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bridg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1초

수경성 광물질 혼합재를 사용한 교면 덧씌우기용 고성능 콘크리트의 내구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Durability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on Using Hydraulic Mineral Admixtures for Bridge Deck Overlay)

  • 김기형;손형호;정호진;이재남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74-8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콘크리트용 산업부산자원인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미분말을 교량 덧씌우기용 고성능 콘크리트에 적용하기 위하여 배합조건별 역학특성과 자기수축 특성 및 내염특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 수경성 광물질 혼화재의 혼합사용은 염분과 알칼리 골재 반응에 대한 저항성 개선효과로 내구성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자기수축 변형에 대한 저항성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고성능 콘크리트는 재료와 시공 측면에서 내구성과 효율성을 개선시킨 콘크리트로서 폐자원의 활용으로 인한 친환경, 경제성까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ovel Average Value Model for Faulty Three-Phase Diode Rectifier Bridges

  • Rahnama, Mehdi;Vahedi, Abolfazl;Alikhani, Arta Mohammad;Nahid-Mobarakeh, Babak;Takorabet, Noureddine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9권1호
    • /
    • pp.288-295
    • /
    • 2019
  • Rectifiers are widely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Although detailed models of rectifiers are usually us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they are complex and time-consuming. Therefore, the Average Value Model (AVM) has been introduced to meet the demand for a simple and accurate model. This type of rectifier modeling can be used to simplify the simulations of large systems. The AVM of diode rectifiers has been an area of interest for many electrical engineers. However, healthy diode rectifiers are only considered for average value modeling. By contrast, faults occur frequently on diodes, which eventually cause the diodes to open-circuit.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model bridge rectifiers under this faulty condition. Indeed, conventional AVMs are not appropriate or accurate for faulty rectifiers. In addition, the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deling. In this paper, a novel application of the parametric average value of a three-phase line-commutated rectifier is proposed in which one diode of the rectifier is considered open-circuited.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AVM, it is compared with experimental and simulation results for the application of a brushless synchronous generator field.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odel.

피망에서 브리지를 이용한 칠레이리응애의 확산 증진 연구 (A Short Study on Promoting the Dispersal of Phytoseiulus persimilis using a Bridge on Green Pepper)

  • 조점래;김정환;서보윤;박부용;서미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83-391
    • /
    • 2020
  • 피망 작물에서 점박이응애 및 칠레이리응애의 수직 분포 및 확산 정도를 알아보고, 주간 브릿지를 이용한 칠레이리응애의 확산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확산은 점박이응애의 접종 밀도 및 위치에 따라 달랐다. 점박이응애를 상위엽에 주당 10 마리 접종하였을 경우 방사 5일까지도 하위엽보다는 상위엽에 머무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당 100 마리를 접종했을 때 이미 방사 1일차에 하위엽까지 이동하였다. 반면에 하위엽에 주당 10 마리 접종 후 1일차에 중·상위엽으로 이동하였고, 3일차는 상위엽에만 존재하였다. 주당 100 마리를 접종한 경우 접종 1일차에 상위엽까지 이동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위엽보다는 상위엽에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이후 칠레이리응애의 접종 위치에 따라 이들이 확산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점박이응애가 없을 경우 칠레이리응애를 하위엽에 방사하여도 상위엽으로 이동하였고, 상위엽에 방사하면 방사 후 3일까지는 상위엽에 머물러 있었다. 점박이응애가 있을 경우 칠레이리응애는 방사 이후 먹이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망 세 개 주를 상부 또는 하부에 실로 연결하고, 2, 3번 작물에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후 1번 작물의 상·하위엽에 각각 칠레이리응애를 방사하였을 경우 연결된 실을 통해 이웃 작물로 이동하였다. 따라서 방사되는 칠레이리응애의 확산을 증진하기 위해서 가능하다면 작물체 간격을 좁혀주거나 작물체를 인위적으로 연결하여 준다면 더 넓은 지역으로 확산 가능하여 방사된 칠레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방제효과도 크게 증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녹지네트워크 및 바람길 구축 (Constructing a Green Network and Wind Corridor to Alleviate the Urban Heat-Island)

