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s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8초

포도 및 포도주 함유 Resveratrol의 정량 분석 (Determination of Resveratrol Content in Grapes and Wines)

  • 김헌웅;추상미;이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59-263
    • /
    • 2006
  • 포도, 와인에 함유되어 있는 레스베라트롤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HPLC 정량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국내에서 생산된 13개의 포도 재배 품종의 부위별과 13종류의 와인에 대한 레스베라트를 함량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3 품종의 평균 레스베라트를 함량은 $143.5{\mu}g/g$이었으며, 과피, 과육, 종자, 송이가지는 각각 $0.9{\sim}104.8{\mu}g/g,\;0.1{\sim}0.5{\mu}g/g\;1.7{\sim}173.9{\mu}g/g\;2.9{\sim}247.4{\mu}g/g$의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2. 과피, 과육, 종자, 송이가지 부위별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각각 35.0, 0.2, 25.8, $82.5{\mu}g/g$ 이었으며, 과피의 경우 용보 품종이 $104.8{\mu}g/g$,종자의 경우 청수 품종이 $173.9{\mu}g/g$, 송이가지의 경우 델라웨어 품종이 $247.4{\mu}g/g$의 가장 높은 레스베라트를 함량을 나타냈다. 3. 13종류의 와인에 대한 레스베라트롤은 $253.3{\sim}11,271.6{\mu}g/L$의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포도 유전체 연구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genomics and bioinformatics in grapes)

  • 허윤영;정성민;윤해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298-311
    • /
    • 2015
  • 포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수 작물 중의 하나로서 재배과정에서 많은 병해충이나 기상재해와 같은 스트레스에 직면한다. 과실의 고품질과 더불어 병충해 저항성인 품종 또는 내재해성 품종을 육성하는 것은 포도 생산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고전적인 교배 육종을 이용한 신품종의 개발은 포장을 관리하는 데에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요구되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유용형질을 지닌 새로운 품종의 개발에 이용할 분자육종기술은 포도 육종프로램에서 전통적인 교배육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로 여겨진다. 포도의 유전체 해독을 완성함으로써 신품종육성에 활용될 유용유전자를 대량으로 발굴할 수 있고, 기능을 분석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포도의 비교유전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유전체에 근거한 유전자 발굴, 분자마커 개발 등의 연구는 과실의 품질, 병해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기작을 구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포도 육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를 이용한 백포도주 제조 (White Wine Making using Campbell Early Grapes with different Kinds of Yeasts)

  • 김경환;한기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2-17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캠벨 얼리 백포도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시 모든 캠벨 얼리 백포도주의 pH는 3.2~3.5 범위안에 있었다. 전통적인 제조된 캠벨 얼리 백포도주의 산도는 0.2~0.9%로 유지되었다. 발효 종료 시 당도는 6~8 Brix로 감소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13.2~14.4%로 나타났다. 캠벨 얼리 백포도주는 색상, 향, 맛, 목넘김, 후미, 종합적 가호도 등에서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캠벨 얼리 포도가 발효에 적합한 풍부한 당성분을 가지고 있어 잘 발효되기 때문이며, 효모 K1-V1116을 첨가하여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ensitivity of Colletotrichum spp. Isolated from Grapes in Korea to Carbendazim and the Mixture of Carbendazim Plus Diethofencarb

  • Hwang, Sook-Yung;Kim, Hye-Ryoung;Kim, Joo-Hyung;Park, Jong-Han;Lee, Sang-Bum;Cheong, Seung-Ryong;Kim, He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49-56
    • /
    • 2010
  • Thirty-six isolates of Colletotrichum spp. were obtained from infected grapes in two different locations of Korea; 18 isolates from Cheonahn, where carbendazim (MBC) and the mixture of MBC and diethofencarb (NPC) had been applied to control grape ripe rot, and 18 isolates from Cheongju, where no fungicides had been used. Sequences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the $\beta$-tubulin gene identified 34 of the 36 isolates a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The remaining two isolates from Cheongju were identified as C. acutatum. Of the 18 isolates from Cheonahn, 12 were resistant to both MBC and the mixture (MBC+NPC), and six were sensitive to them. All C. gloeosporioides isolates from Cheongju, but not the two C. acutatum isolates, were sensitive to these fungicides. Sequence analysis of the $\beta$-tubulin gene in all isolates revealed that C. gloeosporioides resistant to MBC and MBC+NPC had a tyrosine instead of phenylalanine at the amino acid position 200. The appearance of resistance to MBC and the mixture in C. gloeosporioides correlated with the history of fungicide application in Korea.

Antimicrobial Treatment of Grapes Using Sodium Hypochlorite in Winemaking and Its Effects on the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ines

  • Yoo, Ki-Seon;Ahn, Ji-Eun;Han, Jin-Soo;Seo, Eun-Young;Otgonbayar, Gan-Erdene;Han, Nam-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12호
    • /
    • pp.1243-1249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use of NaOCl as an alternative antimicrobial compound in winemaking because of the potential health problems that may arise as a result of the use of $SO_2$. For this, the blank (non-treated), control ($SO_2$-added), and sample (NaOCl-treated) wines were made, and microbial and chemical changes including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s. Treatment of grapes with NaOCl decreased the initial contaminating microbial population in grape must, resulting in higher growth of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After 200 days of fermentation, the chemical analysis of sample wine revealed that it had higher ethanol content, redness ($a^*$), and concentrations of fruity ester compounds and lower total acidity than the control. In the sensory analyses, the sample wine obtained a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score (5.70) than the control (4.26). This result reveals that NaOCl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SO_2$ in winemaking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contaminating microorganisms.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시판(市販) 수종과실류(數種果實類)의 유리당정량(遊離糖定量)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Some Fruits by Liquid Chromatography)

