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h Retrieval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인덱스 그래프 : 동적 문서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IR 인덱스 구조 (Index Graph : An IR Index Structure for Dynamic Document Database)

  • 박병권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0권1호
    • /
    • pp.257-278
    • /
    • 2001
  • An IR(information retrieval) index for dynamic document databases where insertion, deletion, and update of documents happen frequently should be frequently updated. As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IR index is, however, focused on the information retrieval purpose, its structure is inefficient to handle dynamic update of i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tructure for IR Index, we call it Index Graph, which is organized by connecting multiple indexes into a graph structure. By analysis and experiment, we prove the Index Graph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IR index in the performance of insertion, deletion, and update of documents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eval.

  • PDF

그래프 이력 데이터 접근을 위한 효과적인 저장 관리 기법 (Efficient Storage Management Scheme for Graph Historical Retrieval)

  • 김기훈;김이나;최도진;김민수;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38-449
    • /
    • 2018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인용 네트워크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그래프 데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시간에 따라 그래프가 동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변경 내용 추적 및 특정 시점 그래프 검색을 위해 그래프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이력 데이터는 시간에 따라 부분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시간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변경되지 않은 데이터가 중복 저장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별 그래프의 중복 저장을 최소화하기 위한 그래프 이력 저장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그래프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탐지하여 과거 그래프와 중복되는 서브 그래프를 하나의 중복 스냅샷에 저장한다. 중복 스냅샷에는 다수의 델타 스냅샷이 연결되어 각 시간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유지한다. 중복 스냅샷에 저장된 중복 데이터를 공통으로 관리하여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해당 시점의 그래프를 탐색하기 위해서 중복 스냅샷과 델타 스냅샷을 연결하였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해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굴곡 기반 형태 그래프를 이용한 모양 검색 (Shape Retrieval using Curvature-based Morphological Graphs)

  • 방난효;엄기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5호
    • /
    • pp.498-508
    • /
    • 2005
  • 모양 데이타는 이미지가 나타내는 의미를 가장 잘 반영하는 데이타로서 이미지 검색에 중요한 정보로 사용된다 특히 구조적으로 표현된 모양 특징은 모양이 갖는 기초적 특성과 그들간의 관계 정보를 잘 나타내므로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개의 구조적 모양 특징들은 그래프나 트리와 같은 구조로 표현되므로 모양 데이타 검색에서 효율적인 검색 시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모양의 윤곽선 정보를 기반으로한 굴곡 기반 형태 그래프를 생성하고 이를 일반화한 구조로부터 모양을 클러스터링할 수 있는 키를 설계한다. 제안한 굴곡 기반 형태 그래프는 모양이 가지고 있는 윤곽선 특성과 영역의 형태적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모양 검색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클러스터링을 통해 검색 공간을 축소하고 외부 굴곡 특징을 이용한 굴곡의 패턴 매칭을 통해 종합적인 유사도가 결정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굴곡 기반 형태 그래프와 클러스터링을 통해 검색 공간과 비용이 줄어드는 것을 보여준다.

Efficient Query Retrieval from Social Data in Neo4j using LIndex

  • Mathew, Anita Brigit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5호
    • /
    • pp.2211-2232
    • /
    • 2018
  • The un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big data in social network poses new challenges in query retrieval. This requirement needs to be met by introducing quality retrieval time measures like indexing. Due to the huge volume of data storage, there originate the need for efficient index algorithms to promote query processing. However, conventional algorithms fail to index the huge amount of frequently obtained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fall short of providing scalable indexing service. In this paper, a new LIndex algorithm, which is a heuristic on Lucene is built on Neo4jHA architecture that holds the social network Big data. LIndex is a flexible and simplified adaptive indexing scheme that ascendancy decomposed shortest paths around term neighbors as basic indexing unit. This newfangled index proves to be effectual in query space pruning of graph database Neo4j, scalable in index construction and deployment. A graph query is processed and optimized beyond the traditional Lucene in a time-based manner to a more efficient path method in LIndex. This advanced algorithm significantly reduces query fetch without compromising the quality of results in time. The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confirm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query retrieval in Neo4j graph NoSQL database.

