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House

검색결과 958건 처리시간 0.032초

Pseudocercospora fuligena에 의한 토마토 검은잎곰팡이병 (Black Leaf Mold of Tomato Caused by Pseudocercospora fuligena in Korea)

  • 이문행;이석수;김홍기;이윤수;이지혜;유승헌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55-258
    • /
    • 2012
  • 2011년 9월, 충남 보령시와 부여군의 시설재배단지에서 재배중인 토마토의 잎에 Pseudocercospora fuligena에 의한 검은잎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이 병의 병징은 초기에는 잎에 연한 노란색의 불규칙한 점무늬가 발생하며, 점차 연한 갈색으로 변하고 잎 뒷면의 병반부위에 병원균의 분생포자를 다량으로 형성하면서 검은색의 그을음 병징을 나타내었다. 병든 토마토 식물체로부터 원인균을 분리하였고 현미경 검경을 통하여 형태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P. fuligena로 동정되었다. 온실조건에서 인공접종을 통하여 이 균의 병원성을 증명하였다. P. fuligena에 의한 토마토 검은잎곰팡이병의 발생은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보고이다.

안동대목 종자의 크기와 등숙 정도에 따른 발아.유묘 출현 및 생장 (Germination, Seedling Emergence, and Growth of Burcucumber Affected by Maturity and Size)

  • 강진호;전병삼;윤수영;이상우;정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2-155
    • /
    • 2003
  • 야생의 안동대목은 종자의 크기 및 충실도에 많은 변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약용 및 박과접목묘의 대목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안동대목 종자의 크기 및 성숙 정도가 발아, 유묘 출현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동대목 종자의 발아율 및 유묘출현율은 미성숙 종자에 비하여 성숙 종자에서 높았다. 그러나 종자의 크기에 따른 발아율은 성숙 종자와 미성숙 종자 모두 대립종자에 비하여 중립 또는 소립종자에서 높았던 반면, 유묘출현율은 중립종자에서 가장 높고 대립종자에서 가장 낮았다. 종자 크기와 성숙 정도가 유묘 형태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하배축 길이를 제외한 초장, 본엽수, 자엽 및 본엽의 면적은 종자 크기가 클수록 길고 많았던 반면, 종자의 성숙 정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각 부위 및 전체 건물중은 미성숙 대립종자보다는 성숙 대립종자에서, 성숙 유무에 관계없이 종자의 크기가 클수록 많았다

석탄화력에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혼소시 CDM 사업 연구 (The Study on CDM Project of Ligneous Biomass Co-fired in Coal Thermal Power Plant)

  • 정남영;김래현
    • 에너지공학
    • /
    • 제20권3호
    • /
    • pp.231-235
    • /
    • 2011
  • 목질계 등 유기성 바이오매스는 탄소중립(Carbon Neutral) 특성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고, 기존의 석탄화력 혼소시에도 별도의 설비개조 없이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연료 수급에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석탄화력발전소에서 혼소하여 생산한 전력을 계통망에 공급하는 사업에 대해 CDM사업을 추진할 경우, AM0085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으며, kWh당 연료비도 유연탄보다 상대적으로 높아 경제적 추가성 입증이 가능하다. 그리고 바이오매스의 탄소중립 특성으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생산 한 전력은 석탄을 통해 생산한 동일한 전력에 비해 1 MWh 당 $0.6737tCO_2$의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존재한다.

지역성 구현을 위한 집합주택 원형 주거동의 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for Designing Local Identity)

  • 문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21-129
    • /
    • 2013
  •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hape of a residential building affects local identity. A total of six case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ree case studies on idle historical industrial facilities turned into residential buildings and another three on multi-family housing located in newly developed residential complexes. The study drew its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design of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as intended to maximize security and defense from the outside in older times. This was later developed as the terrace house style with geometric urban squares designed under the urban planning of the Baroque period. This evolved high-density housing with a courtyard in the center offering a green open space, with the aim of restoring a sense of humanity. Second, the six case studies on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each factor of local identity, including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community. Thir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of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are found in some unused historical industrial facilities remodeled into residential buildings. They provide new capabilities and shapes desired by society at a given time, while maintaining familiar styles and elements of history, integrating a legacy of the past into the present. Fourth,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ith unique shapes and structures often become landmarks of a region with their distinctive appearance against a uniform urban environment and the monotonous scenery of residential complexes. They also show a high level of visual awareness with the distinctive shapes made possible when new elements are added to a historical exterior. Finally,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ith courtyards in the center prompt social contact between inhabitants, especially with dormitories and rental houses for the low-income bracket, which provide a small individual units with high use common space.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are planned in a manner similar to a small village or a city. They are designed to enhance sense of community, allocating various public amenities and provide cultural and commercial spaces on the ground floor and courtyard areas.

