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algae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32초

구멍갈파래의 알칼리 과산화수소 전처리 및 효소 가수분해 특성 (Enzymatic Hydrolysis of Pre-treated Ulva pertusa with Alkaline Peroxide)

  • 윤병태;김영운;정근우;김진석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336-339
    • /
    • 2011
  • 해조류는 잠재력이 있는 풍부한 발효기질이다. 해조류의 효소가수분해를 상업용 셀룰라아제 및 비스코자임과 함께 알칼리 과산화수소 전처리에 의해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해조류는 구멍갈파래이며, 전처리 평가는 효소가수분해 후 얻어진 글루코오스의 수율로 나타내었다. 알칼리 과산화수소는 과산화수소 1 wt%에 수산화나트륨을 1~1.75 wt% 범위로 혼합하였다. $60^{\circ}C$에서 3 h 동안 전처리한 결과 5 wt% 과산화수소를 사용했을 때에 가장 높은 글루코오스 전환율을 보였다. 알칼리 과산화수소로 전처리한 후 필요한 효소의 양은 전처리하지 않은 구멍갈파래에 비하여 상당히 절감되었으며, 아울러 효소 가수분해동안 얻어진 글루코오스의 양은 증가되었다.

담수와 기수성 남조류의 한국 미기록종 (Unreported Taxa in Freshwater and Brackish Blue-green Algae in South Korea)

  • 김용재;이동현;홍현철
    • 생태와환경
    • /
    • 제56권1호
    • /
    • pp.14-35
    • /
    • 2023
  • 담수와 기수성(호수, 연못, 습지, 하천, 하구, 조간대 포함) 남조류는 2017년 3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43지점에서 채집되었다. 출현한 종수는 2017년도에 담수지점에서 223종류, 기수지점에서 230종류였고, 2018년도에 274종류로 국립생물자원관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보고되었다. 이 중에 20종류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한국 미기록은 Aphanocapsa marina, Calothrix fusca f. durabilis, Calothrix littoralis, Calothrix parva, Chamaesiphon minimus, Chroococcidiopsis cubana, Chroococcidiopsis fissurarum, Coelosphaerium aerugineum, Dolichospermum mendotae, Eucapsis alpine, Gomphosphaeria cordiformis, Gomphosphaeria natans, Merismopedia danubiana, Lyngbya aestuarii var. gaditana, Tolypothrix tenuis, Pseudocapsa maritima, Pseudocapsa sphaerica, Pseudophormidium tenue, Trichodesmus sp. and Woronichinia elorantae이다.

양양군과 포항 해역에 시설한 인공어초에서 진행된 해조천이와 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lgal Succession and Community Structure on Artificial Reef at Yangyang-gun and Pohang-si, Korea)

  • 이현진;최창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1-85
    • /
    • 2019
  • 이 연구는 2016년 9월에 강원도 양양군 남애리, 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읍 석병2리에 설치한 인공어초를 대상으로 해조류 군집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는 2017년 2월, 5월, 8월, 11월에 계절별 1회씩 SCUBA Diving으로 수행하였으며,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녹조류 11종, 갈조류 15종, 홍조류 68종을 포함하여 총 94종이 채집되었으며, 양양에서 66종(녹조류 8종, 갈조류 9종, 홍조류 49종), 포항에서 65종(녹조류 7종, 갈조류 9종, 홍조류 49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다. 중요도를 기반으로 판단한 우점종의 경우, 양양은 다시마(Saccharina japonica)가 우점종,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가 준우점종이었으며 포항은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순으로 우점하였다. 두 해역 모두 어초 설치 초기에 각각 파래류, 불레기말이 착생한 후, 다시마, 감태, 우뭇가사리 등 다년생 해조가 생육하며 우점하여 기존의 천이 패턴과 유사하였다. 해조상 변화를 통해 군집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장기적인 변화를 관찰하여 해조군락이 안정되기까지의 천이 과정에 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조류에 대한 캐슈넛 오일의 살조활성특징과 상승효과를 가지는 혼합처리제 탐색 (Algicidal Characteristics of Cashew Nut Oil against Microalgae and Development of its Mixtures with Synergistic Effects)