  • 이응호;구재근;이종수;하진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58-162
    • /
    • 1984
  • 우리나라에서 가을에 수확되는 과실의 가공적성(加工適性)에 대한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및 감귤중의 유리당을 HPLC법으로 정향하였다. 감귤류에 있어서 함량이 많은 것은 sucrose, fructose 및 glucose순이었으며, 품종에 따라 유리당함량의 차이가 심하였고, sucrose는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총유리당 함량의 약 $53{\sim}65%$를 차지하였다. 복숭아도 감귤과 마찬가지로 함량이 많은 것은 sucrose, fructose, glucose순이었다. 포도와 배의 경우는 fructose, glucose sucrose순으로 함량이 많았고, 특히 장십랑의 fructose함량은 다른 품종보다 2배이상 높았다. 사과의 경우 태양과 홍옥은 fructose, glucose, sucrose순으로 함량이 많았으나, 골덴, 부사, 인도, 육오는 fructose, sucrose, glucose순으로 함량이 많았다.

  • PDF

포도 '거봉' 2기작재배를 위한 하계휴면타파에서 토양수분 조절과 휴면타파제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oisture Control and Dormancy Breaking Agents on Bud Burst and Fruiting for Double Cropping System in a Year in 'Kyoho' Grapes)

  • 오성도;김용현;최동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1-66
    • /
    • 2002
  • 포도 시설재배시 년 2기작 재배를 하려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여름의 휴면타파에 의한 2차 생장의 유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권환경조절에 의하여 토양수분조절과 휴면타파제 처리에 의하여 발아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근권수분조절에 의하여 신초의 등숙을 7, 8월에 유도할 수 있었다. 근권환경조절에 의하여 1차 생장은 일반 시설재배의 신초생육과 차이가 없었다. 2기작 재배를 위한 휴면타파 처리제는 시아나미드화합물에 메리트청을 혼합한 구가 75%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신초 등숙 유도를 위한 수분중단구가 수분공급구 보다 발아율이 높았다. 결실 신초율은 처리간 타이가 없었으나 신초발아 시기가 균일하지 않았다.

개량머루(Vitis sp.)의 생육기에 따른 과실 품질 및 형태학적 관찰 (Evaluation of Fruit Quality and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aeryangmeoru (Vitis sp.) Grapes Depending on the Growth Stage)

  • 권용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5-70
    • /
    • 2014
  • 개량머루의 시기별 생육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액아 발달, 과실 품질, 과실 조직의 해부학적 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액아는 신초 발생부터 낙엽기까지 가지에서 마디 위치에 관계없이 괴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모두 충실하였다. 성숙기 과실 특성은 과립중 1.2g, 과립수 98개 및 과방중 128.8g이었고, 당도 $16.9^{\circ}Brix$, 적정산도 1.57%이었다. 당의 조성은 과당과 포도당이었고 성숙기의 과당과 포도당의 비는 1:1에 도달하였다. 사과산이 유기산 중에서 가장 많았으며 시기별 적정 산도의 변화가 일치하였다. 당과 산은 변색 1주전부터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배주의 퇴화는 수정 전후에 모두 발견되었고 성숙기의 과피는 1층의 epidermis와 7~10층의 hypodermis로 구성되었다.

Abscisic acid의 처리농도가 포도 '거봉'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xogenous Abscisic Acid Concentration on the Coloration of 'Kyoho' Grapes.)

  • 한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3-297
    • /
    • 2005
  • 본 실험은 착색 불안정 때문에 재배적 어려움이 있는 '거봉'포도를 이용하여 변색기에 ABA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봄으로써 착색증진을 위한 최적의 처리 농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BA의 처리 농도에 따라 과방중량과 과립중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물과 적정산 함량 역시 생장기간 내내 처리구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PAL 효소의 활성은 각 처리구 공히 처리후 급속히 증가 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ABA 처리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증감의 폭은 더욱 커졌다. 또한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최종수확기에 가서도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ABA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ABA 1000 mg/L 처리구는 최종수확기에 무처리구에 비해 2.5배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전페놀 함량은 안토시아닌 함량과 마찬가지로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기간 내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BA의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용성당 함량은 과당과 포도당만이 검출되었으며, 자당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과당과 포도당 함량 역시 변색기 이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과일 통조림의 팽창원인에 관한 연구 (Causes of Can Swelling of Commercially Canned Fruits)

  • 문은주;김형용;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9-94
    • /
    • 1985
  • 팽창된 과일 통조림을 수집하여 팽창된 원인이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수소팽창 때문인지 또는 미생물에 의한 부패인지를 조사하였고 미생물에 의한 부패로서 효모가 부패 미생물로 밝혀졌을 때는 속 종까지 동정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깐포도 통조림은 수소팽창에 의해 팽창된 비율이 88%였으나 복숭아 통조림은 24% 뿐이었고, 미생물에 의한 부패율이 76%로서 같은 산성 식품이라고 하더라도 이들 두 제품의 주요 팽창원인이 현저히 다르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판단된다. 깐포도 통조림의 정상적인 pH범위(3.1-3.4)는 복숭아 통조림의 pH범위(3.6-4.3)에 비해 낮기 때문에 수소팽창이 잘 일어나고 이와같이 복숭아 통조림의 높은 PH가 미생물 번식에 유리함은 물론 기타의 다른 복숭아 통조림의 제품특성이 가열 살균효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가장 흔히 발견된 부패효모는 Saccharomyces속과 Torulopsis속의 효모로 밝혀졌고 기타 Candida속이나 Pichia 속의 효모도 낮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 PDF