퍼지 다중특성 관계 그래프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검색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Fuzzy Multiple Attribute Relational Graph)

  • 정성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5호
    • /
    • pp.533-538
    • /
    • 2001
  • 본 연구에선는 FAGA(Fuzzy Attribute Relational Graph) 노드의 단일특성을 실제 영상을 응용하여 다중특성으로 확장하고, 노드의 레이블뿐만 아니라, 칼라 질감 그리고 공간관계를 고려한 다중특성 관계 그래프를 이용한 새로운 영상검색을 제안하였다. 1,240 개의 영상으로 구성된 합성영상 데이터베이스와 NETRA 및 Corel Drew 의 1,026개의 영상으로 구성된 자연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다중특성을 고려한 접근방법이 단일 특성만 고려하는 방법에 비하여, 합성영상의 경우 Recall에서 6~30% 성능 증가를 보였고, 자연연상의 경우에도 Displacement 척도들과 유사 검색 영상의 수에서 검색 성능이 우수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효과적인 수학 그래프 저작 시스템 (Effective Graph Drawing Tool for Mathematics Education)

  • 오영택;김용준;김명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422-42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수학 교육을 위한 실시간 그래프 저작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대략적인 스케치를 통해 의도하는 그래프를 쉽게 그릴 수 있으며 실제 수학 교육에서 필요한 부가적인 정보 역시 쉽게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그래프를 쉽게 그리기 위해 이미 그려져 있는 그래프 중 현재 그리고 있는 그래프와 가장 유사한 그래프를 찾아서 후보로 제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위치 관계에 의한 영상 검색을 위한 질의 및 검색 기법 (Query Optimization Algorithm for Image Retrieval by Spatial Similarity))

  • 조수진;유석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5호
    • /
    • pp.551-562
    • /
    • 2000
  • 영상의 시각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는 내용 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질의 영상에 존재하는 불완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물체의 정확한 좌표값 대신 물체간의 위치 관계를 비교하는 기법이 많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물체간의 8 방향 위치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검색하는 시스템을 위한 질의 변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영상내에 존재하는 물체들간의 위치 관계에 추이성(transitivity)이 존재하는 경우 정보가 중복된다는 사실로부터, 질의에 존재하는 추이성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질의 영상을 최소 에지의 그래프로 변환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프라임 에지 그래프는 동일한 위상 관계(topology)를 표현하는 그래프 중 최소 개수의 에지를 가지게 되므로 검색 중의 위치 관계 비교 회수를 최적화 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위치 관계의 추이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평균 비교 회수를 크게 감소시켜 탐색 모듈의 효율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 PDF

Graph based KNN for Optimizing Index of News Articles

  • Jo, Taeho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3권3호
    • /
    • pp.53-61
    • /
    • 2016
  • This research proposes the index optimization as a classification task and application of the graph based KNN. We need the index optimization as an important task for maximizing the information retrieval performance. And we try to solve the problems in encoding words into numerical vectors, such as huge dimensionality and sparse distribution, by encoding them into graphs as the alternative representations to numerical vectors. In this research, the index optimization is viewed as a classification task, the similarity measure between graphs is defined, and the KNN is modified into the graph based version based on the similarity measure, and it is applied to the index optimization task. As the benefits from this research, by modifying the KNN so, we expect the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performance, more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words which is inherent in graphs, the ability to trace more easily results from classifying words. In this research, we will validate empirically the proposed version in optimizing index on the two text collections: NewsPage.com and 20NewsGroups.

인터넷상에서의 자동차 정보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ar Information Service System on Internet)

  • 유춘식;우선미;김용성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1S호
    • /
    • pp.3219-3228
    • /
    • 1999
  • Currently, car information service systems are lack of providing retrieval service, because most of them aim for buying and selling. Thu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CISS(Car Information Service System on Internet) to provide efficient retrieval for car information. In CISS, we collect information of cars on Internet and construct the lattice structure for efficient retrieval. And we provide retrieval convenience by implementing of Car Browser that permits gradual refinement of the index term by browsing through lattice graph and that permits keyword-based retrieval.

  • PDF

동적 상호작용 함수를 애용한 검색 피드백의 개선 (Improvement of Retrieval Feedback Using Dynamic Interaction Function)

  • 한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93-98
    • /
    • 2006
  • 본 논문은 컴포넌트 검색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 피드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퍼지 기법이 적용된 퍼지화 함수는 컴포넌트를 선택할 때마다 매번 4가지 경우의 그래프를 재구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피드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검색된 컴포넌트의 선택여부에 따라 동일한 함수이지만 학습률을 달리할 수 있는 가우시안 함수를 이용한 상호작용 함수를 제안한다. 가우시안 함수를 피드백 함수로 채택 시 함수의 파라메타에 따른 검색 성능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가장 효율적인 동적 상호작용 함수를 제안하여 효율적인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