  • 곽화숙;김보관;김진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36-1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캐슈넛 오일의 살조활성 특징을 파악하고, 유해조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혼합처리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된 시험 추출물중 anacardic acid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Ana-A가 남조류 M. aeruginosa에 대한 살조활성이 가장 높았다. Ana-A는 전체적으로 녹조류보다는 남조류에 대해 더 높은 살조활성을 가지면서 폭넓은 살조활성스펙트럼을 보였다. Ana-A에 대한 남조류 종간 반응에 있어서는 Oscillatoria tenuis ($IC_{50}=0.19{\mu}g\;mL^{-1}$)가 가장 민감하였고, 녹조류 중에서는 Chlorella vulgaris가 상대적으로 가장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IC_{50}=4.54{\mu}g\;mL^{-1}$). Ana-A와의 혼합처리를 통해 효능이 상승되는 화합물을 탐색한 결과, MSB와 menadione은 매우 강한 상승작용을, citric acid는 약간의 상승작용을, chrysophanol, copper sulfate, quinoclamine 등은 상가적 작용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anacardic acid 고함유 캐슈넛 오일은 처리량의 최적화와 상승작용을 가지는 MSB 또는 menadione과 같은 화합물과의 혼합처리를 통해 M. aeruginosa 및 O. tenuis가 발생하는 현장의 선택적 제어를 위해 환경 친화적인 살조제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 같았다.

Community Dynamics of the Benthic Marine Algae in Hakampo, the Western Coast of Korea

  • Yoo, Jong-Su;Kim, Young-Hwan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428-438
    • /
    • 2003
  •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y of Hakampo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easonal assessments of species composition, biomass, dominant species in biomass and vertical distributional pattern were carried out from spring to winter. A total of 121 species was identified; 6 blue-green, 18 green, 16 brown, 81 red algae. In three sites investigated, 96 species were collected at Bunjeomdo, 75 at Maoe, and 57 at Doranggol, respectively. Dermocarpa sp. and Acrochaetium microscopicum were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rough this investigation. Dominant species in specific proportions of biomass were Sargassum thunbergii, Gloiopeltis furcata, Corallina spp., Symphyocladia latiuscula and Monostroma nitidum. Seasonal fluctuations of mean biomass were 31.59-427.69 g dry wt$.$$\mu \textrm m^{-2}$ at Bunjeomdo and 20.98-473.48 g dry wt$.$$\mu \textrm m^{-2}$ at Maoe, respectively, which were comparatively high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Vertical distribution in intertidal zones was Gloiopeltis furcata-Gloiopeltis furcata and Corallina spp.-Corallina spp. and Sargassum thunbergii.

Evaluation of the sub-lethal toxicity of Cu, Pb, bisphenol A and polychlorinated biphenyl to the marin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Ebenezer, Vinitha;Ki, Jang-Seu
    • ALGAE
    • /
    • 제27권1호
    • /
    • pp.63-70
    • /
    • 2012
  • Algae are sensitive to a wide range of pollutants, and are effective bioindicators in ecotoxicity assessments. Here, we evaluated the sub-lethal sensitivity of the marin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upon exposure to copper (Cu), lead (Pb), bisphenol A (BPA), and Aroclor 1016 (polychlorinated biphenyl, PCB). Toxic effects were assessed by observations of the reduction in cell counts and chlorophyll a levels after exposure to each toxicant. C. polykrikoides displayed dose-dependent, sigmoidal responses when exposed to the tested chemicals. $EC_{50}$-72 h values for Cu, Pb, BPA, and PCB were 12.74, 46.70, 68.15, and $1.07mg\;L^{-1}$, respectively. PCB, which is an endocrine-disrupting chemical, was the most sensitive, proving its toxic effect on the dinoflagellate. This study provides baseline data on the toxic effects of commonly used heavy metals and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to a marine dinoflagellate.

경남 온산면 일대의 해조류에 관한 연구 2. 계절적 변화 (On the Marine Algae in Onsan Area, East Coast of Korea 2. Seasonal Variation)

  • 김영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3권2호
    • /
    • pp.61-67
    • /
    • 1980
  • As a part of the environmental base line survey of the Onsan Industrial Base, Korea, marine algal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quadrat method in Onsan-myon on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March to December of 1978. It was learned that the representative dominat species along the coast in the Onsan area throughout the year are Ulva pertusa, Pachymeniopsis elliptica, and Sargassum thunbergii. Both the number of algal species occurring in the quadrat (50$\times$50cm) and the total coverage were higher in March and September than in June and December. A total of 94 species (1 blue-green, 16 green, 25 brown, and 52 red algae) of marine algae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 PDF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에 관한 연구 1. 1977~1978년의 해조군업의 변화 (A Study on the Marin Algae at the Coast of Kori Nuclear Power Plant 1. Variation of Algal Community during 1977~1978)

  • 김영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3권1호
    • /
    • pp.3-10
    • /
    • 1980
  • Effects of thermal effluents on the marine algal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with the quadrat method during June, 1977-December, 1978, at the intertidal zone of Kori Nuclear Power Plant, Southeast Coast of Korea. As a result, both the number of algal species occurred in quadrat (50$\times$50cm) and the total coverage were observed to be decreased in June, 1978, at three sites near the discharge point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year but being recovered afterwards. The representative dominant species at the coast of Kori Nuclear Power Plant were, on the whole, Corallina pilulifera, Pachymeniopsis elliptica, and Chondrus ocellatus. Among the species, the coverage of Corallina pilulifera appeared to be rather increased, while the vegetation of Chondria crassicaulis was found to be decreased particularly in 1978. Total 102 species (3 blue-green, 16 green, 30 brown, and 53 red algae) of marine algae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Among them 71 species were common to 133 species reported by previous investigators during 1969-1970.