  • 차재규;정응호;류지원;김대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2-112
    • /
    • 2007
  • 현대의 도시는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매일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전과 달리 집중된 공간에서 짧은 시간동안 일어난 공간의 변화는 도시환경을 악화시켜 환경문제를 유발하였다. 특히 지표면 및 토지이용의 변화 등으로 발생된 도시열섬현상은 도시민의 건강과 경제적인 손실 등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열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도시계획적 접근방법의 하나가 녹지네트워크의 도입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중구와 남구를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여 도시열섬현상 분석, 토지피복분류, 녹지네트워크 연계가능성 분석, 바람길 분석을 통하여 녹지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남쪽의 앞산 및 산지지역을 녹지네트워크의 핵, 두류공원 및 달성공원 등 남구 2개 지역과 중구의 6개 지역의 근린공원을 거점으로 하고 학교부지와 공원시설 등을 포함하는 지역을 거점 가능지역으로 설정하여 대상지역의 광역 및 세부 그린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하였다. 특히 앞산과 연결되는 캠프워커는 핵과 연결되고 있는 거점지역으로서 향후 미군부대 이전 후에 반드시 보전되어야 할 지역으로서 판단된다. 또한 녹지네트워크를 통해 바람길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구의 수성교 인근과 남구의 캠프워커지역을 바람통로확보지구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경관의 지수화 및 시각화 기법을 활용한 대전광역시 녹지비오톱 파편화 분석 (Fragmentation Analysis of Daejeon City's Green Biotope Using Landscape Index and Visualization Method)

  • 김진효;나정화;이순주;권오성;조현주;이은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4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d visually analyze the degree of green biotope fragmentation caused by road construction and other development work using FRAGSTATS and GUIDOS tool. Moreover, linking of the endangered species research, we mapped "Biotope Fragmentation Map" of Daejeon-c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FRAGSTATS, landscape indices : number of patch(NP), mean patch size (MPS), edge length(TE), mean nearest neighbor distance(MNN), edge shape(LSI) showed meaningful change from fragmentation. Moreover, the result of GUIDOS analysis, middle core-small core-bridge-branch-edge-islet-perforation showed increase of area percentage without large core. Lastly, analysis result of 'Biotope Fragmentation Map' revealed that changing site of large core's size appeared eighteen-site and designated as the special protection area appeared forty-one site. As the result of the two data, overlapping areas that showed both change of core size and revealed special protection areas revealed four site. For example, five species of endangered species appeared on the NO. 4 site in 'Biotope Fragmentation Map'.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summarized above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basic data preventing green biotope fragmentation at the planned level from various development work.

농촌체험관광 중간지원조직 역할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 양평군·이천시 농촌나드리 비교를 중심으로 - (Grounded Theory Analysis on the Role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Rural Tourism : A Comparison between the Nadri of Yangpyeong-gun and Icheon-si in Gyeonggi-do)

  • 이차희;탁영란;김민서;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0권3호
    • /
    • pp.75-88
    • /
    • 201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rural tourism by analyzing how they are run, especially in Yangpyeong-gun and Icheon-si Nadri groups, and to further look for the desirable role they should play. Since the activities of these intermediary groups have not been accumulated enough to be able to be used for a study, grounded theory was adopted as deemed appropriate among other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for this paper. Three main findings of the current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ural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leaning towards local villages more than visitors, although they are in the middle of a spectrum stretching between 'visitors to the green villages' on one end and the 'green villages' on the other end. Second, the intermediary groups work not just as a bridge among different green villages but also as a mediator, facilitator and a guide, noting that such roles can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competence of the groups themselv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government steps in. Third, the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can contribute to local community-building, going beyond the boundaries of green village. They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tour experience which leads to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nd during the course of operating the intermediary groups, the community in the village can set up rules and resolve disputes and conflicts. Thus, the activities of the groups have the potential to create a local community by affecting not just at a village level but to a broader area where their operation is based o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in three ways. First, the paper looked at the interaction between rural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and stakeholder in a comprehensive way with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aken. Second, it identified the role and tasks of rural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Third,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tourism intermediary organizations play the local community-oriented role.

