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cadastral map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지형공간정보체계를 활용한 지적도의 변환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0.03.30

Abstract

A cadastral map that is base map on Land Information System is divided by two categories,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e. And digital cadastre can be displayed with location coordinates of nodes that depict parcel boundary on digital cadastral records. The transformation of digital cadastral records means that imported text data of node coordinate would be transformed into system data.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search reasons of errors resulted from transformation of graphic data and then to analyze the accuracy in terms of Position and area. For this, checking of software used i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was implemented at first and it was found that the accuracy is up by using double precision in coordinate transformation. On the position accuracy the errors at nodes was erased during making topology and the errors did not effect other nodes. On the area may the area errors because of being in error limit of allowable area had no problems in using of system.

토지정보체계에서 기본도로 사용하는 지적도는 크게 도해지적과 수치지적으로 나뉘며, 수치지적의 경우 수치지적부상에 기록되어 있는 지번의 필지경계를 나타내는 절점의 위치좌표로 표시된다. 수치지적부의 변환은 문자형태의 자료로 입력된 필지의 절점좌표를 체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자료로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적부의 절점좌표를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도형자료의 오차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정확도를 위치와 면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지형공간정보용 소프트웨어의 검증을 실시하여 좌표변환시 배정밀도를 사용하였을 때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위치에 대한 정확도 평가에서 절점에서 발생한 오차는 위상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오차가 소멸되며, 다른 절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면적에 대한 정확도 평가에서 절점의 위치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면적오차는 허용면적(공차범위)에 들어 체계내에서 사용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