이산화탄소 해양 지중저장 시스템에서의 누출 위해성 평가방법에 관한 기술적 검토 (Technical Review o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Carbon Marine Geological Storage Systems)

  • 황진환;강성길;박영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1-125
    • /
    • 2010
  • 지중 저장기술은 대기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기술로서 기후변화를 발생하는 온실효과를 저감 시킬 수 있다. 해양 저지대에 위치한 심층 대수층 혹은 폐유전 등은 이러한 이산화탄소 저장기술의 중요한 후보군이라고 할 수 있다. 관련된 이산화탄소 주입 및 저장기술은 전 세계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에서 이산화탄소 누출이 발생하였을 때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심도 있는 연구는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저장기술의 안정성이 매우 높아서 누출의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하더라도,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만약의 사태에서 누출이 된다면 여전히 해양생태계 및 환경에 위험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신뢰성 및 위해성 평가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Feature, Event and Process(FEP)를 통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결함수 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FEP 분석으로 시스템에서 시공 및 운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누출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화석 연료와 온실가스 저감이 생산효율과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전통적 접근과 MFA접근 비교- (Effect of Fossil Fuels and Green House Gas on Production Efficiency and Economic Growth)

  • 강상목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3권3호
    • /
    • pp.365-40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접근의 한계를 지적하고 물질균형 접근의 생산효율을 도입하여 두 생산효율의 차이와 2단계 효율, 오염규제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비교하고자 함이다. 특히 상이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결과를 비교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석연료 투입물을 직접 연계된 $CO_2$와 산출물과 연결시킴으로써 보다 현실에 가까운 생산효율을 측정하였다. 전통적 생산효율과 물질균형 효율비교에서 효율의 측정치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다. 특히 투입물인 화석연료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저소득국은 생산효율의 성과가 나쁘고 OECD와 중고소득이 보다 좋은 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물질흐름접근에 기초할 경우 저소득국의 성과가 OECD보다 높고 환경적 요인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보다 완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교통부문 CO2 저감을 위한 지구단위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A sutdy on the District Unit Design for CO2 Reduction of Transportation)

  • 진장원;박민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370-13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구단위 내 교통부문에서 다양한 도시설계 및 교통정책의 적용에 따른 $CO_2$의 배출량 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네트워크(Toy Network)를 설정하고 토지이용패턴과 교통정책을 접목한 19개의 시나리오를 가정한 후 교통수요 예측 프로그램인 EMME3를 이용하여 $CO_2$ 발생량을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총 $CO_2$ 배출량이 가장 많이 감소한 정책은 지구의 중간부를 개발하면서 동시에 내부의 2차로 도로는 차량 통행을 금지시키고 보행자 천국을 만드는 것이었다. 총 $CO_2$량이 가장 많이 발생된 그룹은 교통공학에서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왔던 적절한 도로위계에 따른 도로망 구성 및 접근통제 조절 정책이었다. 따라서 지구설계시 도로망 구성 및 접근통제는 세밀한 연구를 통해 실행되어야 할 것임을 알게 되었다.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 효과 분석 (A Study on the Effects of Governmental Support on KERRP: Case of Descending Clock Auction)

  • 장원익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6권4호
    • /
    • pp.923-946
    • /
    • 2007
  • 지구온난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이 국가적인 관심사로 대두됨에 따라, 정부는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하기 위하여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들 중에서 경매 방식에 의한 지원의 경제적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경매 방식에 의하여 50억 원의 예산으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지원할 경우, 톤당 8,000원씩 총 61만 2,000톤의 온실가스 저감량에 대한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축사업으로 인한 부가적인 수익인 에너지 절감액을 감안할 경우에는 전체41개 저감사업으로 인한 총 저감량인 101만 톤에 대하여 톤당 4,900원의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부 지원 정책은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여 향후 직면하게 될 온실가스 감축 국가 의무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효과의 습득이라는 차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 PDF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연료 사용시설의 효율적 에너지회수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운전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conditon of Effective Energy Recovery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by the facility using Waste / Biomass fuel)

  • 주원혁;여운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1호
    • /
    • pp.83-95
    • /
    • 2020
  • 폐기물을 이용한 공공 자원회수시설, BIO-SRF를 이용한 민간 열원시설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에 있어 투자 대비 회수 기간의 경제성 문제가 대두 되었고, 이로 인하여 기존에 통상적으로 설계 시공 운영 되었던 온도, 압력 조건 범위값을 넘어서 실현 가능한 최적의 온도, 압력 조건의 열원 설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운영 중인 열원시설을 대상으로 온도와 압력 조건에 따른 모델링을 통하여 에너지 전력 생산량을 분석하였고, 도출된 에너지 전력 생산량을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특성을 연구하였다. 최종적으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연료를 이용한 열에너지 생산시설의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을 위해서는 고온의 온도와 고압의 압력 생산시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이 이루어지고 경제성 있는 투자와 회수로 이루어지리라 판단된다.

수출입컨테이너화물의 연안운송에 의한 이산화탄소($CO_2$)와 질소산화물(NOx) 배출량 삭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duction of $CO_2$ and NOx emission by coastal transport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 김상현;고창두;조용진;반석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42-5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수출입컨테이너 화물의 육상운송에서 연안운송으로의 전환을 이용한 CO₂가스 및 배기가스 배출량 삭감이 제안되어진다. 먼저 국내의 CO₂가스 배출량, 배기가스 배출량, 수출입컨테이너화물의 물동량 등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본다. 또한 경인지역과 부산항사이의 수출입컨테이너화물 수송에 대하여 육상운송에서 연안운송으로의 변환에 의한 CO₂가스 및 배기가스 배출량 삭감효과에 대하여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연안운송의 분담율 변화와 320TEU 소형컨테이너선 이용에 따른 NOx가스 배출량 변화를 고찰한다. 본 연구의 결과 육상운송에서 연안운송으로의 전환이 CO₂가스 및 배기가스 배출량 삭감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