  • PDF

논발생(發生) 담수조류(湛水藻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 VI. 부유성(浮游性) 녹조류(綠藻類)와 괴불의 발생(發生) 및 방제(防除) (Fresh-water Algae Occurred in Paddy Rice Fields - VI. Ecology of Suspensible Green Algae and Soil-flakes and Their Chemical Control)

  • 이한규;박재읍;류갑희;이정운;박영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6-103
    • /
    • 1993
  • 벼 이앙(移秧) 직후(直後) 대량(大量) 발생(發生)하여 벼에 피해를 주는 부유성(浮遊生) 녹조류(綠藻類)와 괴불의 생태(生態) 및 방제(防除)에 관한 몇 가지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단세포성(單細胞性) 부유성(浮遊生) 녹조류(綠藻類) Chlamydomonas의 발생(發生)은 인산(燐酸) 시용(施用)으로 증가(增加)되었으나 질소(窒素) 시용(施用)으로 저해(沮害)되었다. 2. 사장형(絲狀形) 부유성(浮遊生) 녹조류(綠藻類) Klebsormidium의 발생(發生)은 인산(燐酸) 시용(施用)으로 增加되었고 인산(燐酸)에 질소(窒素) 또는 가리(加里)를 조합(組合) 시용(施用)한 경우(境遇)에는 더욱 증가(增加)되었다. 3. 벼 이앙(移秧) 직후(直後) 수면(水面)에 대량(大量) 발생(發生)하는 부유성(浮遊生) 녹조류(綠藻類) Klebsormidium은 simazine 10g ai/10a, propanil 105g ai/10a 처리(處理)로서 60-70%방제(防除)가 가능(可能)하였다. 4. 남색(藍色)괴불은 질소(窒素) 시용(施用)으로 증가(增加)되었으나 질소(窒素)와 인산(燐酸)의 조합(組合) 시용(施用)으로 더욱 증가(增加)되었다. 5. 갈색(褐色)괴불은 인산(燐酸) 시용(施用)으로 증가(增加)되었으나 인산(燐酸)에 질소(窒素) 또는 가리(加里)가 조합(組合) 시용(施用)되어도 증가(增加)되지 않았다. 6. 남색(藍色)괴불을 일으키는 남조류(藍藻類) 흔들말(Oscillatoria)은 $24^{\circ}C$$29^{\circ}C$의 온도조건(溫度條件)에서보다 $18^{\circ}C$조건(條件)에서 더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7. Bensulfuron/ mefenacet/dymron(마무리 입제(粒劑)), piperophos/dimethametrin(아비로산 입제(粒劑)), bensulfuron/dimepiperate(두배논 입제(粒劑)) 처리(處理)는 남색(藍色)괴불에 대하여 높은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보였으며 이앙후(移秧後) 10일(日) bentazon(벤타존 액제(液劑)) 담수처리(湛水處理)는 50% 정도(程度)의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보였다.

  • PDF

동해안 울진 연안 조하대 저서 해조류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Subtit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East Coast of Korea)

  • 최창근;곽석남;손철현
    • ALGAE
    • /
    • 제21권4호
    • /
    • pp.463-470
    • /
    • 2006
  •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benthic marine algae at subtidal zone of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Destructive method was employed to measure biomass over four seasons (2000-2002). Of 87 marine algae species identified, 11 were Chlorophyta, 29 were Phaeophyta and 47 were Rhodophyta.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Ulva pertusa,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piluliferum in summer, Laminaria religiosa, Sargassum fulvellum and Gigartina tenella in autumn, Codium fragile,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horneri, S. piluliferum and S. ringgoldianum in winter, and Undaria pinnatifida, Dictyopteris divaricata, Sargassum confusum and S. horneri in spring. In general, green algae (Ulva pertusa, Codium fragile) and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fulvellum, S. horneri, S. piluliferum) appeared predominantly in the 3, 6 m depths and red algae (Gelidium amansii, Plocamium telfairiae) in the 9, 12 m depths. The barren ground of the rocky shore might provide the decrease of benthic marine algae biomass and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