생태통로의 최적지 평가를 위한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for the Assessment of Optimum Place of Eco-bridge)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697-70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eserve biodiversity in increasingly fragmented green patches for spatial analysis of planting on the eco-corridors and to optimize the target species, the location, width, cross section of the eco-corridors. It was suggested that eco-corridors should have to planned at early stages of road planning so that the number and locations of eco-corridors in advance. Ecological corridor is the facility to connect two habitats fragmented by road, dam, housing and industrial area. And, everyone agree that ecological corridor is important useful structural component that help animal movement in fragmented landscapes. However, ecological corridors have many problems of the recorded the size of corridor, planting species to nearby exiting vegetation species and structure. The most important facts that there are no consideration for location of animal migration and behavior using eco-corrido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patial analysis of eco-corridors location, satellite data and GIS were used to analyze for searching optimum location of the eco-corridors.

생태학적 지각이론에 의한 환경디자인 사례연구 - 노원구 상계동 롯데백화점을 중심으로 - (Model of Environmental Design by the Theory of Ecological Perception)

  • 김수연;민문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1-234
    • /
    • 2005
  • The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provides the human living, and meaning integrating norm to overcome the crisis caused by an eastern belief in human-centered wrong rationality formed at the past process of modernization. Prior to the overall consideration of ecological perception theory, looked into the concepts, contribution extent and its limitation of the existing perception theories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By experimentally applying inferred concepts of design to department bridge space and forming the space, certified the applicability of it to the green amenity space. The site Is located in Nowon- Gu Sangge- Dong. The design was processed on the basis of survey, plants growth environment and plants characters. It is expected that this design would serve the commercial space- consumer as a symbolic,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design

  • PDF

발굴 출토 화살다발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Study of the method of production of excavated arrow bundle and its conservation treatment)

  • 이병훈;최보배;허일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5권
    • /
    • pp.9-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선 아우라지 유적 청동기 시대 주거지에서 출토된 화살다발의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과정을 서술하였다. 화살은 화살촉과 화살대 부분으로 이루어진 유물이며, 화살대는 유기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화살대가 화살촉과 함께 완형으로 발굴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특히 정선 아우라지 화살다발은 무경식석촉과 탄화된 화살대가 결구된 흔적이 확인되었다는 사실에 큰 의의가 있으며, 나무의 끝을 갈라 화살촉에 끼워 넣는 방식이 확인된 중요한 사례이다. 정선 아우라지 화살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현미경 조사, 화살대 수종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석촉의 마연흔을 통해 가공순서 및 방향, 도구의 입자 크기 등을 알 수 있었으며, 화살대 수종분석 결과 3년생 버드나무속(Salix spp.) 어린가지로 추정되었다. 현장에서의 경화처리 과정 중 경화제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방수성과 가역성이 우수한 약품을 사용하였고, 응급수습방법으로 'Bridge'법을 사용하였다. 보존처리실로 이관한 후 바닥면 작업을 위해 유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보강재를 선정하는데 신중히 하였다. 보강재로는 하중을 안전하게 견딜 수 있으며, 물성이 우수한 인조점토를 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 유물 접합 및 정리 작업 후 바닥면을 에폭시수지로 마무리 한 후 박물관에 전시하였다.

한강 하류의 남조류 및 환경요인의 연간 (2000 ${\sim}$ 2003) 변화에 대하여 (Annual Fluctuation (2000 ${\sim}$ 2003) of Water Quality and Cyanobacterial Abundance in the Lower Part of Han-River)

  • 서미연;김백호;배경석;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8권2호통권112호
    • /
    • pp.181-187
    • /
    • 2005
  • 한강 중하류의 남조류 및 환경요인의 연간변화 (2000 ${\sim}$ 2003)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4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4년간 성수대교에서 성산대교까지 총 5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계의 기초환경요인 및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남조류의 현존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장기간 강우가 가장 많았던 2003년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총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대한 남조류의 기여도는 약 10%범위내였다. 이러한 현상은 매년 강우집중기 동안 팔당댐으로부터 많은 방류수가 유입됨으로서 수온감소는 물론 광량감소, 영양염류 희석 등에 의한 남조류의 성장이 제한된 것으로판단되며, 동일시기에 다른 조류 (녹조, 규조 등)의 높은 성장으로 엽록소 a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한강 하류의 고온기 동안 남조류 성장은 잦은 강우와 방류에 의해 제한을 받지만 규조나 녹조와 같은 다른 조류들의 높은 성장으로 대치되는 천이현상을 보였으며, 기후영향을 크게 받는 전형적인 하천생태계의 특성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