 후 진딧물 밀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20일차까지 지속적으로 60마리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흰가루병과 총채벌레 방제약제를 함께 처리하였으나, 콜레마니진디벌의 머미(mummy)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시설원예에서 콜레마니진디벌에 안전한 선택약제와 콜레마니진디벌을 함께 이용할 경우 효과적인 진딧물 방제가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