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hical cadastr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지형공간정보체계를 활용한 지적도의 변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cadastral map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김중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120
    • /
    • 2000
  • 토지정보체계에서 기본도로 사용하는 지적도는 크게 도해지적과 수치지적으로 나뉘며, 수치지적의 경우 수치지적부상에 기록되어 있는 지번의 필지경계를 나타내는 절점의 위치좌표로 표시된다. 수치지적부의 변환은 문자형태의 자료로 입력된 필지의 절점좌표를 체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자료로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적부의 절점좌표를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도형자료의 오차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정확도를 위치와 면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지형공간정보용 소프트웨어의 검증을 실시하여 좌표변환시 배정밀도를 사용하였을 때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위치에 대한 정확도 평가에서 절점에서 발생한 오차는 위상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오차가 소멸되며, 다른 절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면적에 대한 정확도 평가에서 절점의 위치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면적오차는 허용면적(공차범위)에 들어 체계내에서 사용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Case Study for the Resolution of Cadastral Inconsistency

  • Kam Lae, Kim;Won Jun, Choi;Gun Hyuk, Lim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7-563
    • /
    • 2004
  • Korean cadastral system keeps graphical maps made by the plane table method from 1910's. The fact is that the graphical maps grafted on paper cover about 95% of the whole land (MOGAHA, 1999). The needs are arising to transform the graphical cadastre to a digital one in compliance with modem technologies. Korean government has already digitise the old maps until last year. A nation-wide land information system, Parcel-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was established upon the digitised map database. However, the accuracy of the digitised coordinates hardly meet the citizens' needs because it cannot exceed that of the paper maps. The definite solution will be surveying all the parcels again and making new digital maps. However, commencing a project for resurveying 34 million parcels will require enormous amount of time and manpower. The strategy should be dividing the country into county-wise or grid-wise pieces and surveying one piece by one piece. Municipal governments of counties, cities or urban districts will be the propelling bodies of the project but the costs will hardly be affordable at a time.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the financial problem, each municipality can split its own project into smaller pieces by year base. There is accordingly a great possibility to create inconsistency over the divided project areas caused by different techniques applied, different equipments used and/or mismatches between the project borders. It provides some merits at the same time. The people in project completion areas will be satisfied with the enhanced accuracy and feel safe in land transaction and, in turn, soundly improves overall nation-wide economic situation. Therefore, the main issue of the thesis shows how to make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scalable. Guidelines for how to perform the projects will be derived from a experienced case.

  • PDF

드론항공사진측량을 활용한 지적측량 성과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cision Making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using Drone Photogrammetry)

  • 임성하;김호종;이돈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1호
    • /
    • pp.79-95
    • /
    • 2021
  • 본 연구는 지적측량 단계 중 가장 중요하지만, 객관적이지 못하고 주관에 의해 측량자의 오판이나 실수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이 큰 지적측량 성과결정 단계에서 드론사진측량을 기반으로 지적측량성과 결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드론사진측량 결과물에서 경계점 추출의 정확도를 판단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2D와 3D영상에서 추출한 22개 필지의 자표면적과 지상측량 좌표면적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2D영상은 RMSE가 1.44m2, 3D영상은 0.32m2로 정량화할 수 있었다. 또한, 정사영상을 기반으로 지적측량 성과결정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자료조사를 통한 기존 측량성과 결정량과 비교하여 RMSE가 N방향으로 0.346m, E방향으로 0.296m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도해지역에서 정사영상기반의 성과 결정시 약 0.3m 내외의 정확도로 현지 측량없이 성과결정이 이루질 수 있으며, 이는 자료조사 및 지상측량과 더불어 정사영상이 활용된다면, 지적측량성과 결정 과정을 더 객관화하여 개인오차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지적재조사 시행기반 조성을 위한 지적측량기준점체계 정비방안 (Improvement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for an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adastral Reform Infrastructures)

  • 김순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1-178
    • /
    • 2009
  • 지적 분야의 세계측지계 도입은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계기로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적측량기준점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그 성과가 균질하지 못하며 국가기준점과도 일치되지 않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 20,000여점에 달하는 지적기준점의 일제조사를 통해 국가기준점인 GPS기준점과 연동될 수 있는 약 1,600점의 기준점을 선별하고 이렇게 선별된 기준점에 대한 정확한 세계측지계 성과산출을 통해 지적측량을 위한 단일 관측망을 구축함으로써 향후 추진하게 될 전국 규모의 지적재조사 시행기반의 효과적 조성에 기여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 PDF

지적측량의 면적오차 계산공식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고찰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Area Error Formula in Cadastral Surveying)

  • 양철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1호
    • /
    • pp.5-16
    • /
    • 2022
  • 다각형 필지의 면적오차계산에 대한 일반식으로부터 직사각형 필지의 면적오차계산식을 도출하고 관련 법률 시행령에서 정하고 있는 면적오차계산의 상수항 0.0262 × M(축척분모)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의 면적오차 공식은 직사각형 필지모형으로서 도해측량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으나, 정량적으로는 면적오차를 비교적 크게 허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면적이 같더라도 필지의 형상에 따라 정사각형 필지보다 50% 더 많은 면적오차가 산출될 수 있다는 문제, 필지 분할시 허용면적오차가 달라져야 하는 문제 등을 파악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도출한 면적오차계산식으로써 지적측량의 관점에서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필지의 크기와 형상을 반영하는 문제, 측량의 정확도를 반영하는 문제, 도해측량과 수치측량을 구분할 필요 없이 단일의 면적오차계산식을 채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다. 이들 문제를 해소하는 새로운 면적오차계산식의 채용은 많은 관련 요소들의 개선을 촉진하여 선진적 지적제도로의 발전을 강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